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연구 분야가 진짜 중요하네... 논문 많이 써봤자...

J. G. A. Pocock*

2020.07.27

8

7491

대학원에서 너무 마이너한 분야 연구하는거 별로인 거 같음

장점은 하는 사람이 별로 없고, 그만큼 피어리뷰어도 한정적이다 보니 논문 내면 어셉은 잘됨

그러다보니 논문 실적은 엄청 좋고 분야도 나름 유니크하긴 한데.... 

국내엔 이 분야 관심있는 곳이 거의 없어.. 유럽엔 수요가 꽤 있음


근데 난 포닥 중이거든?? 난 취업을 해야돼

근데 취업할 때 회사도 그렇고 정출연도 그렇고 전부 관심이 없음

교수해서 마이너한 분야의 대가라도 되는거면 모르겠는데... 이건 뭐 깝깝하네

대신 취업한 다음 마이너한 분야 하는건 유니크해서 좋다고 생각함

어쨋든 대학원에서는 내가 하는 분야는 별로라서... 포닥 중인데 회의감이 심하다


논문 실적만 단순히 보면 "오 아주 좋은데?" 하다가 "전공적합도가 좀 ..." 이렇게 평가 받느라 취업 실패.

내가 연구 시작했을 때는 유망분야라 나중에 뜰 것 같다고 해서 시작한건데 한 10년은 더 있어야 뜰 것 같아.. 

한 분야를 너무 오래 하다보니까 다른 주제로 바꾸기도 애매하고 요즘 술만 마신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8개

Lise Meitner*

2020.07.27

그래서 정출연 취업 포기하고 기업체간 사람들 많더라
Guglielmo Marconi*

2020.07.27

반대로 메이저한거 하는 사람들은 논문 하나 내기도 피말리고
실적 안나와서 서류도 못내는 경우 있음
Arnold Schoenberg*

2020.07.27

유럽에서 정착해볼 생각은 없음? 그쪽에 수요가 있다면 거기가는것도 괜찮을 것 같은데
W. Somerset Maugham*

2020.07.27

과제도 기초과학자한테 주는 연구과제 제외하고는 엄두도 못낼거임..

2020.07.27

해외에서 일해
John Ambrose Fleming*

2020.07.27

네이처 써도 안되는 전공이 있고 PRL 한편으로도 spk 교수되는 전공도 있음.

근데 유럽에서 유망하면 한국에서도 곧 유망해질텐데 무슨 전공이지.
John Ambrose Fleming*

2020.07.27

한국에서 자리 잡을때 가장 좋은 전공은, 한국에서 많이 안해서 경쟁자가 없지만, 곧 뜰수빡에 없는 그런 전공이지. 근데 이런건 무당도 아니고 어떻게 찾을 수가 없음.

2020.07.27

전공적합도가 그랬다는건 그냥 인사치레임. 님보다 좋은 지원자가 있었음.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