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학교 옮기세요. 30대 초반이면 안 늦었습니다. 동아시아 학생이 많아도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이 많다는걸 글쎄요....
중국이 많다라면 이해가 될거같은데... 학교가 그리 높은 수준은 아니라고 생각됩니다.
미국와서 펀딩 이슈로 단 한번도 실험에 제한이 있었던 적이 없는데 의아하네요. visiting도 갈 수 있다는 보장도 없을 뿐더러 결국 제한된 시간에서 해야되는거라 데이터 나올지도 의문이구요.
학교를 잘못 온 것 같습니다
11 - 좋은거죠. 그런데 합격한다는 보장은 없죠. 열심히 준비하면 얻는게 많을것 같내요. 특히 남들 앞애서 자기pr도 해보고 혹여나 다른 교수가 줌으로 만나자고 하면 그때 도움이 될거고. 그냥 1차 시험에 합격했다고 생각하고 준비하면 좋을듯
Harvard에 계신 교수님께 미박 컨택 답변이 왔습니다. 평가 부탁드립니다.
13 - 안 흔해요
그 선배 소개시켜주세요.. 친구하게
제일 잘하는 선배 왕따
31 - 자격지심 괴물들 많습니다... 항상 남 얘기하고 정치질하고... 그러한 정황이 본인에게 조금이라도 거슬린다면 학위 기간 동안 행복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제일 잘하는 선배 왕따
14 - 정말 대학원 진학에 열의가 있었다면 모집기간이 끝날 때까지 아무런 생각이 없을 수 있었을까요? 본인 스스로를 되돌아보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대학원 진학이나 취준은 본인의 연구적성이나 금전적 가치관에 따라 정하는 거지, 남이 하라는 대로 따르는 게 아닙니다. 20대 중반이면 본인 삶의 결정은 충분히 스스로 할 나이입니다.
본인이 연구에 흥미가 있거나 학계에 남고 싶거나 미래 R&D 직종 업무를 하고 싶은 열망이 강하면, 26년 후기 대학원 진학을 생각하는 것도 나쁘지 않아보입니다. 본문에서도 이미 후회할 걱정을 하는데, 눈을 낮춰 아무데나 들어가면 분명히 후회할 겁니다. 6개월은 그리 큰 시간이 아닙니다. 그 시간동안 연구자로서의 기초를 닦고 그 후 대학원에 들어가시면 오히려 더 쉽게 적응하실 겁니다.
만약 단순히 학점 높은 게 아까워서 대학원에 가려고 하신다면... 그냥 취업하시는 길을 권장드립니다.
대학원 재수 혹은 미루기
13 - 지원률은 높으나 수준이 점점 떨어지는 거도 현실
사실 요즘 대학원생 공급량 보면 미래가 보이긴함
14 - 딱 보니 목표도 없고 의지도 없는데 졸업은 다가오고 취업 하자니 답도 안나오고 이런 애들이 도피성으로 와서 연구수준만 떨어트리지
대학원 재수 혹은 미루기
8 - 님은 대학원 입학할 때 얼마나 대단한 연구에 대한 열정과 집념을 가지고 입학하셨는지는 모르겠는데 취업이 안돼서 대학원을 생각하는게 잘못된 생각인가요? 관심있는 분야가 있고 그 분야에 대해 나름 학부동안 열심히 공부해왔고 취업을 위한 발판으로 더 공부하고 연구하는게 잘못된건가요?
대학원 재수 혹은 미루기
8 - 알아서 해야죠.
논문 읽고 요약 하고 연구 follow 또는 propose 하고...
거기서 교수님은 방향만 주로 잡아주고 실무는 본인이.
하는거.
석사단계에서 뭘 배운건지 모르겠어요
9 - 본인의 가장 대표논문이 mdpi거나, mdpi 이외 저널이 하나도 없다면 모르겠지만 한두개 있다고 걱정할만한 불이익이 있지 않습니다.
