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웍 듣고 몇년동안 월화수목금금금 실험세팅하고 실험해서
리젝에 리비전을 거치고 거쳐서 몇년 걸려서 좋은 저널논문을 쓰고 졸업했다고 생각해봐
3년만에 무조건 박사받는 일본박사가 어떻게 보이겠냐
Thomas Schelling*
2020.07.21
3년만에 무조건 받는것도 아니고 월화수금금금 실험세팅하고 실험하는건 똑같음.
그리고 일본은 연구생이라는 노예제도도 운영해서 비공식적인 랩실 생활 6개월에서 길면 1년이 추가됨. 이사이에 입학시험과 실험세팅과 주제를 잡아놓고 공식적인 학위이수기간에 SCI급 논문 3편 써야함.
한국과 차이점이 있다면 과제 딴다고 개같은 PPT 만들고, 보고서 만들고, 오만 잡다한 서류작업에서 해방하니 효율이 높은거지.
Thomas Schelling*
2020.07.21
3년만에 무조건 받는것도 아니고 월화수금금금 실험세팅하고 실험하는건 똑같음.
그리고 일본은 연구생이라는 노예제도도 운영해서 비공식적인 랩실 생활 6개월에서 길면 1년이 추가됨. 이사이에 입학시험과 실험세팅과 주제를 잡아놓고 공식적인 학위이수기간에 SCI급 논문 3편 써야함.
한국과 차이점이 있다면 과제 딴다고 개같은 PPT 만들고, 보고서 만들고, 오만 잡다한 서류작업에서 해방하니 효율이 높은거지.
Thomas Schelling*
2020.07.21
뭐야 시발 왜 2개가 올라가
Stéphane Mallarmé*
2020.07.21
@토마스
오호... 정보 감사
2020.07.21
3년만에 쉽게 무조건 받는 것 아님.
Igor Stravinsky*
2020.07.21
좆도 쓸모없지... 도쿄대라고 해도 인서울권 박사 정도로 쳐줄텐데
Dante Alighieri*
2020.07.21
대학원 시스템이 일본은 영국을 비롯한 유럽쪽을 따왔고,
한국은 미국쪽을 따왔음
일본뿐 아니라 유럽 유수 대학들도 잘하면 3년만에 땀
우리랩에도 영국 대학원다니는데 잠시 우리쪽으로 파견온 학생 있었거든
그친구 3년만에 학위따야한다면서 개열심히하더라
2020.07.21
일본 대학원 시스템 = 유럽 대학원 시스템
2020.07.21
3년으로 짧은 이유는 많은 박사들이 빨리 사회로 나와주길 바래서 많이 줄였다고 함.
Thomas Schelling*
2020.07.21
도쿄대가 인서울 박사 ㅋㅋㅋㅋㅋ 무식하면 용감하구만
2020.07.21
근데 3년만에 박사하고 연구실적도 없는 인간들이 너무 많아.
2020.07.22
임페리얼 공대도 그냥 인서울 박사로 취급하던가
2020.07.22
유럽내에서도 영국, 독일, 프랑스 등등 각각 나라마다 박사따는데 걸리는 기간은 천차만별입니다. 같은 독일내에서도 화학, 바이오 등등의 경우 보통 3-4년 걸리고 공대의 경우 5-7년, 그리고 인문계는 더 오래 걸립니다.
2020.07.22
정작 이웃나라인 한국 일본 중국도 서로 학제가 다른데 왜 유럽국가들은 학제가 똑같을거라 생각하는건지 이해가 안가네요.
2020.07.21
2020.07.21
2020.07.21
2020.07.21
2020.07.21
2020.07.21
2020.07.21
2020.07.21
2020.07.21
2020.07.21
2020.07.21
2020.07.21
2020.07.21
2020.07.21
2020.07.22
2020.07.22
2020.0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