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결국 결정하는 건 본인입니다. 글 전체적으로 글쓴이분의 생각은 전혀 드러나지 않네요. 처음에는 어떤 교수님이 공무원이 나아보인다고 하셔서 공무원을 준비하다가 지금은 한 번 본 교수님이 하신 말 한 번에 대학원을 갈지 말지 고민하고 계십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본인이 연구를 하고 싶은지 입니다. 대학원 생활이 잘 풀릴 수도 있지만 편차가 매우 큽니다. 본인이 연구를 원해서가 아니라 단순히 지금 좋은 기회인거 같은데 포기하기 아까워서 지원한다면 나중에 후회할 가능성도 큽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만약 대학원을 진학해 연구원이 되고 싶은 마음이 있다면 전 지금부터라도 다른 연구실 인턴 생활을 시도해볼 것 같습니다.
지거국 3학년입니다 서울대 교수님께 석사 제의?를 받았습니다
31 - 1) 솔직히 네임벨류가 안 중요하다고 하면 거짓말이라고 생각합니다.
2) 다마 ist는 지원도 좋고 괜찮은 학교인 것과 별개로 규모 자체가 작아 네임벨류를 이야기 하긴 좀 그렇습니다.
3) 박사과정도 그렇지만 석사과정은 특히 오래할 게 아니라고 봅니다.
대학 네임벨류가 중요한가요?
11 - 정신건강 상담 전화은 전국 어디서나 1577-0199로 전화하여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살면서 저보다 똑똑한 사람을 본 적이 없습니다.
57 - 정말 대단하십니다. 똑똑하시니까 이런 글을 썼을 때 다른 사람들이 어떻게 반응할지도 아시겠죠.
살면서 저보다 똑똑한 사람을 본 적이 없습니다.
30 - 노벨상 꼭 도전하셔서 구국의 영웅이 되시길 바랍니다
살면서 저보다 똑똑한 사람을 본 적이 없습니다.
16 - Ai가 쓴 건가
살면서 저보다 똑똑한 사람을 본 적이 없습니다.
16 - 요즘 조현병 환자들이 왤케 많은것 같지
살면서 저보다 똑똑한 사람을 본 적이 없습니다.
14 - 블로그 보니까 챗지피티로 그냥 막질렀구만. 환각이야 전부다
살면서 저보다 똑똑한 사람을 본 적이 없습니다.
11 - 미박, 미포닥 마치고 갓 임용된 교수님 아래에서 학위 받았는데 지도교수님 미국 네트워크가 아직 활발하셔서 지도교수님 인맥으로 미국 포닥 나왔네요
임용된지 얼마 안된 교수님 연구실 장점이 뭘까요?
14 - 젊은 교수님이시면 젊으시니 체력이 좋아서 빡세게 일하기 좋습니다. 그리고 의욕이 넘치셔서 성과를 속도감있게 낼 수 있구요. 교수님 은퇴까지 엄청나게 많이 남아있으니 사회에 진출한 이후에도 교수님 후광을 업을 수 있습니다. 이건 매우 큰 장점이에요.
임용된지 얼마 안된 교수님 연구실 장점이 뭘까요?
17 - 스스로 셋업해봤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임용된지 얼마 안된 교수님 연구실 장점이 뭘까요?
13 - 찰학자 A는 Autism의 A인가보죠?
살면서 저보다 똑똑한 사람을 본 적이 없습니다.
12 - 홈페이지 등 이력 찾아보니,
석박 통합 4년 반 + 포닥 2군데서 1년 반
도합 6년 넘는 동안 1저자 15편인데... 이게 불가능하다고 생각되지는 않네요..
언론에서 과장한다고 2저자 3저자 그이상 전부다 끌어와서 70편 썼다고 어그로 끌어서 그렇지..
논문 70편 쓰고 교수 임용되신 분 구글 스콜라 들가서 일일히 세어봤습니다.
17
대학원 진학 질문
2024.03.09

에서 컴퓨터과학을 전공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지금 저는 4-1 학기이고, 학점은 전공만 치면 딱 4점이고 (소수점 없이) 1학년때 교양에 F 받은것이 몇개 있어 전체 학점은 3.85 입니다.
졸업할 때면 어떻게 해서든 평점 4.1 정도는 만들 수 있을거 같은데, 사실 이정도 학점이면 좀 많이 낮은거 같습니다.
연구 경험은 거의 없고, 영어 성적은 군 지원할때 봤던 토익 960점 정도였고, 지금은 그냥 토플 정도 따로 시간내서 공부를 한 적이 있었습니다. (사실 공인 영어 성적은 없는 것과 비슷하다고 생각합니다.)
제 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저는 주로 OS나 시스템에 관심이 많아 이쪽 부분을 공부하고 있었습니다. 대학원도 이쪽으로 공부하고 싶은데, (저장장치, 파일 시스템 관련) 뭔가 제가 유사한 분야에 취직하고 싶으면 학부로는 충분한 학습과 경험을 할 수 없을 거 같아서 석사 정도만 생각하고 있습니다.
2. 대학교를 쭉 살펴보면서 연구실을 확인해봤는데, 진짜 컨택을 해도 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이쪽 분야에서 논문이나 관련 자료를 많이 읽어보지 않았습니다.
