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Mdpi 부실저널?

2025.07.30

8

534

인가요?

막 들어오신 교수님 연구논문 보니 mdpi가 많아서 질문드립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8개

2025.07.30

상당히 민감한 주제인데, mdpi가 발행하는 수많은 저널들 중 실제로 약탈적 저널로 운영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부실한 peer review 를 시행하거나 아예 시행하지 않는 저널은 없을겁니다.
하지만 mdpi 계열의 리뷰 프로세스가 전통적 저널에 비해 대단히 빠르고, 리뷰어 요청을 받은 분들에 따르면 본인의 세부전공과 상관없는 리뷰를 요청받았다거나, 본인의 의사에 반해 에디터가 노골적에 가까운 중재를 섰다는 정도의 증언은 있는 것으로 압니다.
한국은 국립대학들을 선두로 mdpi 계열의 모든 저널을 연구실적으로 인정하지 않는 등의 극단적인 조치를 취하고 있기는 한데, 또 mdpi 계열지 중 나름 수준을 인정받는 저널도 있습니다.
몇 년 전까지만 해도, 'if 를 올리기 위해 약은 수를 쓰는게 눈꼴시린 저널들' 정도의 인식이었고, 특히 젊은 포닥이나 대학원생들이 임용, 재계약을 위해 본인 논문의 전통적 명성을 좀 깎는 대신 정량 지표를 끌어올리는 선택지 정도의 인식이었던 것 같은데, 요즘은 좀 더 부정적으로 보는 것 같긴 하네요.

2025.07.30

1. MDPI 출판사는 다른 대형 출판사에 비해 전통성도 없고 처음 나왔을 때 빠른 리뷰와 부실한 피어리뷰 과정으로 MDPI의 저널들은 좋지 못하다라는 인식이 있음

2. 100% open assess에 중국의 물량공세로 인한 IF 올리기로 좋지 못한 저널(Q3~Q4급)이 Q1~Q2급의 IF를 가져 사람들이 사기라는 인식이 생김. 돈만 내면 실어주고, 실력에 자신 없는 사람들이 실적 부풀리기로 내는 곳이라는게 된거임. 그러다 보니 IF를 중시하는 한국에서는 임용 시 MDPI는 SCI지만 취급안되는 경우가 있음.

3. 그래도 논문 같지도 않은 걸 낸다고 받아주진 않으며 허들이 있음. 특히, 저널by저널이라 일부 저널은 좋은 논문들도 나오고, 피어리뷰 과정도 나름 투명해서 인정되는 저널도 있음

4. 실제로 "IF"를 메인 지표로 논문을 판단하는 나라는 동아시아권이 가장 심하고, 미국은 크게 신경을 쓰진 않음(물론 높으면 좋음). 저널 선택 기준의 1순위는 분야의 적합성과 전통성임. 전통성은 그 저널에 단단한 독자층이 있기 때문에 본인 연구가 잘 알려지고 인정받기 때문임.
그래서 의외로 open assess에 MDPI 특유의 직관적인 저널명 등을 싫어하지 않아 종종 내는 중견급 교수도 있음. 보면 그런 교수들을 타켓으로 MDPI에서 무료 게재를 해주며 논문 초청을 함. 거기다 MDPI는 특별호로 돌아가는 저널들이라 주제도 딱 그 교수 타겟에 맞추는거임.

대댓글 1개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2025.07.30

개인적으로 MDPI는 중국정부의 돈줄 중에 하나라고 느낄만큼 중국인이 외국영어이름 써서 주기적으로 논문 제출하라고 메일옴
다른 전통적인 저널처럼 분야의 전문가들이 봉사의 개념으로 에디터 하는거랑 다르게 MDPI는 '전문'에디터들이 관리함.
문제는 왜 그 '전문' 에디터들이 다 영어이름을 쓰는 중국인이냐?
그리고 왜 게재료는 스위스 프랑으로 지불하냐? 근데 왜 오피스는 다 중국에 있는데?
학계에서 계속 논쟁속에 있지만 개인적으로 더이상 MDPI에 논문 내거나 리뷰 할 생각 죽어도 없음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