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미국 상위권 학부 출신 국내 교수 임용

2025.01.11

13

3299

안녕하세요, 현재 미국 10위권 대학에 재학 중인 학부생입니다 (Columbia, UPenn, UChicago 중 한 곳입니다). 나중에 박사학위를 하고는 국내 상위권 대학에 (SPK) 교수 임용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물론 박사 및 포닥때의 실적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은 알고 있지만, 혹시 SPK 자대 학부 출신과 대비해서 임용에 차별이나 불이익이 있을 지 궁금합니다. 박사학위는 자대 아니면 한단계 높은 학교에서 할 거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3개

2025.01.11

SPK면 팔이 안으로 굽는다기 보다는 우리 학부네 하고 참고하는 수준일 겁니다 미국 10위 권 대학이면 예전만큼은 못 해도 학업에 열심인 친구 라고 꽤나 높게 인정 받을 거고요

2025.01.11

박사에게 학부출신을 묻는경우는 아주아주아주 드뭅니다. 임용되고나서 인사할때 반가워할수는 있겠지만 임용단계에서 영향은 아예없다고 보면됩니다

대댓글 1개

2025.01.12

냉정하게 그렇진않아요. 아직도 미박만 뽑는 곳들도 있고, 미국경험없다고 이사회에서 딴지거는경우도 있고, 학부갖고 딴지거는경우도 있고 다양합니다. 많은사람들이 임용시장에 대해서 말할때, 상대경쟁자에 비해서 본인이 부족한게 없어야된다고 합니다. 태클걸만한 요소들이 적을수록 유리하다는거죠. 학부도 분명 태클걸만한 요소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실적이월등해서 누구나 이 사람을 뽑아야되는 공감대가 형성되면 이겨낼수있다 라는게 맞죠. 괜히 본인 학부보다 높은학교로 임용이 어렵다는 말이 나온게 아닙니다.
임용시장에서 경쟁자들은 다들 상향평준화돼있습니다. spk와 같은 학교는 더더욱 그렇고, 여기는 중고신입(타학교 교수/정출연경력자)들과도 경쟁해야됩니다. 거기에서 실적들은 다들 뛰어나죠. 그사이에서 실적으로 두각을 보이는건 쉽지않아요. 그래서 다른 여러요소들중에서 흠집이 보일만한 요소가 적을수록 임용가능성이 높아진다고 합니다. 물론 실적은 필수조건이죠.
그나저나 미국 탑스쿨 학부면 손해보다는 이득이 많을거라 생각합니다만, 왜굳이 한국리턴을 고민하시는지는 이해가 안되네요. spk 인기랩나왔고, 저포함 후배들도 다들 동학교 학석박이고 저는 미국에서 포닥중입니다. 후배들도 요즘에는 다들 한국상황이 애매해서 미국어떻게든 나오려고 노력하는 추세입니다. 미국에서 있다가 한국으로 옮기는건 쉬워도, 반대는 어렵기도 하고요.
그리고 어찌됐든 지금 임용가능성에 대해서 고민하는건 매우매우 시기상조같네요..

2025.01.11

이공계 명문 대학교들의 임용에는 연구 실적이 최우선이기 때문에 우선은 다른 요인들 전혀 생각하지 마시고 염려하지 마시고 훌륭한 연구 실적을 쌓으시는 데 모든 역량을 총동원 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자대 출신이거나 하버드 학부 출신이여도 연구 실적이 그저그렇다면 서류 탈락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2025.01.1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미국에서 stay...

2025.01.11

이공계 연구실적만 탄탄하다면 학부 소용 없습니다

2025.01.12

오히려 외국 출신이 선도될 듯.

대댓글 1개

2025.01.12

선호

2025.01.12

알아두시면 좋은 점은: 박사 고년차때 국내 교수들과 학회에서 인사정도는 해 두세요. 학석박 다 미국에서 한 경우 국내에서 직장 구하는 비율이 높지 않아서 국내 어플라이 안 하겠지 하고 지레짐작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2025.01.12

꿈은 중요하지만, 대학원에서 적성에 잘 맞는지 판단해보세요. 포기하는 친구들이 다반사라서요.

2025.01.14

너무 설레발 ᆢ박사 후 고려ᆢ특정대만 고집하는 건 유치함

2025.01.14

해외 유학파에 대한 편견이나 차별은 없으나 자대보다 더 우대해 주지도 않음

2025.03.02

교수 임용 시장에서 Uchicago, Upenn, columbia 정도면 그렇게 높은 학부 학벌로 느껴지진 않네요. 그렇다면 학벌이 중요한 게 아니라 실적을 잘 쌓아야겠죠…그리고 학부 학벌이 압도적이지 않은 상황에서 설령 mit를 간다고 하더라도 서포카 교수만을 바라본다면 가능성이 높지 않아서 스트레스를 엄청 받겠어요. 약간 나이브 해보이네요. 현실적으로는 10-20위권까지 열어놓고 겸손한 자세로 최선을 다해보는게 좋아보입니다. 그러고나서 잘 되면 좋은 것이지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