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석사 새내기입니다. 제가 잘 모르는 것일 수 있으나 아카이브 관련해서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제가 알기로는 아카이브라는 곳은 미완성의 논문을 내기 전에 연구의 소유권(?)을 주장하기 위해 올리는 곳으로 알고 있습니다. 따라서 에디터 및 저널에서의 검증은 제대로 거쳐지지 않았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논문을 보면 아카이브를 레퍼런스로 달려있는 것들이 몇몇 보였습니다. 이게 이해가 되질 않습니다. 이는 곧 검증을 거치지 않은 것을 참조 하였다. 라고 생각하였는데요. 즉 논문을 내면서 나무위키를 레퍼런스로 넣은 것과 비슷한 결이 아닌가 싶어서 질문드립니다. 이러한 논문이 문제가 없나요 ?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2개
2024.10.08
다른 분야는 모르겠는데 CS쪽은 저널이나 컨퍼에 등재 안하고 아카이브에만 남겨 놓는 경우가 생각보다 많이 있습니다.
대댓글 1개
2024.10.08
우리나라에서는 그런경우는 적습니다
왜냐면 아카이브는 실적으로 안쳐주거든요
만약 아카이브만있다면 그건 버린주제입니다
2024.10.08
실질적으로 리뷰 프로세스중에 arxiv논문이 중요하게 쓰였으면 지적합니다. 개인적으로도 지적 받았었고요. 보통 리뷰 프로세스중에 출판되서 출판된 논문을 싸이트하게되서 큰 문제는 없었습니다.
대댓글 1개
2024.10.08
개인적으로는 아카이브로부터 오는 단점보다 과학계가 조금 더 빠르게 돌아갈 수 있게해서 좋다고 생각합니다.
2024.10.08
정확한 지적입니다
그래서 만약 아카이브를 인용한걸 리뷰에서 거르지 않은거는
리뷰어나 에디터가
1. 아카이브의 위험성에대해서 인지하는 상태 이고 (대부분 cs임. 컴퓨터랑 멀어질수록 다른분야는 아카이브쓰면 무조건 입구컷당함)
2. 아카이브를 인용해서 얻는 이득이 현저하게 클 경우에
인정을 해주는 것입니다
기본적으로 peer review라는 시스템 자체가 필드내의 비슷한 분야사람들한테 검증을 받는 것이기 때문에
아카이브가 뭔지 알고 용인할수 있는 집단과 사람이면 리뷰가 통과되는 것이라고 보면 되겠습니다
그리고 레퍼런스에 나무위키를 넣으면 안된다는 법은 없습니다.
따로 문헌이없고 나무위키에만 있는 내용이면 나무위키를 넣어야죠
아카이브도 나무위키의 학술버전이라고 생각하면 될거 같습니다.
이러면 또 cs사람들이 달려와서 어딜 나무위키를 비비냐 할텐데
제가볼땐 나무위키가 더 정리가 잘돼있습니다
대댓글 2개
2024.10.08
아뇨 리뷰가 오래 걸리는 분야들은 아카이브에만 올라간 논문이라도 인용하는게 자연스럽습니다. 특히 수학이나 통계 쪽이 그렇습니다. 논문 리뷰가 길면 2년 넘게도 걸리기 때문에 개제되는 시점에 인용수가 수십건을 넘어가는 경우도 종종 있어요. CS나 물리학 처럼 애초에 아카이브를 통해서 빠르게 결과를 공유하는 문화가 있는 분야들도 있고요.
2024.10.08
말씀하신건 리뷰를통한 상호검증, 즉 peer review 프로세스 자체를 부정하는 말씀이십니다
인용수가 수십건을 넘어가면, 비검증된 논문을 인용했다는 사실이 없어지나요?
모두가 신호위반을 하고 썬팅을 한다고 해서, 신호위반과 썬팅이 합법인게 아닙니다.
논리력을 좀더 키우시는게 좋을거같네요
2024.10.08
진짜 아카이브에만 올라가있는 논문을 인용하는 케이스보다, 출판이 됐는데도 대충 그냥 아카이브 논문으로 인용하는 경우가 훠어어얼씬 많습니다. 리뷰할 때 항상 지적하는 부분인데 짓짜 레퍼런스 개판으로 다는 논문들이 요즘 너무 많아요
2024.10.08
대댓글 1개
2024.10.08
2024.10.08
대댓글 1개
2024.10.08
2024.10.08
대댓글 2개
2024.10.08
2024.10.08
2024.10.08
대댓글 3개
2024.10.08
2024.10.08
2024.10.09
2024.1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