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이정도면 정신병인듯
인천대 가천대보다 낮은데
진짜 경북대 부산대 출신은 뭐가 있다
38 - 과고시절 돌이켜보면 그 안에서도 어떤 친구는 압도적 재능으로 자습때 맨날 잠만자도 성적 잘 받고, 어떤 친구는 극성엄마가 학원 뺑뺑이 돌려도 중하위 못벗어남.
뭐 동창충 최하위들도 연대 성대는 갔으니 그친구들도 똑똑한 애들이긴 했지만..
무튼 머리 팍팍돌아가는 반짝반짝한 친구들은 누가 가르쳐도 잘 하고, 나중에 크고보니까 환경적으로 부모 재력/학력/유전도 중요하지만 모나지 않게 기르는 극단적이지 않은 집안분위기도 엄청 중요한 것 같음.
요새 과외하면서 드는 과학고와 학원에 대한 생각
11 - 안녕하세요 김박사넷 연구자들 뻘하게 웃기네 ㅋㅋ 학연생이 근데 가서 다른 연구 이야기를 알아 듣고 경향이나 연구 수준을평가할 수 있음..? 연구에 대한 평가는 솔직히 사족인 듯
학연생의 국제 학회 후기
9 - 뭔가 국가별로 연구자에 대한 스테레오 타입을 나열한 느낌인데 진짜 별로임 ㅋㅋ
학연생의 국제 학회 후기
15 - 바이오고 지금은 포닥중입니다. 저도 작성자분과 동일한 고민을 꽤 많이 했었고, 실재로 선배든 후배든 학위과정에서 동일한 고민을 하는 사람들이 상당히 많았습니다. 저는 이런 의문이 드는 이유가 바이오가 갖고있는 특성 때문이라 생각합니다. 기본적으로 과학은 정확한 메커니즘과 증거 및 재현 등으로 여겨집니다. 하지만 바이오는 그 특유의 복잡성 때문에 완전히 이해하고 무언가를 행하기가 상당히 어렵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바이오분야는 특히나 변인통제에 힘을 쓰는 형태로 발전해 온 것이겠죠.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작성자분의 고민은 바이오분야라면 누구나 갖고있는 고민이며, 궁극적으로는 이를 받아드려 그 안에서 확실한 결과를 만들기 위해 완전한 실험 디자인을 하는 것을 추구합니다. 물론 한 분야를 깊게 파다보면 소위 말하는 통찰력이라는게 생겨 그 찍기가 맞을 확률이 상당히 올라가긴 합니다.
원래 연구가 이런가요
10 - 댓글 보면 한국이 왜 이런거는 후진국인지 알수있음. 대학원 갔으면 학부 학벌 타령할 시기는 지났는데 아직도 학부타령하고있음 ㅋㅋㅋ 주로 실적 부족한 애들이 학벌 타령하는듯.
제가 대학원생은 아니지만 궁금해서 물어봅니다.
21 - 그래 뽑지 마세요 그럼 ㅋㅋㅋㅋ 인턴 뽑아주는게 자원봉사한다고 생각하는 교수가 있는데 진짜 노가다 반장이랑 마인드랑 하는말이 똑같음.
그게 뭐 본인들의 한계인듯.
나는 학부생 애들 최대한 챙겨주고 최대한 월급을 주려고하는데 안그런 사람이 많다는게 안타깝네. 보상에 대해 물어보는거 자체가 기분잡친다는 사람은 진짜 인성 글러먹은듯.
내 꼰머적 사고로는 인턴이
15 - 결과 나오지도 않았는데 속이 어떻게 1평인데 ㅋㅋㅋㅋ
대통령장학금 붙었다 꺄아악
16 - 진짜 대학원 입학보다 랩실 컨텍이 어려워요
저라면 컨택된 포스텍으로 팝니다.
카이스트 포스텍 면접이 겹치는데 어떻게 해야 할까요
19 - 의미도 없는 앞에 '수상경력 10개넘지만' 은 왜 적어놓는 거임? 자랑하는거임? 어쩌라는 글 인지를 모르겠음
카이스트 오늘 1단계 합격자 나오니까 무섭네요
9 - 뭐 과거에는 학부 입결도 연고대 부럽지 않은 위상을 자랑했고..
지금도 학부생 입결은 상당히 추락했지만 학교 시설이나 교수진은 상당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봐야죠.
쉽게 말해서 대구에서 대학교에 뭔가 해줄 일이 있으면 1순위로 경북대를 고려하지 않겠습니까? 그런 유/무형의 지원까지 고려하면 학부 입결에 비해 대학원, 연구실적, 교수사회에서의 위상 등이 훨씬 높은거죠.
아마 일반 학생 / 대중의 인식과 학계에서의 인식이 가장 다른 대학중 하나가 아닐까 싶네요
경북대가 좋은 대학교인가요?
8 - 좋고 나쁨의 기준을 어떻게 바라보기에 이런 질문을 하는건가요?
