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인생 선배님들 도와주세요

2025.02.07

19

1276

현재 지방사립대 19학번 졸업자입니다.
연구에 관심이 생겨 학부부터 바꾸자는 생각에
이번 운이 좋게 지거국(부경)에 편입으로 합격한 상태입니다.

입학하게 된다면 28살 학사 졸업
석사 박사까지 한다면 30대 중반에나 졸업하게 될텐데
남들과 비교하여 너무 늦지 않은가 라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편입을 해도 남들보다 늦은 나이, 부족한 스펙으로
제가 원하는 연구를 할 수 있을지도 미지수입니다.

주변에서는 그냥 졸업해서 공무원 시험 준비를 하라고 하는데
편입을 할지 공무원 준비를 할지 너무 흔들리네요

선배님들께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조언 구하고 싶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9개

2025.02.07

고민이 많이 되실 것 같습니다
그래도 이처럼 솔직하게 얘기하시니
그냥 넘어가기엔 좀 그렇네요
보통은 자신을 믿어보고 가기는 하지만
그래도 고민이 되신다면 여기보다는
부모님이나 보다 본인을 잘 아는 분과
얘기해보시는게 더 나을 듯 합니다

대댓글 1개

2025.02.07

부모님께서는 제가 지방사립대를 졸업해서 학부가 안 좋으니
차라리 학벌을 안보는 공무원을 하라고 하라고 말씀해주시는 상황입니다.

확실히 제 스스로 기준이 잡히면 좋겠지만 나이, 스펙 면에서 부족하니
기준도 안 잡히는 것 같네요...

조언 감사드립니다.

2025.02.07

친구들은 취업해서 돈도벌고 결혼도해서 늦은나이에 대학원생 하다보면 현실적인 고민이 들수밖에없는 시기가옵니다. 일단은 방향성은 잡아두고 너무 그것을 성취하기위해 강박을 가질필요는없습니다. 학부만할수도있고 석사만할수도있고 박사까지해서 학계에 남을수도있고 아니면 회사에갈수도있죠 사고에 유연성이없어지면 내계획에는 없던 일이 지나고보면 기회였다고 후회하는 일이 생길수있거든요. 화이팅하시길바래요 그리고 연구와 배움에는 늦음이란 없습니다

대댓글 1개

2025.02.07

좋은 말씀 감사드립니다..
정말 인생의 갈림길 앞이라고 생각하니
생각이 많아지는 듯 하여
커뮤니티에 푸념한 것 같습니다.

잘 생각해보겠습니다.

2025.02.07

객관적으로 진로에 문제생길정도로 늦은게아니니 잘할생각만합시다

대댓글 1개

2025.02.07

너무 조급하게 생각한 걸까요?
열심히 해보겠습니다.

2025.02.07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솔직히 근본이 지사립 출신이면 연구할 머리는 없다고 생각되는데요. 공무원이나 하는게 나을걸요

대댓글 2개

2025.02.08

그럼 어느 정도가 되어야 연구를 할 수 있나요?

2025.02.08

교수님한테 까이고 커뮤에서 다른사람 비하하면 마음이좀 편해지십니까?ㅋㅋㅋ 그리고 공무원은 아무나하나 ㅋㅋㅋ

2025.02.0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졸업하고 재수가 아니고 편입을 했다는 건가요? 본인 상황이 학부 끝나면 28살 지사립 졸업 후 지거국 다시 입학...개나 소나 연구한다고 대학원가니깐 본인도 가겠다는 건가요? 자기객관화 좀 해보시고 비웃기도 불쌍하네요.

대댓글 1개

2025.02.08

관심은 감사하오나,
비난과 조롱은 삼가부탁드립니다.
또한 글을 잘 읽어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첫째, 재입학 후 졸업이 28살입니다..

둘째, 재수를 말씀하신 이유가 궁금합니다.
졸업 후 재수의 경우눈 더욱 졸업년도가 늦어지는데
왜 재수를 말씀해주신건지 궁금합니다.

셋째, 그렇다면 그냥 공무원을 하라는 말씀이신가요?

2025.02.08

연구자가 되고 싶다면 늦었다는 생각은 접고 도전하는게 좋습니다.

대댓글 1개

2025.02.08

조언 감사드립니다!

2025.02.08

편입을 해서라도 연구를 하고 싶다면 하는거고
안정적인 직장 원한다 하면 공무원 하는거고
본인이 원하는 길을 가는거죠

대댓글 1개

2025.02.08

원하는 길 열심히 생각해 보겠습니다..

안정적이며, 연구를 하는 직장을 원하는 것 같기도 합니다.

2025.02.09

여기서 조롱하시는 분들은 학부를 얼마나 좋은 곳을 나오셨길래 남을 까내리나요?

글쓴이분께 솔직하게 말씀드리자면,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서 필요한 지적 센스가 부족하지는 않을지 객관적으로 검토해 보십시오. spk 그 이상의 출신들도 성과를 내기 어려운 것이 연구인데, 본인이 그런 벽에 도전할 만큼 열정이 있는지 생각해보십시오.

공무원 포기하고 연구를 결심한다면, 안정적인 경제적 상황은 포기하셔야 함이 자명합니다. 이런 모든 것에 대한 각오가 있으시다면, 한번뿐인 인생 후회하지 마시고 하고 싶은 연구 하십시오.

대댓글 2개

2025.02.09

전공이론은 따라갈 수 있지만,
데이터 분석 면에서는 부족한 것 같습니다.
이 부분은 노력해야할 것 같습니다...

연구를 하는 직종을 갖게 될 경우
경제적 상황에서 많이 불안정한가요?
현직에서 활동을 하고 계신 분들과
경제적인 얘기를 해본적이 없어
정보가 없어 여쭙습니다,,

2025.02.21

윗분 조언을 보고도 이런 댓글을 단 걸 보면 '편입하면 어떻게든 되겠지?'라는 안일한 생각을 가지고 있는 거 같네요. 평소 행실을 돌아보세요. 본인 노력이 먼저입니다.

2025.02.09

냉정하게 통계적으로 어려울 수 있지만 해내시는 분들은 분명 있습니다.

다만 한국이라는 나라는 조선시대부터 변화하지 않는 태생적 무언가가 있습니다. 앞서 말씀 해주시는 비아냥거리는 의견들이 어찌 보면 틀렸다고는 할 수 없습니다. 사실 선생님의 노력만으로 가능한게 아니라 시대의 흐름과 운동 따라야하는 문재가 있습니다. 즉, 잘 안될 수도 있다는 의미입니다. 그러나 내가 이것을 하는게 즐겁고 또 남들과 비교보다는 내 안의 의미를 찾는데 도움이 된다면 하십시오.

만약 그런게 아니고, 본인이 불안에 떨고, 남들과 비교하는 삶을 살아왔다면 진지하기 고민해보셔야 합니다.

본질은 내가 할 수 있을까 없을까 비교하고 재보는게 아니라, 내가 이것을 통해 가치관과 기준을 더 확실하게 하고 또 인생의 의미를 찾는데 도움이 될까인가이어야 합니다. 그래야 버틸 수 있고 끝이 안 좋을 망정 다시 일어설 수 있습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