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지원할 랩실은 어떻게 선정하는 건가요?

2025.07.21

8

774

3-1 진학 예정인 생명공학 학부생입니다.
학점이 3점 중후로 높진 않지만 그래도 공부하는 것이 싫다고 생각한 적은 없고, 항상 배움에 아쉬움이 남기도 하고, 성향도 흔히 알려진 연구자 체질이어서 대학원에 진학하는 것이 좋겠다고 생각 중입니다.
스펙은 토익 800중반 말고는 없어서 학부생 인턴이라도 다음 겨울방학을 노리고 지원해볼까 싶습니다.
그런데 어떤 연구실에 지원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이왕이면 인턴하는 곳에서 석사 진학을 하면 좋을테니 어느 정도 신중하게 고르고 싶은데, 랩실 선정은 도대체 어떻게 하는 건가요?

수업은 엇학기로 좀 꼬여서 고학년 수업까지 다양하게 들어봤는데 그냥 전부 흥미롭다... 전부 재밌다는 정도만 느껴지고 어떤 과목을 기피하고 싶다, 어떤 과목을 특별히 더 자세히 배우고 싶다 그런 건 딱히 없었습니다.
다들 어떻게 관심 분야가 생기는 건가요... 저는 그냥 석사에 진학할 운명은 아닌 건가요...?
지원을 하려면 지원 동기도 분명 있어야 하는데요... 도움이 필요합니다 ㅜㅜ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8개

2025.07.21

네 연구자 체질이 아니십니다

대댓글 1개

2025.07.21

한줄 띡 써놓고 학부생한테 너무 매몰차게 말한거 같아서 계속 썼다 지웠다 하고 있는데... 도저히 어떻게 말해야 할 지 모르겠습니다. 하고싶은 연구가 없는데 왜 대학원을 가려고 합니까?

2025.07.21

학점이 3점 중후로 높진 않지만 -> 왜 학부생 기간동안 열심히 하시지 않았나요?
그래도 공부하는 것이 싫다고 생각한 적은 없고 -> 싫다고 생각한 적 없다고 하시지만 공부를 제대로 하시지 않았습니다.
항상 배움에 아쉬움이 남기도 하고 -> 아쉬움이 남으시면 우선 눈 앞에 놓여있는 공부부터 열심히 하시는게 어떠신지...
성향도 흔히 알려진 연구자 체질이어서 대학원에 진학하는 것이 좋겠다고 생각 중입니다. -> 지극히 주관적인 본인 생각이십니다...

그런데 어떤 연구실에 지원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 하고 싶으신게 없으신데 대학원 진학을 생각 하시나요?
이왕이면 인턴하는 곳에서 석사 진학을 하면 좋을테니 어느 정도 신중하게 고르고 싶은데, 랩실 선정은 도대체 어떻게 하는 건가요? -> 찾아보십쇼... 조금만 찾아보면 정보가 수두룩하게 나오고 정 모르시면 지도 교수님께 상담을 하십쇼...

2025.07.21

배움에 아쉬움이 있는것보단 연구에 갈망이 있을때 가는 곳이 대학원이고 그래야만이 성공적인 연구자가 될까말까입니다
제 경험이구요
대학원은 의무가 아니라 오히려 일부사람들에겐 손해입니다
잘 판단하세요

대댓글 1개

2025.07.21

그리고 혹시 군대 석사연구원이나 박사 연구원으로 째고싶어서 그러는거면 그냥 군대가세요
그게이득임

2025.07.21

뭐 다 상관없는데, "흔히 알려진 연구자 성향" 은 95% 정도는 의미 없습니다. 연구 해보기 전까지는 본인이 연구자 성향인지 아닌지 아는게 불가능하다는 의견입니다.
아무튼 2학년 끝난거면 흥미있는 분야 없을 수 있죠. 오픈랩데이 같은게 있으면 좋을텐데, 아무튼 학부생들 대상으로 연구실 소개하는 행사 같은것들이 있을겁니다. 그런거 참석해보고, 대학원 다니는 선배들 얘기 들어보고..
개인적인 추천은, 나는 정말 이것만은 하기 싫다 하는거 우선적으로 제외하는 건 중요하구요. 반면에 이게 진짜 하고싶다, 하는건 아주 높은 확률로 해당 분야를 알지 못하는 상태에서 오해하고 있는 것일테니 너무 얽매이지 않는걸 권하고 싶군요.

2025.07.21

도피성은 아니나 딱 애물딴지가 되기 쉬운 형태임
연구, 실험, 공부가 재밌다- 대학원은 앞에서 말한 것 외에 잡무도 많고 매우 단편적인 것만 했을 가능성이 큼. 쉽게 지침

전부다 흥미롭다- 사람이 모든 분야에서 뛰어날 수 없고 이는 천만명중 1명만 가능할 듯, 전부다 흥미로운 부분만 본 것이나 그 중에 선택을 하지 못했다는 걸 보여줌

차라리 석사해서 전공 살려 밥벌이 하겠다가 더 잘할 가능성이 있음
대학원은 하고 싶은 걸 정했지만 하고 싶은 것만 할 수 없고 하고 싶은 것은 교수가 되야 할 수 있음 그 아랫 단계는 시키는 것만 해야되고 그러니 최대한 하고 싶은 것을 러프하게, 큰 범위에서 잡으세요. 나중에 하고 싶은 걸 할 수 있는 밑천을 만드는 게 대학원 입니다

2025.07.21

여기 연구만 하느라 사회성 고갈된 체 베베 꼬인 사람 많은데 걍 무시하고, 학부생 때 인턴이든 해보면서 적성 찾고 하는 겁니다. 학부생이 학부수업 몇개 들어보고 뭘 판단하겠나요

먼저 흥미 느낀 과목 교수 연구분야부터 해당 분야 논문, 연구동향, 랩실등등 하나하나 알아보세요. 아는 게 많아야 보이는 게 많아집니다. 인턴 랩실이 진학 랩실이 되면 좋지만 지금 따져가며 알아볼 필요는 없습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