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노력이란 무엇일까?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2025.04.27

15

1840

일반적인 사람 (주로 학부생, 9급 공무원 등등 수동적인 존재들)은 노력을 '단순히 열심히 하는 것' 정도로 생각하고 더 높은 수준으로의 고찰이 진행되지 않는다.

반면, 박사 과정 혹은 그 이상의 연구인들은 노력에 대한 관점이 다르다.

노력이라는 것은 자신의 무언가를 희생해서, 대의를 위해서 헌신하는 것이다.

이러한 노력이 존재하기에 학문이 발전을 거듭하고, 인류의 삶이 윤택해지는 것은 아닐까....

아무튼 노력에 대한 서론과 예찬론은 여기서 그만두고, 당신이 노력을 하고 있는지 알고 싶을 것이다.

흔히 학부연구생, 석사들은 노력이라는 것을 위에 설명한 일반적인 사람 관점에서 생각할 것인데, 이것은 연구를 함에 있어서 엄청난 페널티와 부메랑으로 돌아올 것이다.

본인이 진짜 노력을 하고 있는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아래 체크리스트를 확인하기를 바란다.

1. 진짜 양심에 물었을 때 죽기 직전까지 일을 했는가?
2. 일주일 기준으로, 밤을 3회 이상 샜는가?
3. 일주일 기준으로, 밥 먹는 시간도 아까워서 식사를 5끼 이상 걸렀는가?
4. 주말 중 최소 하루는 풀타임으로 일했는가? (9 to 21)
5. 일주일 기준으로, 유튜브나 게임한 시간이 30분 이하인가?
6. 당신에게 주어진 과업을 모두 데드라인을 지켜서 수행했는가?
7. 지난 주에 비해서 성취의 일취월장이 있는가?
8. 지도교수, 랩 메이트 전원이 당신이 열심히 했다고 인정하는가?
9. 당신보다 성과가 좋으면서, 많은 사람이 랩 내에 50% 미만으로 존재하는가?
10. 양심적으로, 전 세계의 모든 연구 인력보다 일을 열심히 했다고 자부하는가?


0-3개: 당신은 인간도 아니다.
4-5개: 수동적이고 양심없고 게으른 대학원생
6-7개: 일반적 대학원생
8-9개: 좋은 대학원생
10개: Respect 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5개

2025.04.27

무슨... 정말 올드한 생각을 가지고 있으시네요. 세상 모두를 자신의 경쟁자로만 바라보고 남들보다 경쟁우위에 서기 위한 식으로 삶을 살아가는 것 처럼 보입니다.

성장을 하는 삶의 방식을 추구하는 것은 멋있습니다만, 객관적인 근거도 없이 시간을 많이 쏟고 옆에 있는 사람들보다 경쟁적으로 잘하라는 것을 주장하는 것이 정말 학자가 맞는지 의심이 됩니다.

진짜 노력이 무엇인지 무엇을 위한 것인지도 설득이 잘 안되네요. 그저 본인의 삶을 고행속에 살아가는 구도자적인 삶에 투영하는 것이 노력이라고 생각하지는 않으며 작성자님의 주장에 전혀 동의하지 않습니다. 타협없이 다른 사람들에게 자신의 기준을 과시하듯이 보여주는 것에서 주변 사람들이 꽤나 숨막히겠다 싶기도 합니다. 본인의 기준을 지키지 못 하면 당신에게 그런 쓴소리를 들어야하나요...?

문제를 해결하고 성장을 하기 위해서는 노력 예찬 말고도 다양한 방식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현명하게 삶을 계획하고 자신이이 역량이 얼마나 되는지 파악하면서 기민하게 시간을 계획해도 된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삶을 사는데서 가장 중요한 것이 꼭 성장과 경쟁우위가 아니라고 믿습니다. 본인이 하고싶은 걸 하고 이루고 싶은 걸 성취하는 삶을 추구하는 것도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대댓글 1개

2025.04.28

대학원 과정이 주변 사람들보다 잘하고 경쟁적으로 실적과 성과를 위해서 삶을 갈아넣는 것이 본질이라고 생각하시나요? 학문의 발전과 인류의 삶을 말하시는 분이 연구와 연구자의 본질에 대해서는 말을 하지 않는 것이 이상하네요.

2025.04.28

저는 9 to 22 를 매일하고 년 1 자리 수로 쉬는데, 10 개 중 7 개에 해당하는데요..? 밤을 꼭 새야 할까요? 전 세계로 보면 저보다 열심히 하는 사람이 있지 않을까요 (제가 어떻게 알 수 있죠). 죽기 직전까지는 결국 생각이 아닐까요. 업무하다가 토하기 직전까진 해봤는데 토는 안했고 결국 상태도 괜찮더라구요 (객관적으로)
바보같은 알프레드 노벨*

2025.04.28

세상엔 다양한 사람이 있고
노력의 정의를 본인이 가볍게 때리면 안될듯

2025.04.28

'노력=들인 시간'으로 보는 질문지가 절반 이상이네요.

