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닥을 나가면 미국대학이나 연구소서
적당한 생활비 정도는 받고 계약하니까 어느정도 수준이 되야 나갈꺼예요
Khalil Gibran*
2020.08.02
미국 주립대가 서카포 보다 좋은경우가 '많다'고? 이거 사실과 다릅니다. 서카포 세계대학순위 보시면 알겠지만 미국 웬만한 주립대보다 항상 높고 논문 피인용지수도 항상 높습니다.
2020.08.02
주립대라도 학과마다 미국내 상위랭킹 학과가 더러 있다 이말이겠죠
Joseph von Eichendorff*
2020.08.02
나같음 해외로 감.
우리랩은 본교에서 포닥하면 연봉 3000줌.
근데 그 3000안에 4대보험이나 그런거 다 포함되있어서 실제로 실수령액은 200-220정도 됨.
카이스트인데도 그럼. 오히려 학생때보다 포닥이 더 적게 받는 경우도 발생하기도 함
미국에서 이름좀 들어본 학교라면 해외로 가는게 맞는거 같음
2020.08.02
같은 랩실이나 한국내 랩실에서 포닥하는건 잘 안쳐주는 문화가 있는것도 사실임.
미국이 학계인싸도 훨씬많아 같은데이터로 좋은 저널 나가는 경우도 많음.
2020.08.02
주립대중 미국상위랭킹 학과는 가면 이점이 많아요
실력에 따라 그대학에서 바로 교수로 임용되는 경우도 있고.....미국기업이나 연구소 취업도 잘 되는편이예요
Harold Pinter*
2020.08.02
Khalil Gibran //
서카포는 미국 앵간한 flagship 주립대에 비비지도 못합니다. 서부나 중부 시골 아니면요.
Harold Pinter*
2020.08.02
또 미국가면 처음 2년은 세금 안때서 5-6만불 정도 받음. 뭐 물가 고려해야 겠지만, 한국 포닥보다는 경제적으로 훨씬 안정적임.
유럽은 미국보다 돈 자체는 적지만 포닥 고용이 상당히 안정적이고 (PI 가 prohibition 기간 지나면 함부로 못 짜름) 아기 키우면 월급 더 나오는 등 혜택이 많음.
결정적으로 한국이 아주 잘 하는 분야가 아닌 다음에야(일부 재료분야 교수들), 한국박사 --> 한국포닥 하면 랩실 바꾼다고 해도 별로 높게 평가 못 받음.
Khalil Gibran*
2020.08.02
Harold Pinter // 미국 주립대가 50개입니다.
Khalil Gibran*
2020.08.02
ㄴ flag ship 말입니다
2020.08.02
미국 가면 다 적응하고 살겠지만
한국사람은 한국이 살기 제일 좋은거 같음
미국서 박사를 하든 포닥을 하든 돌아와서
한국서 사는게
제일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중 한사람 ㅋ
2020.08.02
미국 플래그쉽 주립대가 50개씩이나 되나요..? 뭐지..
위키피디아 같은데 나오는 플래그쉽 주립대 명단 가지고 얘기하는건가요
흠 한국 이공계에서 통용되는 명단은 그보단 상당히 적을텐데..
Khalil Gibran*
2020.08.02
ㄴ 주립대는 훨씬 많은걸요 각주마다 대표주립대가 플래그쉽 주립대고 그런 대학이 50개입니다. 50개의 대학을 모두 알고 있는것은 아니므로 이공계에서 통용되지 않는 대학이 몇개 빠질지는 모르겠습니다.
2020.08.02
2020.08.02
2020.08.02
2020.08.02
2020.08.02
2020.08.02
2020.08.02
2020.08.02
2020.08.02
2020.08.02
2020.08.02
2020.08.02
2020.08.02
2020.08.02
2020.08.02
2020.0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