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포닥 학교 상담부탁드립니다.

2025.03.12

7

752

안녕하세요. 중위권 대학 기계과에서 soft robotics하고 있는 박사과정입니다. 목표는 정출연으로 잡고 있습니다. 해외포작은 결혼때문에 생각이 없습니다. (정출연 안되면 회사갈 생각입니다)

실적은 주저자로는 Adv. Mat 1편(공동1저), 10% 이내 3편입니다.

전문연 중이라 2+1에서 +1을 원래 연구소에서 할까하다가 목표기관이 +1 내에서는 논문이 괜찮은게 안나올거 같아서 대학으로 생각중입니다.

학벌이 낮기도하고, 실적이 좀 필요한거같아서 SKP 연구실도 둘러보고 있는데 1년 이내 제가 갔을 때 괜찮은 페이퍼가 나올 거같지 않아서 걱정인 와중에,

유사한 중위권 대학에서 화학과에서 Soft robotics를 하시는데, 매년 탑급 논문을 쓰시는 교수님이 계셨습니다. 이쪽 재료랑 제가 하던 공정이랑 결합하면 괜찮은 페이퍼가 나올거같은데,

염려스러운건 1) 낮은 학벌에서 애매한 옆그레이드 2) 기계과에서 재료쪽으로의 포닥 같은 부분때문에 선뜻 용기가 나지 않습니다.

저와 유사한 사례를 보았거나, 경험하신분들의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7개

2025.03.12

정출연 입사할때는 학벌보다 실적이 좀더 크게 작용할겁니다. 제가있던 기관에서는 대놓고 서포카 뽑으라는 말이 암묵적으로 내려왔었지만, 그럼에도 경쟁자에 비해서 비슷한 실적일때나 가능한거지 절대 실적차이 큰데 원하는사람 못뽑는 구조입니다.
그나저나 어느분야로 가실지 잘 고민해보세요. 소프트로보틱스라고 해도 사실 회의적인 시선도 워낙 많기도하고요. 재료쪽을 살리실 계획이신지, 아니면 설계쪽을 살리실 계획이실지 등등에요. 퍼블리케이션을 보면 재료쪽이신듯한데, 재료쪽은 워낙 높은 IF n편들이 많아서 경쟁이 치열할수도있습니다. 재료과에서 로봇분야 어플리케이션으로 조금깔짝거리고, AM/AS/넷컴사어/사이언스로보틱스까지 게재후 "나 로보틱스 전문가야" 라고 하는사람들 많은데, 기계과베이스의 로보틱스에서 보는 시선은 조금 다를순있습니다.
재료쪽이 아니라 설계쪽일경우 서울대나 카이스트 기계과/항공과에 있는교수님들도 고려해보시는것도 좋고요. 개인적으로 설계쪽으로 넘어갈경우,추가적으로 배워야할것들도 많지만 이 분야는 논문게재가 상향평준화는 아니기때문에 AM공저자 한편마저도 꽤나 강조할수도있을수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재료과/기계과에 걸쳐계시는 오모 교수님랩은 실적은 매우좋지만 개인적으로 추천은 안합니다. 그 이유는 자대생이 왜 진학안하는지가 알려주기도 하고, 예전 한줄평이 다 말해주기도 하죠. 본인이 다른 좋은선택지가 없으면 그래도 논문실적때문에 가겠다고하면 괜찮을수도? 하지만 로보틱스와는 거리가 멉니다.

대댓글 4개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2025.03.13

학벌보다 중요한 건 결국 논문 실적이고, 재료랑 공정 결합해서 좋은 논문 낼 자신 있으면 충분히 도전해볼 만함. 포닥 단계에서 전공 약간 바꾸는 건 오히려 융합 연구로 어필할 수도 있어서 큰 문제 아님. 정출연 목표라면 실적이 최우선이니까 잘 고민해보셈.

2025.03.13

그런데 졸업이후, +1년이 대학 포닥이 되는가요? 학교 내 연구소는 가능하지만 학교 소속은 안되는 걸로 알고있었습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empty

emp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