3. 보통 대학원 진학을 할때 확인하는 것이 1. 학부의 수준 2. 학점 3. 연구 경험 정도로 알고 있습니다. 제가 생각하기에 제 학부 수준은 좀 처참한거 같고, 학점도 그렇게 좋은 거 같지는 않습니다. 지난 학기에 잠깐 자대에서 학부연구생을 해 봤는데, 관련한 분야는 아니었습니다.
보통 어느 정도 학교의 대학원 연구실에 지원하는지 모르겠습니다.
4. 이정도 상황이면 그냥 대학원 진학을 하지 않는 것이 더 나은지 궁금합니다.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존경하는 연구자 분들께 드리는 질문 김GPT 14 20 3183
대학원 업그레이드 김GPT 3 13 2007-
1 2 4736
대학원 진학 스펙 고민 김GPT 2 8 5342
학부 3학년 AI 대학원 진학 고민 김GPT 2 2 1067
대학원 진학 고민 -컴 김GPT 0 2 512
컴퓨터비전 김GPT 0 4 9564
대학원 유학 고민 김GPT 1 8 1557-
5 34 11215
연구실 뚝딱이가 되지 않기 위한 방법 명예의전당 338 19 64531
대학원 자퇴 2년 후 명예의전당 86 4 8883-
267 35 38673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대학원생 예절에 대해 쓴 글 보고...
209 - 여초랩에 들어가면 안되는 이유
66 - 아무리 강사라도 상명대 출신이 서울대 교단에 서는 건 말이 안되지 않나???
116 - 학술적 파시즘이 보이는게 걱정됩니다.
35 - 여긴 희한한게 애들 착취하지 말자하면
39 - AI 뜨니까 개나소나 다 인공지능 대학원 가려고 하는거 같긴 함
26 - 연구실 내 인간관계가 너무 힘드네요
9 - 광명상가에서 카이스트 대학원 가는게 가능한가요?
12 - 졸업했으면 좀 나가주세요
34 - 환경쪽 석사로 취업하려니 막막하네요
7 - 국가 R&D 성과조사하면서 느낀점
7 - 포스텍 AI대학원 합격했네요..!
15 - 님들 이거 한 번 보셈
5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아이큐 높은 사람들 보셈
66 - 포스텍 양자정보 석박통합 vs 성대 전기전자 석사과정 vs 동국대(자대) 전기전자 석사
13 - 근데 아무리 교수라 하더라도 학사논문은
13 - 대학 네임벨류가 중요한가요?
8 - 하위권 지거국에서 학점 4.4 졸업이면 어느 대학원까지 가능한가요?
17 - 아플 것 같으면 포기하는게 맞을까요?
7 - 살면서 저보다 똑똑한 사람을 본 적이 없습니다.
32 - 방임형 지도교수
9 - 임용된지 얼마 안된 교수님 연구실 장점이 뭘까요?
15 - Science 저널에 투고 후 현재 상황
10 - 부산대 대학원 생각 있습니다
11 - 논문 70편 쓰고 교수 임용되신 분 구글 스콜라 들가서 일일히 세어봤습니다.
30 - 해외포닥이라고 다 존중받아야 하는거는 아닌듯
8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대학원생 예절에 대해 쓴 글 보고...
209 - 여초랩에 들어가면 안되는 이유
66 - 아무리 강사라도 상명대 출신이 서울대 교단에 서는 건 말이 안되지 않나???
116 - 학술적 파시즘이 보이는게 걱정됩니다.
35 - 여긴 희한한게 애들 착취하지 말자하면
39 - AI 뜨니까 개나소나 다 인공지능 대학원 가려고 하는거 같긴 함
26 - 연구실 내 인간관계가 너무 힘드네요
9 - 광명상가에서 카이스트 대학원 가는게 가능한가요?
12 - 졸업했으면 좀 나가주세요
34 - 환경쪽 석사로 취업하려니 막막하네요
7 - 국가 R&D 성과조사하면서 느낀점
7 - 포스텍 AI대학원 합격했네요..!
15 - 님들 이거 한 번 보셈
5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만 51세 여성 지인이 미국 박사유학 상담을 해온다면... 뭐라고 말해줘야 하나요?
72 - 미국 Top 30 기계/로봇 석사과정 합격 가능할까요..?
29 - 다이렉트 박사 현실적 가능성
11 - 미박 지원서를 몇 개를 써야할 지를 모르겠습니다
14 - 아이큐 높은 사람들 보셈
66 - 근데 아무리 교수라 하더라도 학사논문은
13 - 하위권 지거국에서 학점 4.4 졸업이면 어느 대학원까지 가능한가요?
17 - 살면서 저보다 똑똑한 사람을 본 적이 없습니다.
32 - 방임형 지도교수
9 - 임용된지 얼마 안된 교수님 연구실 장점이 뭘까요?
15 - Science 저널에 투고 후 현재 상황
10 - 부산대 대학원 생각 있습니다
11 - 논문 70편 쓰고 교수 임용되신 분 구글 스콜라 들가서 일일히 세어봤습니다.
30
2024.03.10
2024.0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