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퇴근 관련된 글들을 보고...

2024.06.16

22

3056


저는 미국에서 박사를 했고 현재는 유럽 나라 하나에서 조교수 하고 있습니다.

한국 대학원의 신기한 문화(?)인지 퇴근에 대해 교수의 글도 선배의 글도 있네요.

유럽은 보통 안나오는 날도 많고 4시면 집에 가는 사람도 많고 누가 뭘 하던 상관을 안하고 상관을 하는 거 자체가 무례한데,
미국도 유럽만큼 자유롭지는 않지만 그런 근무시간 같은 걸 가지고 다른 사람 고깝게 여기지는 않았구요 - 미국에서 학위 하신 교수님들 여기 많으시지 않습니까?

한국 특유의 문화라고 생각하시나요? 아니면 정말로 퇴근을 안하면 경쟁력이 떨어지고 큰 일이 일어나나요? 선배가 후배 서버 컴퓨터로 연구하고 있는지도 관심을 가지나요?

물론 상위 10개 학교랑 비교하면 모르겠지만, 적어도 한국의 그 이하 학교들보다는 제가 있는 학교가 실적은 잘 나오는 것 같은데...
그렇다면 상위 10개 학교 연구의 비결은 근무시간과 연구실의 미래(?)를 향한 눈치싸움인가요?

정말 문화 차이가 너무 상당해서 질문드립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2개

2024.06.16

저도 지금 미국에 있는데, 6시 이후에 학생들 남아있는걸 거의 못봅니다. 5시 반쯤 되면 실험실 문 잠그고요. 실험실의 연구 역량을 따질 때 근무시간보단 학생들이 얼마나 강하게 동기부여되어 있는가가 훨씬 중요하다고 생각하는데, 한국에서는 유독 동기부여가 되어 있으면 당연히 오래 일하고, 오래 일하지 않으면 동기부여가 되어 있지 않은 것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강한 것 같습니다.

대댓글 2개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2024.06.16

세글자로 설명드릴 수 있을 것 같네요

"개.조.선"

대댓글 1개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2024.06.16

미국에서 포닥했는데요. 미국은 치안 때문에 밤 늦게 까지 일을 할 수 없구요. 주말에 자유롭게 나오는거 봤습니다.

대댓글 1개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앗! 저의 실수!
게시글 내용과 다른 태그가 매칭되어 있나요?
알려주시면 반영해드릴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