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저년차의 논문 읽기와 작성에 관하여 ...

2025.04.10

9

1148

안녕하세요 올해 석박통합으로 대학원에 입학한 1학기차 학생입니다.

제 고민은 다름 아닌 논문에 있습니다.

논문을 읽으면 무슨 말인지 하나도 모르겠고, 얻어가는 것도 하나도 없는 것 같습니다.
제가 영어를 못해서 더더욱 그런 것 같습니다.
나중에 이런 논문을 써야 한다니 막연하고 두렵습니다.
열심히 공부하며 시간을 보내면 논문도 술술 읽히는 때가 오고, 논문도 문제 없이 쓸 수 있을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9개

2025.04.10

번역기 끼고 보세요
전체 번역하지 마시고 막히는 부분, 단어 를 문장 째로 번역기 돌리시구요

팁을 드리자면 바이오 분야 논문은 method 부분이 있습니다
거기에 있는 실험 방법에 대한 목적을 전부다 찾아보고

Abstract-discussion or conclusion - result 순으로 읽어보세요
서론과 결론을 읽고 결론과 결과가 같은지 결과들이 결론을 설명하는 방향인지 보시면 됩니다

2025.04.10

한국어로 논문을 정리하면서 읽어보세요.
그 뒤, 그 논문을 다른 사람이 정리한 글과 비교해 보세요.

2025.04.10

배경지식이 부족해서 그런겁니다. 일단 이해가 안되더라도 최대한 많이 읽어보시길 바랍니다. 아무 생각 없이 읽으면서 배경지식을 쌓다보면 그냥 이해가 되는 순간이 올겁니다.

2025.04.10

1학기차에 논문 보고 뭔소린지 모르는거야 특이한일도 아니죠.
사실 박사 졸업까지도 영 헤매는 사람도 없는건 아닌데.. 아주 많은 경우에 열심히 하면 경험이 다 해결해주더라구요.

2025.04.10

1.abstract 보고 핵심 내용 파악
2. Discussion 보고 저자가 어떤 논리로 결과를 해석했는가
3. Method 를 보고 논리와 가설을 뒷받침하기 위해 어떤 실험을 했는가
4. 결과 보기

2025.04.11

나도 느끼는건데 영어가 딱히 중요하진 않은듯
그냥 한국말로 적혀있어도 모르는 말일 경우가 많더라 ㅋㅋ

2025.04.11

개인적인 견해이지만 도움이 될 수 있을거라고 생각해서 적습니다.
1. Title 파악하기
제목이 곧 논문의 얼굴이에요. 제목을 정확하게 알아야해요. 제목에 있는 단어 모르겠다. 그럼 바로 검색해서 알고 넘어가야합니다. 제대로요
2. Abstract 이해하기
이 논문을 요약한 요약본입니다. 이걸 완전히 이해하고 넘어가야해요. 제목과 마찬가지로 중요하지만 자세하진 않아요.
3. Figure 훑어보기
사실 논문이 이해가 안가는건, 그리고 고년차일수록 논문을 빠르게 읽을 수 있는건 제 생각에 아는 데이터가 많아져서라고 생각해요.
그래서 figure를 많이 접해보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1번부터 쭉 훑어보면서 모르는 데이터 셋이 나오면 무슨 기기로 뭘 분석한건지 찾아보세요. 좋은 양식을 얻기 위해서는 IF 높은 저널을 추천드립니다.
그림을 알면 내용이 자연스럽게 이해가 갑니다.
4. 빠르게 result 읽기
만약 그림을 보고 얼추 이해가 갔다면 데이터 해석한 내용을 훑습니다. 그러면 이제 내가 생각한 스토리랑 맞는지? 매칭이 잘 될 거예요. 헷갈린다면 figure 만 긁어서 프린트해서 보면서 읽으시면 좀 더 도움이 될 거 같아요.
5. 결론 상상하면서 conclusion 맨 앞과 끝부분 확인하기
보통 conclusion에 왜 이실험을 시작했는지가 나오고 마지막에 그래서 우리가 어떤 결과를 냈는지 설명하면서 끝납니다. 내용이 이해가 잘 갔다면 맞네 이 사람들이 이걸 해냈네 잘 극복했네 하면서 읽기를 마무리 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저도 여전히 논문 읽는게 어렵고 힘들지만 조금이라도 서로 도움이 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화이팅

2025.04.11

결론적으로 다 똑같음 첨엔 논문 읽으면 무슨 말인지 모르겠고 힘든 거 당연함 영어 문제라기보단 분야 용어나 배경지식 부족이 더 큼 솔직히 논문 여러 번 반복해서 읽고 모르는 부분 따로 정리해서 찾아보는 식으로 꾸준히 하면 어느 순간 술술 읽히기 시작함 글 쓰는 것도 결국 많이 읽고 따라 쓰다 보면 익숙해짐 처음부터 너무 걱정 말고 일단 반복해서 읽는 연습부터 추천함

2025.04.11

처음엔 나도 논문 한 편 읽는데 며칠씩 걸렸는데 지금은 하루에 몇편씩 읽는걸 보면 분명 늘긴 늘어 걱정말구
논문 읽을 때 실험방법이나 결과부터 천천히 따라가면서 읽으면 의외로 내용이 잡히니까 한번 해봐~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