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여경, 여군, 여교사 등 다양한 표현이 있지만 어디가서 여교수, 여연구원은 못들어봤습니다.
여자라는 성별보다 연구라는 성과물이 더 중요하겠죠.
제가 존경하는 연구원중에 한분인 박은정 교수님은 40대에 박사학위 받으셨습니다.
여자 박사 졸업나이 33살 늦은걸까요
42 - 여자라고 하도 안뽑아서 일정 비율은 뽑으라고 안전장치를 만들어둔건데, 이걸 여성이어서 가지는 가점이라고 생각하네
여자 박사 졸업나이 33살 늦은걸까요
92 - 뭔..... 할당이라도 안하면 실력있어도 남자보다 안뽑아주니까 그렇지....; 불공정한 경쟁을 할당으로 공정하게 맞추는거라고
여자 박사 졸업나이 33살 늦은걸까요
76 - 굉장히 예의에 어긋나고 실례가 되는 것 같네요.
그런 것은 학교 교무처에 먼저 알아보는게 예의입니다.
인턴이 교수님한테 인건비 질문 예의에 어긋나는 걸까요
10 - 인턴한테 기숙사비 정도도 지원 안 해줄 정도면.. 한번 고민해 보는것도 좋을듯
인턴이 교수님한테 인건비 질문 예의에 어긋나는 걸까요
14 - 안 물어보고 본인이 부담하는 것이 예의 상 맞는 것 같네요
인턴이 교수님한테 인건비 질문 예의에 어긋나는 걸까요
8 - 진학 확정이 아닌 학부생 방학 인턴한테 기숙사비까지 지원해줘야 당연한 건가?
진학 확정이 아닌 학부생 방학 인턴이 랩과 과제 진행에 무슨 기여를 하는데?
지금 알엔디 삭감에 있는 대학원생 인건비도 걱정하는 마당에 딴 세상 이야기 인 듯.
인턴이 교수님한테 인건비 질문 예의에 어긋나는 걸까요
13 - 사실 인턴한테 돈 받아서 가르쳐야하는데 돈까지 달라하노 ㅋㅋㅋㅋㅋ
인턴이 교수님한테 인건비 질문 예의에 어긋나는 걸까요
17 - 윗댓분들은 한국의 유교 사상과 노예 근성에 찌든 사람들이라 무시하셔도 괜찮습니다.
학부 연구생도 엄연히 출근하는 자리이고 마땅히 돈을 받아야 교수님도 일을 제대로 시키시고 님도 책임감을 가지게 됩니다.
큰돈은 아니겠지만 무조간 받는게 맞습니다.
인턴이 교수님한테 인건비 질문 예의에 어긋나는 걸까요
12 - 이런 사람들 때문에 랩에서는 점점 인턴 더 안받으려 하지. 인건비는 보통 과제비에서 나오고 과제 참여를 하고 기여를 하면 받는 건데, 랩에 처음 온 인턴이 가르쳐주고 챙겨줘야 할 게 많을까 열심히 따라한다고 랩에 기여하는 게 많을까. 아침부터 저녁까지 학원가서 배우면 출근했으니 돈 받아야 하나?
한국 어쩌고 하는데 미국도 학부생은 무급인턴 많고 인건비 있는 경우도 학교 공식 프로그램으로 방학에 몇 개월 정해놓고 학생 교육 차원에서 학교 돈이 나가는 경우가 많지 랩 과제비에서 주는 경우는 더 적음.
학생 입장에서 무조건 받으면 좋으니 출근하면 받는 게 당연한 것 처럼 이야기하는데 논리가 있어야 설득이 되지..
인턴이 교수님한테 인건비 질문 예의에 어긋나는 걸까요
11 - 저도 미국에서 무급인턴 해봤고 한국에서 학부연구생도 해봤는데, 제 학교(연세대), 과에서는 교수가 미리 공지를 안한 이상 무조건 줍니다. (방학동안 30~40+출장비)
미국에서도 돈 받아야 마땅하다고 생각했는데 좋은 추천서 받을 것 같아서 참았습니다.
