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교수님이 선행연구 정리해오라고 하셨는데 어떻게 해야 하나요

2025.07.19

4

673

안녕하세요. 곧 석사 입학 예정입니다. (사회과학)
감사하게도 입학 전 연구용역에 연구보조원으로 참여하게 되었는데...
교수님께서 본격적으로 연구 시작 전에 선행연구를 정리해달라고 하셨어요.
그런데 이걸 얼마나 어느정도로 어떻게 정리해가야할지 고민이 되네요...
아직 입학 전이라 물어볼 사람도 없어 여기에 글 남깁니다ㅠㅠ

양을 어느정도로 해야할지도 궁금하고...
변수별로 선행연구를 찾으면 될까요...
뭔가 좋은 논문만 써야할 것 같은데 저한텐 아직 그런게 안보이거든요....
선행연구 리스트에 넣을만한 논문의 기준 있을까요 ㅜ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4개

2025.07.20

실험실 선배에게 물어야 할 내용인듯…

2025.07.20

전 이공계열이라 사회과학쪽이랑은 좀 다를수 있는데..

보통 선행연구를 정리하라고 하면, 그 분야를 처음 언급한 or 시작한? 논문이 있고, 인용수가 유난히 높은 특정 논문이 있습니다. 보통 저 인용수가 높은 논문 이후로 해당 분야에 논문이 더 많이 나오기 시작하죠

이걸 아는 쉬운 방법은, 해당 분야 최신 논문들 다운받아서 인트로를 열심히 읽어보는 겁니다. 보통 이공계열은 비슷한 분야에서는 인트로 하는 말이 다 비슷비슷해요. 이 분야는 뭐가 메리트고 이러이러한 이유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 근데 우리 논문은 기존에 어떤 한계를 어떤 방식으로 극복하겠다.

이때 인트로에서 인용된 논문들을 살펴보면 교집합이 존재합니다. 공통적으로 인용되는 논문들이 몇 개 있어요. 이 논문들을 다시 열심히 읽고, 특히나 인트로를 확인하면서 이 논문들은 또 어떤 논문들을 본인 논문의 background로 삼았는지를 확인해보시면 됩니다.

2025.07.21

지금은 어떤 일에 대한 결과가 중요한게 아닙니다. 결과를 잘 만들어서 가져가려고 하지 말고 과정 속에서 '왜'를 찾아서 교수님께 보여드리는데 집중하세요

2025.07.21

최근 몇 개 논문들 찾아보시고 그 논문들이 어떻게 선행연구를 정리했는지 일단 보세요
물론 그건 논문에 들어간 거라 스타일은 다를 것이지만,
어떤 분류 기준(taxonomy)을 발견할 수 있을 거에요

그 기준을 우선은 헐겁게 세워서 관련 논문들 리스팅하고 나서
실제로 논문들 자세히 보면서 점차 세밀하게 쪼개어가면 됩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