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찌어찌하다가 곁다리로 내가 연구설계하고 논문 초안쓰고 pi랑 같이 포닥하는 애가 보완의견도주고 프루프리딩도 해줌
한국에서 으례 그랬던것처럼 pi를 교신저자로, 나를 1저자로 넣었는데 같이 포닥하는 애가 내가 연구설계부터 다했으니까 교신저자도 나하고 1저자도 나로 넣어야한다는거야 그러니까 pi도 동의하더라고
그래서 내가 둘다해서 이번에 수정하고 제출했는데 accept될듯 나름 우리분야애선 유명한 학회지인데 ㅋㅋㅋ
한국에서는 못할 경험해봐서 진짜 신기하다 한국에서도 이런게 흔하려나..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5개
2024.03.12
근데 학생이 교신저자로 들어가는 게 뭐 더 득되거나 하는 게 전혀 아님.
대댓글 2개
2024.03.12
ㄴㄴ 득됨. 특히 본문처럼 포닥일 경우는 더 임용이나 취직시장에서 교신저자 여부를 독립된 연구능력으로 봐주는 경우 많음
2024.03.12
그리고 지원할 때 실적점수에서도 정량적으로 차이나는 경우도 있음
2024.03.12
미국에서는 교신저자 별 의미 안 가지는 경우 많더라고요 그냥 진짜 연락 받을 주소의 의미 이상으로 안 생각하는 교수님들
대댓글 1개
2024.03.12
분야마다 다른데, 우리분야에서는 미국은 교신저자 중요하게 생각하고 유럽에서 교신저자 중요하게 생각 안 하는듯
2024.03.12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부럽습니다. 국내에서 포닥 중인데 과제만 따오는 교수님 논문 교신저자로 넣을때마다 현타가 오는데...
IF : 2
2024.03.12
서구권에서 성장한 애들은 그게 기본 마인드임 교신저자 여부보다 오히려 저자 순서에 예민한 사람들을 더 자주 봤음
근데 이게 연구윤리에 대한 것도 있지만... 기본적으로 실적 평가기준에 따라 태도가 달라지는듯
2024.03.12
신기한 경험이라 공유해뵜습니다 ㅎㅎ 딥글 다 감사드려요 ㅎㅎ 혹시 임용서류를 작성할 때 1저자와 교신저자 둘다 저라면 논문개수 표시할때 1저자 논문 1 교신저자논문 1개가 되는 건가요?
대댓글 3개
2024.03.12
ㄴㄴ1저자로 써야됨. 그래서 내가 1저자면 교신까지 하는 걸 의미 없다고 하는거
2024.03.12
아하 그렇군요 ㅎㅎ 감사합니다!!
2024.03.12
1저자와 교신저자를 주저자라고 하고 정량적으론 1저자와 교신저자는 차이가 없습니다. 주저자 수가 많을수록 점수가 깎이는 경우가 많아 본인이 1저자와 주저자 둘다 하는게 베스트죠.
2024.03.12
교신저자는 말그대로 에디터하고 편지를 주고 받는 저자라는 얘기.. 즉 연구에 대한 소통 창구.. 외국에서는 당연히 1저자가 교신저자 하는 경우가 많음. 교수님이 일일이 에디터의 요청에 응대하기 귀찮기도 하고 때로는 연구 디테일을 1저자 보다 몰라서 잘 못 대답할 수도 있고해서..
한국서 교신저자를 중요하게 생각하는건..... 아주 예전에 연구에 대한 계량점수 체계를 만들 때.. 그 때 SCI라는 것과 연구책임자를 교신저자로 하자 라고 정하면서 부터임.
만약 미국 교수님한테 내가 교신저라 할래~~ 하면 보면 그래라.. 니가 에디터랑 연락해 라고 하시지만.. 반대로 내가 연구책임자임!! 이라고 하면 외국 교수도 허락 안 하실 것임. 이는 교신저자에 대한 정의를 한국이 연구책임자로 한다라고 정한게 실수를 한 것으로 국제적 룰과 맞지 않아서 생기는 촌극입니다.
따라서 단순히 미국 교수는 나보고 교신저라 하래~ 짱~~ 이라는 생각은 잘못 된 생각입니다.
대댓글 1개
2024.03.12
이게 정답.
2024.03.12
미국 보스턴 탑대학에서 오래햇엇지만 미국도 케바케입니다. 한국은 그래도 한국인 정서로 뭉쳐잇지만, 미국은 일반화 하기에는 너무 다양한 교수와 학생들이 많아요. 포닥에게 주저자/교신저자 다주는경우는 저희랩뿐 아니라 옆랩 대가들봐도 사실 흔치는 않앗어요.
2024.03.14
네 이건 미국이라 다르네라기보단 지금 PI가 저자에대한 좀 잘못된 관념을 가진거 같네요. 연구를 지원해준 그 포닥은 프로젝트를 슈퍼바이징 한게 아니에요. 문제가 생겼을때 책임지는 위치도 아니고요. 그 포닥은 제1저자의 뒤가 좀더 합당합니다. 제생각엔 글쓴분이 프로젝트 리딩을 잘 못한다는 인식을 준게 아닌가 싶네요.
2024.03.12
대댓글 2개
2024.03.12
2024.03.12
2024.03.12
대댓글 1개
2024.03.12
2024.03.12
2024.03.12
2024.03.12
대댓글 3개
2024.03.12
2024.03.12
2024.03.12
2024.03.12
대댓글 1개
2024.03.12
2024.03.12
2024.0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