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좋은거죠. 그런데 합격한다는 보장은 없죠. 열심히 준비하면 얻는게 많을것 같내요. 특히 남들 앞애서 자기pr도 해보고 혹여나 다른 교수가 줌으로 만나자고 하면 그때 도움이 될거고. 그냥 1차 시험에 합격했다고 생각하고 준비하면 좋을듯
Harvard에 계신 교수님께 미박 컨택 답변이 왔습니다. 평가 부탁드립니다.
31 - 미국 박사 진학은 대학 이름 큰 상관 없구요. 그냥 1,2학년때 학부 인턴 한번 해보시면 아 내가 유학 가겠구나 못가겠구나 느끼실 겁니다.
그리고 목적과 수단을 잘 생각하세요. MIT가 목적이 되는것이 아니라, 연구가 너무 좋고 하고 싶은 연구가 있어서 그에 따른 수단으로 MIT를 가는 겁니다.
미국 유학가고 싶다면 포스텍도 괜찮은가요
17 - 인터뷰 제의면 매우 긍정적이네요. 면접 준비 집중하시면 될거같아요.
Harvard에 계신 교수님께 미박 컨택 답변이 왔습니다. 평가 부탁드립니다.
15 - 이정도면 그린라이트인거 다 알면서 ㅋㅋ 물어본건데?
Harvard에 계신 교수님께 미박 컨택 답변이 왔습니다. 평가 부탁드립니다.
15 - 예전이 언제인지 몰라도 저는 40대 과고 출신인데 조기 졸업하는 애들은 무조건 카이스트부터였고 포스텍쪽 과고 애들은 카이스트보다 포스텍 선호한다 들었고 종합대 로망 있는 애들은 서울대 선호하고 의대는 가고 싶은 부류 일부가 수능 보거나 의전 가거나 그랬죠 과고에서 어차피 그 이하는 잘 갈 일 없던 시절이고 서울이라고 연고대 이런 옵션은 듣도 보도 못했는데 요즘은 세상이 변한 거 같네요 하위권 일부 아니면 아마 포스텍 좋아하는 분이면 저런 순서도 이해가 갑니다 카이스트도 드라마로 떴지만 포스텍이 더 소수정예 느낌으로 멋졌죠 예전보다 인기는 덜해도 포스텍 출신이면 당연히 많은 지원도 인정도 받고 기회도 주어질텐데 무슨 걱정인가 모르겠습니다
미국 유학가고 싶다면 포스텍도 괜찮은가요
14 - 참 전통파 또박이들 많네 ㅋㅋㅋㅋ 이러니 고인물 소리 듣지 ㅋㅋㅋㅋ 심사 기간이 짧은게 문제임? 아니면 돈을 많이 내는게 문제임? 다 틀렸음. 핵심은 연구자들에게 양적 실적을 요구하는 세상의 분위기와 그리고 이를 편승한 연구자들이 문제인것임. 누구는 좋은 저널 안내고 싶겠음? 근데 연구 1년차에 논문 실적을 요구하는 나라에서 뭘 바람 ㅋㅋㅋㅋ 그리고 저널 퀄이 낮은게 뭐가 문제인지 모르겠네? 무슨 양질의 데이터만 중여한것임? 난 아니라고 봄. 연구과정에서 나온 모든 데이터를 모든 사람이 공유할수 있게 하는게 가장 중요한것이고. 그런 의미에서 저런 저널들도 자기 역할이 있는것임 ㅋㅋㅋ 거짓 데이터를 거지고 만든게 아니면 저런 저널도 휼륭하다고 봄. 이미 자리잡고 사자리 걷어차기 하는 놈팡이들 말에 속지말고 꾸준히 논문 적고 정보 공유하는데 집중하삼. 애초에 저렇게 저널 퀄을 논하는 애들때문에 저런 저널이 나타나서 문제 된 것임.
MDPI 논란 정리해볼게요
21 - 자기도 못 믿을 유니크한 데이터를 이쁘게 가공해서 만들어진 sci 논문 보다 투박해도 가공 없이 사실적으로 게시한 저런 논문이 다른 사람들에게 더 활용될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는 편임. 의미없는 인생도 없고 의미없는 논문도 없음. 그냥 열심히 하시길
MDPI 논란 정리해볼게요
23 - 정신병원 내일 가셔서 당장 약 처방 받으시고 쉬세요
졸업할 때 되니까 진심 ㅈㅅ하고싶은데 원래 이런가요
17 - 뭐 억울할 수도 있고 조심스레 말은 꺼내볼수 있지만...
