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대 전자전기공학부 2학년에 재학중인 학부생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현재 대학원 진학을 고민하고 있는데, 제가 원하는 정보가 잘 없어서 질문글을 올리게 되었어요.
우선 대학원을 가고자 하는 목적은 AI와 관련한 연구 및 능력 증진 입니다.
아직 전공 지식도 전무한 학부생이지만, AI 도구를 사용하며 엄청난 센세이션을 겪었던 저로서는 앞으로 미래에 돈을 벌어먹고 살려면 무조건 AI를 잘 다룰수 있는 사람이 되어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저는 단순한 반도체 설계, 코딩 뿐만 아니라 AI라는 엄청난 도구에 대해 학습을 하고 싶었으나 저희 학교에는 AI와 관련한 커리큘럼이 아직 부재하더라구요.
그래서 대학원을 진학하고자 결심하였습니다. (원래는 AI학과를 복수 전공하고자 하였으나 복수 전공할 바에는 그냥 대학원을 가라는 조언을 들어 복수 전공 선택지는 고려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spk의 AI 대학원을 진학하기 위해서 필요한 스펙이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니 대학원 입학을 위해서는 어느정도 학벌이 중요하게 작용한다는 조언이 자주 눈에 띄었습니다. 또한 저희 학교에서 spk AI 대학원을 진학한 선배도 중앙대는 sky에 살짝 밀려서 상위 레벨 학교보다 상대적으로 논문이나 인턴 경험 등 채워야 할 스펙이 더 많다고 말씀하시더라구요.
그래서 대학원 진학을 위해 ky로의 편입을 하는 것이 좋을지, 그냥 다니는 학교에서 연구, 논문 스펙을 쌓은 후 대학원에 진학하는게 나을지 고민이 되네요 ㅠㅠ
어떤 방법이 더 좋을까요?
(제 학점은 4.2X/4.5(전체), 4.3X/4.5 (전공) 이구요. 토익은 작년 여름에 공부 안하고 800 (LC 430, RC 370) 나왔습니다. 편입을 하게 된다면 제가 다니는 과와 같은 과로 편입할 생각입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3개
2025.03.12
중대 학부가 대학원 입시에 ykssh랑 큰 차이가 있는지 모르겠음 편입 준비할 시간에 spk 랩실 컨택해서 인턴하고 자대 학부연할듯
2025.03.13
대학원 진학을 위해 굳이 편입을 준비해야 할 정도인가 싶네요
2025.03.13
편입한다고 무조건 유리한 건 아니고, 오히려 편입 적응기에 시간 뺏기면 연구나 인턴 경험 쌓기 힘들 수도 있어요. 학부 간판도 중요하지만 결국 대학원은 연구 경험이나 논문 실적이 더 크게 작용하는 경우가 많아서, 지금 학교에서 교수님 랩 들어가서 실적 쌓는 게 나을 수도 있어요. 편입 준비할 시간에 차라리 연구 경험 늘리고 논문 써서 AI 관련 스펙 만드는 게 현실적으로 더 낫다고 봅니다.
2025.03.12
2025.03.13
2025.0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