그럼 석사 1-2년차에 contribution 없으면 돈 안주는게 맞나요?
미래를 약속했으니깐 이런 얘기들 마시고요.
저는 솔직히 그정도도 못줄 pi면 애초에 학연생을 안쓰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첫날부터 돈 얘기 꺼내는건 불편한 일은 맞지만 충분히 꺼낼 수 있는 말입니다.
일반회사 인턴들도 돈받고 다니는데 생각들이 이렇게 다르네요.
인턴이 교수님한테 인건비 질문 예의에 어긋나는 걸까요
10 - 돌려서 물어보세요.
이번 인턴 활동하게 된 OOO 입니다.
다름이 아니고, 본가가 타지라 연구실 인턴 생활을 하려면 기숙사를 신청해야할 것 같습니다.
연구실 일정에 폐를 끼치지 않는다면, 주말에 아르바이트 일정을 잡아도 될까요?
아니면 아르바이트 대신, 연구실에서 진행하는 과제에 참여하여 소정의 인건비를 받을 수 있는 기회가 있을까요?
인턴이 교수님한테 인건비 질문 예의에 어긋나는 걸까요
8 - 내 후배 중에 과고출신에 학점 4.3맞은 친구 있었는데, 연구 하는 꼬라지 보면 한숨만 나옴.
난 일반고 출신에 학점 4.0인데, 내가 석사 2년차에 랩장 잡은 뒤에 박사 2년차 그 친구 (군대 안 갔다옴) 흡연장에 끌고가서 존나 털음
요새 과외하면서 드는 과학고와 학원에 대한 생각
10
최근 기술발전의 주체가 대학에서 기업체로 넘어갔다는 생각이 듭니다.
2024.10.11

학자 혼자 수백년간 풀리지 않던 난제를 해결하거나, 심지어 학문의 패러다임을 완전히 바꿔버리는 사례도 드물지만 종종 있었죠.
그런데 21세기로 오면서 현대기술의 주축이 컴퓨터, 그래픽카드, 인공지능과 같은 IT분야에 쏠리게 됐는데
이 분야들은 인력과 자본을 어마어마하게 투자해야 됩니다.
수학, 물리하고는 다르게 그냥 개개인의 머리가 좋은것만으로는 한계가 있어요.
그래픽카드를 예로 들자면, 조그만한 중저가 그래픽카드 하나 설계하는데만 수억달러의 자본과 대학원급 인력 수백명을 몇개월동안 갈아넣어야 됩니다.
엔비디아에서는 인공지능 칩 하나를 연구하는데만 100억 달러를 갈아넣기도 했죠.
그런데 생각을 해봅시다.
현존하는 대학교 소속 연구시설중에 칩 하나 만드는데 100억달러를 갈아넣을수 있는 연구소가 어디에 있을까요?
대한민국의 2025년 R&D 지원금이 26조원입니다.
기업집단 하나에서 대한민국 R&D지원금 절반의 돈을 칩 하나에 갈아넣고 있다는거죠.
그게 가능한 '대학연구소'는 지구상에 존재하지가 않습니다. 오로지 빅테크 기업에 있는 연구소만 가능하죠.
유튜브 추천영상에 종종 어디 대학에서 인공지능논문을 냈다느니.... 구글에서 딥러닝 알고리즘을 개발했다느니....
하면 일반인들은 보통 대학연구랑 기업체 연구를 잘 구분하려 하지 않습니다.
그들이 보기에는 둘다 대단해보이니까요.
하지만 실제로는 빅테크기업과 대학연구소는 발견한 기술부터 연구역량까지 매우 차이납니다.