구체적으로 연구시설의 규모나, 투자, 커리큘럼 등 세부적으로 비교를 통해 상대적 가치를 매길 수 있겠죠.
그러면 글쓴이는 좋은 사람인가요?
경북대가 좋은 대학교인가요?
10 - ㅋㅋㅋㅋㅋㅋㅋㅋ경북대세요 왜케 예민
경북대가 좋은 대학교인가요?
11
일본 포닥을 하려고 하는데 어떤가요?
2024.03.19

바로 일본으로 갈 것은 아니고 추가적으로 논문 작업 중인 것들이랑
현재 실험실에 내부인이 저 말고는다 외부에서 오신 박사님, 연구원쌤 외에는
신입생들 뿐이라 인수인계 등 1~2년 정도 마무리 하고
이후에도 나라 경제가 시원찮다 싶으면 해외 포닥을 하려고 생각합니다.
영어는 자신이 없다보니 반면에 일본어 가능해서,
개인적으로 고등학교 때 준비했던 일본유학이 집안 경제사정상 실패해서..
항상 좀 가고 싶다는 생각을 하고 살았었기 때문에 잘되건 안되건 가보고싶은 점이 크긴 합니다.
근데 좀 찾아보니까 포닥을 하려면 제국대학 (사실상 도쿄대말고는 빡세지않을까 싶기도 합니다만)이랑
RIKEN아니면 한국에서 하는 것과 큰 차이 없다라는 말씀이 많더라구요...
특히, 만약에 간다면 JSPS standard program에 붙으면 수월하다고는 들었습니다.
대신에 그 과제를 딸려면 유명한 일본 빅가이분 랩에 들가는게 젤 빠르다곤 했는데 그게 될진 모르겠네요(...)
저희 분야쪽에서 일본에서 유명하신 분은 도쿄도 의학종합연구소 이쪽에 계신데 CV를 구할 수 없어서
정확한 연세를 모르겠으나, 대략 포닥생활부터 시작하신지 거의 36년이 되셨으니 곧 명퇴 하실 것 같으신데
제가 일본 갈 때쯤엔.. 안 계실 수도 있지않을까라는 생각도 듭니다(...)
물론 계신다 해도 사람을 뽑으실진 모르겠는데 일본인들만 있기도 하고.. 갈 수 있다면 거기도 좋겠지만
없다면 다른 곳을 가봐야죠.
일본에서 현재 포닥 혹은 교원으로 임용 중이시거나, 하고 오신분들에 대한 말씀을 좀 듣고싶습니다.
감사합니다.
-
33 48 7953
지거국 실험실.. 김GPT 1 18 5458
제 랩실 ㅁㅌㅊ인가요 김GPT 0 11 3140
실험실에 외국인 김GPT 2 9 2420-
1 6 3139
일본 대학원 가신분이나 가실분있나요 김GPT 0 5 1492
교수님이 잘 모르는거 같음 김GPT 4 14 2728
학부연구생 경험 증빙방법 궁금합니다 김GPT 0 14 2768
대학원 진학 고민 김GPT 0 2 1783-
125 46 29446
드디어 인용수 1000이 넘었습니다... 명예의전당 217 36 37421
슬픈 국내 AI의 현실 명예의전당 125 38 37753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학부도 대학원도 학벌이 낮은(?) 사람의 응원
295 - 좋은 논문을 쓰기 위해 필요한 역량
260 - 진짜 경북대 부산대 출신은 뭐가 있다
136 - 석사 3학기째 결과가 안나오니 미치겠네요
7 - 요새 과외하면서 드는 과학고와 학원에 대한 생각
45 - spk 대학원이 특별히 더 좋은 점이 뭐가 있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12 - 의사들은 파업이라도 할 수 있지,,,
28 - 보통 연구비 당 논문 몇 편 정도 게재함?
11 - 학연생의 국제 학회 후기
16 - 대통령장학금 붙었다 꺄아악
37 - 포항 모 연구원의 면접썰
15 - 인서울 출신들이 모르는 지거국의 메리트
5 - 서울대가 날 합격시켰다더니, 그냥 실수였다고 취소했습니다.
25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학부도 대학원도 학벌이 낮은(?) 사람의 응원
295 - 좋은 논문을 쓰기 위해 필요한 역량
260 - 진짜 경북대 부산대 출신은 뭐가 있다
136 - 석사 3학기째 결과가 안나오니 미치겠네요
7 - 요새 과외하면서 드는 과학고와 학원에 대한 생각
45 - spk 대학원이 특별히 더 좋은 점이 뭐가 있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12 - 의사들은 파업이라도 할 수 있지,,,
28 - 보통 연구비 당 논문 몇 편 정도 게재함?
11 - 학연생의 국제 학회 후기
16 - 대통령장학금 붙었다 꺄아악
37 - 포항 모 연구원의 면접썰
15 - 인서울 출신들이 모르는 지거국의 메리트
5 - 서울대가 날 합격시켰다더니, 그냥 실수였다고 취소했습니다.
25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댓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