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와 석박통합이 많은 연구실 (17명 중에 박사3, 석박12, 석사2) vs 석사가 많은 연구실 (17명 중에 박사3, 석박2, 석사12)
어디가 나을까요?
원래 석박이랑 박사가 많을수록 좋은 연구실이라 들었는데, 석사만 하다보니 저를 잘 안챙겨주실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서 여쭤봐요... or 시키는 일이 별로 없다거나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2개
2025.01.23
저는 전자같은 연구실이었는데 확실히 지도받는게 힘드실 수 있습니다. 다만 사수-부사수 관계가 형성된 연구실의 경우 선배한테 배우는 것도 무시할 수 없을 정도로 좋은 경험이라고 생각해요.
대댓글 2개
2025.01.23
결국엔 가봐야 알겠군요...
2025.01.23
근데 단순 취업 목표시면 선배들 대기업 많이 간 곳 가는게 나아보여요. 인터넷에 널려있는 정보들보다는 선배들한테 정보얻는게 훠어어어어어ㅓ얼씬 양질의 정보라서
2025.01.23
석사로 졸업하고 대기업 취업이 목적이면 석사 하고 졸업생 중에 대기업 간 사람이 있는지를 보면 됩니다
대댓글 4개
2025.01.23
석사 졸업생 중 40%는 미국 top100대학으로 박사진학, 30%는 대기업, 30%는 중견기업 가는 것 같습니다
2025.01.23
다만, 타 랩의 경우, 교수님 실적은 이 교수님보다 안 좋은 편이지만, 석사 졸업생 중 70%는 대기업 가고, 30%는 중견기업 가구요...
석졸 후 대기업 취업이 목적이면 교수님 논문이나 연구 실적은 안 좋아도 석사 졸업생 중 70%가 대기업 가는 곳이 더 나을까요?
2025.01.24
교수님 논문이나 연구 실적은 안 좋은데 석사 졸업생 70%가 대기업 간다는 건 연구 분야가 대기업이 원하는 직무에 굉장히 잘 맞으며 실제 현장에서 쓰이는 실무에 필요한 것들을 많이 배울 수 있는 연구실로 생각됩니다. 논문과 연구 실적이 안 좋은 건 기업에서 수주한 과제 중심으로 돌아가기 때문일 수도 있어요. 기업과제는 논문 실적보다는 실제로 기업이 원하는 결과(특허든 기술이전이든 공정개선기술이든)를 내는 게 중요하니까요. 해당 과제를 수행하면서 대기업과 연줄이 생길수도 있죠. 후자 연구실의 랩장님에게 메일로 입학 의사가 있다고 밝히면서 연구실이 어떤 식으로 돌아가는지 한 번 넌지시 물어보는 것도 나쁘지 않겠네요.
2025.01.24
후자교수님께 아직 답장이 안 왔어서ㅜ 랩장님께라도 한번 말씀드려봐야겠네요. 감사합니다!
2025.01.24
제 동생이라면 전자에 가라고 할거 같습니다만 작상자님 목표가 석사 후 대기업 취업이시니, 후자가 더 적합해 보입니다.
2025.01.24
석사만 할꺼면 후자가 나을 듯.
2025.01.24
연구실 분위기와 연구 스타일에 따라 다를 듯 해요. 석사가 많아서 연구 분위기가 편할 수도 있겠네요
2025.01.25
힘들어도 박사가 챙겨주지 석사는 자기꺼 하는 것도 힘들어서 뭐 근데 중요하지 않다생각합니다. 실제 사람이 중요하지
2025.01.23
대댓글 2개
2025.01.23
2025.01.23
2025.01.23
대댓글 4개
2025.01.23
2025.01.23
2025.01.24
2025.01.24
2025.01.24
2025.01.24
2025.01.24
2025.0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