현대기술발전을 주도하고 있는건 이미 대학연구소가 아니에요
-
49 32 15001
일을 잘 한다는 것. 김GPT 172 12 15779-
66 40 10015
사기업 연구원 김GPT 28 7 8237
사기업 연구소 vs 인서울 공대 교수 김GPT 7 29 11578-
37 12 8265 -
10 8 6792
대기업이 뭐 대단한거임? 김GPT 34 56 7400-
16 15 8608
주저자 논문을 써보고 싶은 학부 저학년들에게 명예의전당 168 21 48755-
377 70 48326
대한민국 학계는 이게 문제임 명예의전당 245 39 93359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진짜 경북대 부산대 출신은 뭐가 있다
123 - 심심해서 풀어보는 대학원생 개꿀AI 앱 모음
99 - 요즘 글 올라오는 꼬라지보니 개혁이 필요하다
97 - 미국 포닥... 서당개도 3년이면 풍월을 읊는다더만..
26 - 여자 박사 졸업나이 33살 늦은걸까요
7 - 내 손으로 글 썼는데 카피킬러 걸렸을때
19 - 컴퓨터공학과 대학원생 특
15 - 교수님들도 트렌드 좋아하시나 보다.
4 - 김박사넷 여러분 스승의 날 행사 준비 평가해주세요
12 - 타대교수님께 제 아이디어를 말씀드려도 될까요?
3 - 원래 연구가 이런가요
3 - 의사들은 파업이라도 할 수 있지,,,
10 - 보통 연구비 당 논문 몇 편 정도 게재함?
5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인턴이 교수님한테 인건비 질문 예의에 어긋나는 걸까요
28 - 대학원 연구비 다들 어느정도 받으시나요? (석사)
24 - 엘스비어 저널 메이저 리비전 후 2차 리비전..
12 - 독일 학부 후 국내 대학원
8 - 요새 과외하면서 드는 과학고와 학원에 대한 생각
14 - spk 대학원이 특별히 더 좋은 점이 뭐가 있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13 - 석사과정동안 석박 졸업 요건을 이미 다 채웠다면
16 - 논문 작성 영어
12 - 정출연 -> 사기업 이직 고민
8 - 편입하면 학벌은 전적대와 편입한대학의 중간이 되나요?
25 - 대학원 입학 관련
9 - 학연생의 국제 학회 후기
9 - 제가 대학원생은 아니지만 궁금해서 물어봅니다.
10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진짜 경북대 부산대 출신은 뭐가 있다
123 - 심심해서 풀어보는 대학원생 개꿀AI 앱 모음
99 - 요즘 글 올라오는 꼬라지보니 개혁이 필요하다
97 - 미국 포닥... 서당개도 3년이면 풍월을 읊는다더만..
26 - 여자 박사 졸업나이 33살 늦은걸까요
7 - 내 손으로 글 썼는데 카피킬러 걸렸을때
19 - 컴퓨터공학과 대학원생 특
15 - 교수님들도 트렌드 좋아하시나 보다.
4 - 김박사넷 여러분 스승의 날 행사 준비 평가해주세요
12 - 타대교수님께 제 아이디어를 말씀드려도 될까요?
3 - 원래 연구가 이런가요
3 - 의사들은 파업이라도 할 수 있지,,,
10 - 보통 연구비 당 논문 몇 편 정도 게재함?
5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미국 CS석사 가는게 맞을까요
18 - 서성한 미박 진학 고민
11 - 인턴이 교수님한테 인건비 질문 예의에 어긋나는 걸까요
28 - 대학원 연구비 다들 어느정도 받으시나요? (석사)
24 - 엘스비어 저널 메이저 리비전 후 2차 리비전..
12 - 요새 과외하면서 드는 과학고와 학원에 대한 생각
14 - spk 대학원이 특별히 더 좋은 점이 뭐가 있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13 - 석사과정동안 석박 졸업 요건을 이미 다 채웠다면
16 - 논문 작성 영어
12 - 편입하면 학벌은 전적대와 편입한대학의 중간이 되나요?
25 - 대학원 입학 관련
9 - 학연생의 국제 학회 후기
9 - 제가 대학원생은 아니지만 궁금해서 물어봅니다.
10
2024.10.11
2024.10.11
대댓글 1개
2024.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