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경희대 학부 연세대 석박 vs 연세대 학부 연세대 석사

2025.07.23

8

1166

삼성이나 sk같은 유수의 기업에 입사하여 임원까지 치고 올라감에 있어서 물론 인사고과 같은 부분들이 더 중요함을 알지만 그런 변수들은 모두 같다고 볼 때 학벌이 미치는 영향만 놓고 보면 어느 쪽이 더 높은 가능성과 승진률을 가질까요?

경희대 전자공 학사 - 연세대 전자공 석사+박사
vs
연세대 전전 학사 - 연세대 전전 석사

두 경우 모두 대학원에서 연구했던 분야와 밀접한 분야를 회사에서 다룬다고 가정하면 좋을 거 같습니다.

Ps. 시답잖은 학벌 비교를 하려는게 아니라 제가 이번에 편입을 준비하고자 하는 과정에서 부모님이 편입을 1년 준비할거면 석사까지만 할 생각으로 하는거 아니면 하지 말라고 하셔서 그냥 스트레이트로 석박을 할지 편입 시도해서 학부를 바꿔볼지 고민 중이어서 여쭤봅니다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8개

2025.07.23

비교가 안되는데요.

결국 석사 vs 박사잖아요.

대댓글 2개

2025.07.24

네 그런데 전자의 케이스가 박사 학위를 위해 쏟는 시간동안 후자의 케이스는 회사에 먼저 들어가서 승진하고 실적을 쌓는다는 가정하에 누가 임원 승진에 유리한지 궁금해서 여쭤봤습니다!

2025.07.24

그렇게 따지면 그냥 학사하고 취업해서 경력쌓는게 이득이지.

2025.07.24

의미없는 비교입니다
회사 임원되는 과정에서 고과가 더 중요하지
여기서 어느 학벌이 좋네마네를 따지는건 의미없어요
그 자리 까지 올라가는 사람 숫자자체가 적으니 일반화하는게 의미가 없습니다
연세대 석사를 노리신다면 그 시간에 공부를 하시던 차라리 뇌를 쉬는게 나음

2025.07.24

연대 편입 ㄱㄱ 전전이면 더더욱
침착한 임마누엘 칸트*

2025.07.24

의미없음. 박사와 석사는 같은 필드에서 싸우지않음

2025.07.25

똘똘한 연대 전전 학/석사였다면, 회사에서 박사 가라고 학술연수 공짜로 월급주면서 보내줍니다.

2025.07.25

석사와 박사를 비교할 때는 석사급 채용때 박사가 지원할때 말곤 거의 없음..
애초에 기대 역할, 하는 일 모두 다름.. 연구/논문작성 등 관련 일이면 박사>>>석사고, 연구는 박사를 중심으로 밑에 석사들이 보조하는거임. 서울대건 하버드건 상관없고요. 연구 외 다른 일은 모르겠네요.. 그냥 일 잘하고 짬 잘차고 줄 잘 선 사람이 승진하겠죠.

그리고 편입하면 부모님이 석사까지만 하라했다 는 둥의 이야기가 있는데 박사는 부모님이 하라/마라로 결정할 문제가 아닙니다.. 연대 편입하고 박사까지 하면 되죠. 1년이 큰 것 같나요? 박사하면 딱 4년/5년 만에 학위를 받을 것 같나요? 어차피 박사 학위 받는 시간이 편차가 큽니다. 1~2년 왔다갔다는 기본이에요. 그리고 보통 이공계 박사과정이면 다 돈 받으면서 학비 전혀 안내고 다니구요. ist 다니면 학비 무료고.
박사 학위하고 나면 최소 20후~30초는 되실껀데 부모님이 그런 것 까지 결정해주니 마니 그런 마인드면 박사 받기도 힘드실꺼고 받아도 연구 길은 안 어울리신다고 생각되네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