지거국 공대인데 연구과제도 많이 진행하시고(이번에 중견도 되셔서 정부과제 5개 풀이라고하네요) 저희분야 메인 대기업과제도 3-4개씩 꾸준히 하고 있다고 합니다. 수도권에 최상위까지는 아니지만 상위권에 지원할 성적은 되는데 연구실 논문도 많이 나오고 있는 것 같고 분위기도 좋아서 고민이네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9개
2025.03.1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강추
대댓글 1개
2025.03.11
지금 4-1이라 고민인게 SSH 라인에 컨택 VS 자대 학석연계해서 1학기 빨리 졸업인데요 그래도 후자가 전반적으로 괜찮을까요?
2025.03.11
석사를 하시는 이유와 분야? 등 자세한 동기 알려주시면 답변드릴게요
대댓글 7개
2025.03.11
전기전자분야고요 일단 공부하는게 재밋기도하고 연구직쪽으로 관심이 많아서요. 일단은 박사는 석사해보면서 결정하고싶어요. 취업처는 정확하게는 생각하진않았어요.
2025.03.11
석사 후 취업의 경우, 서성한 쪽이 훨 유리하다고 생각됩니다. 사실 사기업에선 석사학위를 가진 지원자에 대해 큰 기대를 하지 않습니다. 저는 면접 볼 때 scie (q2) 1저자 논문을 자소서에 기입했었는데 그것에 대해 물어보지도 않더라구요..
또한 저도 지거국 출신으로서 말씀드리면, 지거국(부/경) 예전과 다르게 탑티어 대기업으로의 합격률이 현저히 떨어지고 있습니다. 박사를 할 경우도 마찬가지로 더욱 좋은 학교 가셔서 넓은 인프라 경험해보신다면 박사를 할 때도 더 많은 기회가 주어질 것이라 생각합니다.
정리하면 지거국의 정말 좋은 연구실로의 선택도 정말 좋은 선택이지만, 상위 대학원에 갈 수 있다고 하시니 도전해보는 것도 괜찮다는 생각입니다
2025.03.11
네 감사합니다. 좀 더 고민해볼께요!
2025.03.11
그럼 대기업 취업할때 어떤 점을 많이보나요?
2025.03.11
학부 학벌 및 학점 >>> 대학원 학벌 > 연구 세부 분야 일치도 > 연구 역량 (논문 등) > 과제 특허 등 (석졸 기준)
참고로 제 개인적 의견이고, 기업에 따라, 또한 해당 면접관 성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항상 유의하세요 정답은 없습니다!
++ 대학원 학벌은 spk 미만 잡이라는 의견이 많던데... 온라인 특성상 다들 눈이 많이 높으신 느낌이고 ky, -ist, ssh 까지는 대기업 연구직으로서 충분히 메리트 있다고 생각합니다
2025.03.11
그리고 대기업과 과제를 하든, 중소기업 혹은 더 나아가 벤처기업과 과제를 하든 중요한 건 내용과 분야지 기업의 규모가 크다고해서 큰 메리트가 있는 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제 주변에 삼전이랑 과제하는 연구실 많은데, 그 학생들 이번에 삼전 다 떨어진 거 보면.. 허허
2025.03.11
친절한 답변 감사합니다. 참고해서 잘 준비하겠습니다.
2025.03.11
서성한보다 훨 낫지 뭘 고민함
대댓글 1개
2025.03.11
저는 괜찮다고 생각하는데 주변에서 위쪽가는게 어떠냐고 계속 이야기를해서요
2025.03.12
분위기 좋고 과제도 많이 하는데 뭘 더 고려함
2025.03.12
그정도면 당연히 지원할 만 하죠
2025.03.12
지거국도 연구실마다 천차만별이니 그 랩이 어떤지 잘 알아보세요
2025.03.12
연구실 분위기 좋고 과제 많으면 지거국이어도 괜찮음. 오히려 과제 많으면 경험 쌓기 좋고 논문 실적도 따라오기 마련이라 취업이나 박사 진학에도 유리함. 다만 지도교수님 평판이나 졸업생 진로는 꼭 한번 더 체크해보셈.
2025.03.11
대댓글 1개
2025.03.11
2025.03.11
대댓글 7개
2025.03.11
2025.03.11
2025.03.11
2025.03.11
2025.03.11
2025.03.11
2025.03.11
2025.03.11
대댓글 1개
2025.03.11
2025.03.12
2025.03.12
2025.03.12
2025.03.12
2025.03.12
2025.03.13
대댓글 1개
2025.0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