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마다 방향성이 다르긴 한데 기초연구의 경우 가능성의 제시임 세포에서 해봤는데 이렇더라 이걸 임상에서도 적용할 수 있지 않을까 그러나 임상에서 유효성은 없음 오가노이드,3d culture 등등 어려움 대단한 거임 그래서 유효성을 제시할 수 있어? 가 되는 거임 동물실험을 한다고 해서 인간에게도 유효할 수 있냐가 될 수 있지 않음 그나마 가능성이 높다 라고 말함 세포만 해서도 좋은 논문 낼 수 있음 근데 못낼 가능성이 높음 신약 같은 경우 유효성을 확인하는 게 더 클건데 동물실험을 배제하고 찾긴 힘듬 그리고 동물실험은 해도 문제 안해도 문제임 한다고 무조건 결과가 좋은 것도 아니고 메이킹하기도 어렵고 비쌈 독성이나 dds쪽으로 가보는 건 어떰?
대댓글 3개
2024.04.03
dds랩실에서 실습 해봤는데 뭔가 본질을 파는 연구가 아니라서 답답함이 있더라구요 ㅠㅠ.. 그래도 역시 dds이려나요.. 충고 너무 감사합니다 !!!!
깜찍한 윌리엄 셰익스피어*
2024.04.03
약사출신 학위자 주변에서 찾아서 조언 들어보는 게 좋을 듯함 지금 루게릭을 할건 아니지 않음? 할 수도 없음 기업가야 할 수 있지 그럼 그때가서 할 수 있는 지식과 기술을 배울 수 있는 곳을 가야함
2024.04.03
네! 정말 너무 감사합니다 ! :)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ㅎㅎ
2024.04.03
안녕하세요 저도 약대생인데요 오픈채킹 가능허신가요
2024.04.03
신약개발은 하고 싶지만, 동물실험을 원치 않는 걸까요? 맥락이 명료하지 않네요.
in vitro에서 효과를 봐도, 그것을 어떻게 전달하고 실제 생물 내에서 어떻게 작용할 지 모르고, 임상의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서 동물실험을 하고 있지요. 이 동물실험을 대체하는 연구는 있을 것 같은데요. (윤리나 경제적인 목적으로)
그리고 신약개발 과정에 참여하고자 하는 거라면, 동물실험을 하지 않고도 할 수 있는 게 너무 많은데요. 유기나 바이오 합성도 있지만, 임상 및 허가 전문가도 필요하구요.
대댓글 1개
2024.04.03
신약개발 및 본질적 연구에 뜻이 있으나 동물실험을 해야만 사람을 살리는 약이 나온다는 사실이 좀 괴리감?이 들기도해서 이런저런 고민중이란 뜻이었습니다! 충고감사합니다 ..!
2024.04.05
약대 출신이고 동물실험을 하지 않는 신약 개발 혹은 질병 발병 원인 (본질을 캐는) 연구를 하고 싶은 것으로 이해하였습니다.
1. wet lab -대체 실험법으로 줄기세포 유래 오가노이드를 사용하는 실험실들이 대표적입니다. 1) 전분화성 줄기세포 유래 오가노이드: 배아 단계에서 유래된 혹은 역분화된 줄기세포를 사용하여 유전성 질환의 발병원인을 규명하는데 사용됩니다. 또한 세포치료제로써 개발되기도 합니다. 2) 성인 줄기세포 유래 오가노이드: 성인에서 채취가능한 줄기세포는 위장관, 머리카락 등으로 한정되기에 환자 암세포 유래 오가노이드를 사용하여 발병 기전 원인 연구 혹은 약물 반응성 등을 테스트 가능합니다.
2. dry lab 1) 단백질 구조 분석: 단백질 - 단백질/ 단백질 - 약물 을 구조를 통해서 이해하는 경우 알파 폴드와 같은 AI 알고리듬을 사용하여 prediction 합니다 2) 유전체 분석: genomics 라고 부르는 분야인데 인간 유전체 분석을 통하여 질병 발병 원인이 되는 유전자를 선별하거나 약물에 더 취약한 유전형을 가진 사람들을 분류해내기도 합니다.
약대 졸업생으로 말씀드리면 너무나도 여러 가지 방향이 가능해서 굉장히 발품을 팔아가면서 알아봐야 합니다. 실제 분야에 일하시는 분들 (교수님, 연구원 등등)께 적극적으로 연락드리고 해당분야에 대해서 알고 싶다고, 진로 상담하고 싶다고 말씀드리기 바랍니다.
2024.04.03
대댓글 3개
2024.04.03
2024.04.03
2024.04.03
2024.04.03
2024.04.03
대댓글 1개
2024.04.03
2024.0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