첫논문이 MDPI에서 accept되었는데 나중에 악영향을 끼칠까요??
8 - MDPI도 아무것도 없는 것보다는 낫습니다. 하지만 MDPI가 실적에 대부분이면 정성평가에서 부정적인 인상을 주죠. 첫 실적은 MDPI보다는 나은 IEEE Access 정도면 무난하지만 MDPI여도 이해해줍니다.
첫논문이 MDPI에서 accept되었는데 나중에 악영향을 끼칠까요??
13 - 랩 비교 안 하고 학교 브랜드만 보면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으로 저라면 컴퓨터 분야면 고대갈 것 같네요 컴쪽은 서카고 아닌가요?
YK 인공지능 랩 vs 유니스트 인공지능 랩
9 - 공부보단 연구가 말이 맞겠죠.
교수하려면 연구를 어마어마하게 해야하긴 합니다 일반인 기준으로는..
이공계로 예를들면, 신임교수 기준 최소 주저자 SCI 논문 5~10편은 쓴다고 가정할 때, 주저자 SCI 논문 한편당 얼마나 많은 지식이 들어가는지 아시면 감이 오실겁니다.
근데 뭐 대단하기보다 그냥 그 사람들은 평생 그것만 하면서 살려고 한 것 뿐이고 그래서 교수가 된겁니다.
다른 직업들도 마찬가지구요. 소방관 10년 한 사람도 대단한거고, 학석박 10년해서 교수된 사람도 대단한겁니다.
교수가 되려면 공부를 대체 얼마나 하시는건가요
9
대학원 진학 질문
2024.03.09

에서 컴퓨터과학을 전공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지금 저는 4-1 학기이고, 학점은 전공만 치면 딱 4점이고 (소수점 없이) 1학년때 교양에 F 받은것이 몇개 있어 전체 학점은 3.85 입니다.
졸업할 때면 어떻게 해서든 평점 4.1 정도는 만들 수 있을거 같은데, 사실 이정도 학점이면 좀 많이 낮은거 같습니다.
연구 경험은 거의 없고, 영어 성적은 군 지원할때 봤던 토익 960점 정도였고, 지금은 그냥 토플 정도 따로 시간내서 공부를 한 적이 있었습니다. (사실 공인 영어 성적은 없는 것과 비슷하다고 생각합니다.)
제 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저는 주로 OS나 시스템에 관심이 많아 이쪽 부분을 공부하고 있었습니다. 대학원도 이쪽으로 공부하고 싶은데, (저장장치, 파일 시스템 관련) 뭔가 제가 유사한 분야에 취직하고 싶으면 학부로는 충분한 학습과 경험을 할 수 없을 거 같아서 석사 정도만 생각하고 있습니다.
2. 대학교를 쭉 살펴보면서 연구실을 확인해봤는데, 진짜 컨택을 해도 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이쪽 분야에서 논문이나 관련 자료를 많이 읽어보지 않았습니다.
3. 보통 대학원 진학을 할때 확인하는 것이 1. 학부의 수준 2. 학점 3. 연구 경험 정도로 알고 있습니다. 제가 생각하기에 제 학부 수준은 좀 처참한거 같고, 학점도 그렇게 좋은 거 같지는 않습니다. 지난 학기에 잠깐 자대에서 학부연구생을 해 봤는데, 관련한 분야는 아니었습니다.
보통 어느 정도 학교의 대학원 연구실에 지원하는지 모르겠습니다.