저런 질문은 의미 없습니다. 더군다나, 저런 체크리스트는 '노력은 일단 시간만 부으면 되는구나'라는 착각을 낳을 수도 있습니다...
다소 위험한 사항들이예요...

단순히 엉덩이만 의자에 붙인다고 노력이 아닙니다... 다른 방향으로 생각해야돼요...

2025.04.28

노력 = 시간으로 보는것만큼 미련한게 없음 ㅋㅋㅋ 본인이 그런거밖에 못해서 그렇겠지.
근본적으로 박사는 학문에 대한 열정으로 하는거지 님처럼 살면 평생 불행할거에요.

2025.04.28

죄송하지만 교수하셔서 후학을 양성하지는 마시길 바랄게요

IF : 1

2025.04.30

전 글쓴이의 기준보다 두배는 노력하는것 같네요. 24시간 어떻게 해야 연구가 잘될까에 맞춰 살거든요. 실력이 늘려면 잠도 잘 자야하고 밥도 잘 먹어야하고 운동도 해야하고 휴식도 적절이 섞어줘야하더군요. 막상 책상에 앉아 뭘 두드리고있는시간은 5시간 될려나요. 예 뭐 남들보다 실적 좋고 인정받고 대단하진 않지만 그러고 삽니다.
무작정 시간 때려박는다고 만사가 아녀요. 일류 운동선수들 훈련프로그램 보면 한국 대학선수보다 뛰는시간은 막상 절반도 안될걸요. 그리해선 일류되기 힘들죠.
이런저런 핑계로 아무것도 안하는 친구들도 많아서 이해는 된다만. 아직 본인의 편협한 시선으로 노력을 정의하기엔 세상이 너무 큰것같습니다

2025.04.30

연구가 그리 뭐 또 대단한건 아닙니다. 걍 다 사람 하는거지.

2025.05.01

밤새는거랑 노력이 먼 상관입니까............

2025.05.01

1. 진짜 양심에 물었을 때 죽기 직전까지 일을 했는가? Wtf
2. 일주일 기준으로, 밤을 3회 이상 샜는가? Wtf
3. 일주일 기준으로, 밥 먹는 시간도 아까워서 식사를 5끼 이상 걸렀는가? Wtf
4. 주말 중 최소 하루는 풀타임으로 일했는가? (9 to 21) wtf
5. 일주일 기준으로, 유튜브나 게임한 시간이 30분 이하인가? No
6. 당신에게 주어진 과업을 모두 데드라인을 지켜서 수행했는가? No
7. 지난 주에 비해서 성취의 일취월장이 있는가? Yes
8. 지도교수, 랩 메이트 전원이 당신이 열심히 했다고 인정하는가? Yes
9. 당신보다 성과가 좋으면서, 많은 사람이 랩 내에 50% 미만으로 존재하는가? Yes
10. 양심적으로, 전 세계의 모든 연구 인력보다 일을 열심히 했다고 자부하는가? No

대댓글 1개

2025.05.01

내 기준 좋은 연구자는 아래와 같은데… 글쓴이가 한번 대답해보면 좋을듯.
1. 주위 사람들과 코웍을 잘 하는가?
2. 함께 일하는 학생들의 동기부여를 잘 해주고, 적절한 보상을 해주며, 성과를 함께 낼 수 있는가?
3. 독창성이 있는 다른 사람들이 공감하기 좋은 아이디어를 낼 수 있는가?
4. 실험을 잘 계획하고 그에 맞게 수행을 하여 정확한 결론에 도달할 수 있는가?
5. 큰 그림에 맞춰서 프로젝트를 잘 실행하고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가? 끝까지 스토리를 만들어낼 수 있는가?
6. 피겨셋을 짜임새있게 구성하고, 스토리 텔링을 잘 할 수 있는가?
7. 글을 잘 쓸 수 있는가?

2025.05.02

노망나셨나

2025.05.03

밤새고 힘들었는데 웃음 주셔서 감사합니다 선배님 빵터졌습니다.

2025.05.05

본인의 노력이 헛고생이 아니었을까하는 의구심을 실적에의한 자연스러운 명예와 존중으로 인정받아 무마하는게 아니라 남들을 도발하고 얻는 반박으로 정신승리성 우월감을 느끼며 무마하려 하시는군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