결국 논문의 주인은 교수님입니다. 애초에 프로젝트 기반으로 시작한 논문이고, 선배 -> 님 순으로 담당학생이 바뀌면서 논문이 적힌거잖아요?
결국 그 프로젝트 책임자인 교수 판단입니다.
교수가 개인적으로 선배를 편애할 수도 있지만, 교수가 볼 때 선배가 프로젝트 초반에 기여한, 길을 튼게 크다고 생각할 수 있어요.
교수도 바보가 아니라서 앵간하면 그럴만하니까 공1 제안을 하는겁니다. 대놓고 저렇게 밀어주면 불만이 생긴다는걸 모르지 않으니까요.
그리고 첫번째 이름이면 단독저자랑 큰 차이 없습니다. 나중에 교수 임용 지원하실때 한 10편정도 1저자 실적이 있다고 가정하면 거기에 공동1저자 첫번째 이름이면, 그게 공동1이든 단독1이든 유의미한 차이가 없을거에요. 선배랑 사이도 고려해서(다음에 선배 논문에 님 이름이 또 잘 들어갈 수도 있잖아요?) 그냥 따르는걸 추천합니다.
공1저자인데 단독저자로 해달라고 요구해도 되나요?
20 - 컨택메일 난사하는거 전혀 문제 없구요
학생이 여러군데 간 보다가 하나 골라가는건 교수님들도 이미 잘 압니다. 자기들도 이미 그래왔는데요 뭘
다만 다른곳 전혀 안썻다는 거짓말이나, 간다고 했다가 다른곳 가는등의 통수만 안치면 됩니다.
컨택 메일 난사했다가 큰일났네요
13 - 말보로 한갑씩 ㄱㄱ
연구실에 돌릴 간식 추천드려요
11 - 아니 이력서는 그렇게 넣는게 맞습니다 코페르니쿠스님...좀 사회생활 안 해본 티좀 내지 맙시다 진짜;;
컨택 메일 난사했다가 큰일났네요
22 - 질문 참 성의없이 하네
어느 분야 어느 쪽에 관심 있다 어디어디 랩실 가고 싶다 써야 뭔 조언을 하든가 말든가 하지
연구자가 되고 시퍼용 편입해야할까용?
초등학생 장래희망 과학자 적는 것도 아니고
팍씨
지금 그 마인드로 컨택 메일 돌리면 읽씹 당하니까
기말고사 먼저 잘 준비하면서
내가 무슨 연구 하고 싶은지 어디로 가고 싶은지
먼저 정하고나서 다시 조언을 구하셈
하위지거국 자연대생인데
11
안녕하세요, 불확실한 교수님의 대응에 대해 여쭙고 싶습니다.
2024.07.08

5월 초에 교수님께 하계인턴에 대한 허락을 받았고, 6월 중순에 면담 요청을 드렸지만, 바쁘신 일정으로 7월까지 미루다 이번 7월 5일에 오픈랩 행사에서 뵙자고 하셨습니다.
그러나 오픈랩 행사에서도 바쁘신 일정으로 면담을 못하게 되었고, 대학원생분들께서도 교수님께서 7월 13일까지 많이 바쁘시고 그 이후에도 아마 휴가를 쓰실 것 같다고 하셨습니다...
결국 면담조차 못하였고, "교수님께서 13일까지 바쁘시고 그 이후로도 일정이 불투명하다고 전해들어, 금일은 아마 면담이 어려울 것 같다고 전해들었습니다. 교수님께서 부담이 적으실 때 괜찮으시다면 다시 한 번 00대학교를 찾아오겠습니다."라고 답장하였습니다.
저는 이 상황에서 무기한으로 기다려야 하나요? 교수님께서 시간이 지나 마음이 바뀌시면서 이렇게 거절하기도 하시나요? 오픈랩을 들어보니, 연구실 주제도 저랑 잘 맞아 포기하기도 아쉽습니다. 선배님들의 조언 부탁드립니다..