4. 이정도 상황이면 그냥 대학원 진학을 하지 않는 것이 더 나은지 궁금합니다.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존경하는 연구자 분들께 드리는 질문 김GPT 14 20 3295
대학원 업그레이드 김GPT 3 13 2068-
1 2 4788
대학원 진학 스펙 고민 김GPT 2 8 5418
학부 3학년 AI 대학원 진학 고민 김GPT 2 2 1178
대학원 진학 고민 -컴 김GPT 0 2 555
컴퓨터비전 김GPT 0 4 9773
대학원 유학 고민 김GPT 1 8 1591-
5 34 11479 -
168 29 19326 -
168 52 61274
교수님들 학생들은 노예가 아닙니다. 명예의전당 100 49 11395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대학원 수준이 너무 높아서 힘듭니다
102 - 지인이 저 철학자A 인거같은데요....
41 - 교수님의 취업 약속 어김.. 믿고 기다려야 할까요
10 - 논문만 작성해줘도 공동 1저자 요구할 수 있을까요?
13 - 국립대랑 사립대 중에 믿을 만한 곳은 어디인가요?
14 - 제일 잘하는 선배 왕따
14 - 사실 요즘 대학원생 공급량 보면 미래가 보이긴함
32 - 대학원 진학을 포기하고 싶어요
3 - 대학원생때 학폭 주도한 인간이 교수된거 보니
7 - 물석사 학술대회 첫발표 떨린다
11 - 석사단계에서 뭘 배운건지 모르겠어요
5 - 저는 실패한 석사입니다.
13 - 한양대 경영학박사 정출연 취업가능할까요?
4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해외에서는 spk까지는 안다고 해서 궁금합니다.
22 - 꿈, 목표 의식이 없는 남편 (조언 부탁 드립니다)
39 - 학부 비교, 설낮공 vs 카이 반도체계약
9 - 대학원 재수 혹은 미루기
17 - 학부생 인건비 횡령
7 - 첫논문이 MDPI에서 accept되었는데 나중에 악영향을 끼칠까요??
29 - YK 인공지능 랩 vs 유니스트 인공지능 랩
6 - AI연구실 가면 뭐를 연구하는거에요?
5 - 교수가 되려면 공부를 대체 얼마나 하시는건가요
12 - 미팅을 30분뒤에 하자고 하는게 정상인가
7 - 대학원 합격여부를 미리 여쭤보면 안될까요?
6 - 대학원생 과잠
5 - 대기업 교수 이직 고민
8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학교를 잘못 온 것 같습니다
7 - 대학원 수준이 너무 높아서 힘듭니다
102 - 지인이 저 철학자A 인거같은데요....
41 - 교수님의 취업 약속 어김.. 믿고 기다려야 할까요
10 - 논문만 작성해줘도 공동 1저자 요구할 수 있을까요?
13 - 국립대랑 사립대 중에 믿을 만한 곳은 어디인가요?
14 - 제일 잘하는 선배 왕따
14 - 사실 요즘 대학원생 공급량 보면 미래가 보이긴함
32 - 대학원생때 학폭 주도한 인간이 교수된거 보니
7 - 물석사 학술대회 첫발표 떨린다
11 - 석사단계에서 뭘 배운건지 모르겠어요
5 - 저는 실패한 석사입니다.
13 - 한양대 경영학박사 정출연 취업가능할까요?
4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UC 데이터 사이언스
14 - 컴퓨터 아키텍처 쪽은 미국 대학원을 가야하나요?
21 - 미국 유학가고 싶다면 포스텍도 괜찮은가요
9 - 해외에서는 spk까지는 안다고 해서 궁금합니다.
22 - 학부 비교, 설낮공 vs 카이 반도체계약
9 - 대학원 재수 혹은 미루기
17 - 학부생 인건비 횡령
7 - 첫논문이 MDPI에서 accept되었는데 나중에 악영향을 끼칠까요??
29 - YK 인공지능 랩 vs 유니스트 인공지능 랩
6 - 교수가 되려면 공부를 대체 얼마나 하시는건가요
12 - 미팅을 30분뒤에 하자고 하는게 정상인가
7 - 대학원 합격여부를 미리 여쭤보면 안될까요?
6 - 대기업 교수 이직 고민
8

2024.03.10
2024.0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