-
12 63 9019 -
62 30 11123
교수님이 저자 가지고 장난침 김GPT 27 16 4553
부교수 랩실 괜찮나요? 김GPT 9 10 4666-
6 6 2222
교수님과의 의견 차이 김GPT 5 13 2089
교수님 평가에 대한 질문 김GPT 0 6 7674
대학원 컨택 김GPT 0 3 1209-
12 18 7644
일을 잘 한다는 것. 명예의전당 215 15 22558-
417 75 57666 -
124 40 19031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대학원 재수해본사람이 남기는 면접후기
22 - 라이덴 랭킹 기반 연구 중심 대학 카테고리화
40 - 안녕하세요. 영국 학부 유학 후 국내 대학원 진학 생각하고 있습니다.
3 - 사실 요즘 대학원생 공급량 보면 미래가 보이긴함
40 - 대학원생때 학폭 주도한 인간이 교수된거 보니
27 - 교수가 되려면 공부를 대체 얼마나 하시는건가요
42 - 서울대 교수가 말하는 창의성
36 - 김박사넷 상태 왜이렇게 됨?
26 - 간장게장 Z의 첫 깨달음
39 - 졸업할 때 되니까 진심 ㅈㅅ하고싶은데 원래 이런가요
18 - 대학원 진학 조건이 궁금합니다 ㅠㅠㅠ
8 - 형사법 지도 교수가 없는 경우
4 - 물박사인데 정출연과 5급공무원 가능할까요?
5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MDPI로 첫논문 내지마 엥간해선
21 - 연구, 벤처 = 스캠 인가?
10 - 공1저자인데 단독저자로 해달라고 요구해도 되나요?
17 - 연구실에 돌릴 간식 추천드려요
9 - 대학원생 평균 하루 연구 투자 시간이 얼마나 되나요?
7 - 하위지거국 자연대생인데
12 - 2026년 영국 대학평가기관 QS세계 대학 순위
7 - 연애 대체 어떻게 시작하나요
22 - 선배가 멋대로 저자순위를 정하고 제 기여는 가려질 때, 어떻게 해야 하나요?
8 - 컨택 후 인턴 6달 후 탈락
14 - 천재 K 데뷔했습니다.
25 - 해외포닥 PI가 약속을 미친듯이 바꿉니다
10 - 교수님들은 학부생한테
7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대학원 재수해본사람이 남기는 면접후기
22 - 라이덴 랭킹 기반 연구 중심 대학 카테고리화
40 - 안녕하세요. 영국 학부 유학 후 국내 대학원 진학 생각하고 있습니다.
3 - 사실 요즘 대학원생 공급량 보면 미래가 보이긴함
40 - 대학원생때 학폭 주도한 인간이 교수된거 보니
27 - 교수가 되려면 공부를 대체 얼마나 하시는건가요
42 - 서울대 교수가 말하는 창의성
36 - 김박사넷 상태 왜이렇게 됨?
26 - 간장게장 Z의 첫 깨달음
39 - 졸업할 때 되니까 진심 ㅈㅅ하고싶은데 원래 이런가요
18 - 대학원 진학 조건이 궁금합니다 ㅠㅠㅠ
8 - 형사법 지도 교수가 없는 경우
4 - 물박사인데 정출연과 5급공무원 가능할까요?
5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미국 유학가고 싶다면 포스텍도 괜찮은가요
32 - 안녕하세요? 선배님들의 현실적인 이야기를 듣고 싶습니다.
9 - 학부 졸업 후 다이렉트 유학 준비 중인데, 졸업 유예가 의미가 있을까요?
16 - MDPI로 첫논문 내지마 엥간해선
21 - 연구, 벤처 = 스캠 인가?
10 - 공1저자인데 단독저자로 해달라고 요구해도 되나요?
17 - 연구실에 돌릴 간식 추천드려요
9 - 하위지거국 자연대생인데
12 - 연애 대체 어떻게 시작하나요
22 - 선배가 멋대로 저자순위를 정하고 제 기여는 가려질 때, 어떻게 해야 하나요?
8 - 컨택 후 인턴 6달 후 탈락
14 - 천재 K 데뷔했습니다.
25 - 해외포닥 PI가 약속을 미친듯이 바꿉니다
10

2024.07.08
2024.07.08
2024.07.09
2024.07.09
2024.07.09
2024.0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