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좋은거죠. 그런데 합격한다는 보장은 없죠. 열심히 준비하면 얻는게 많을것 같내요. 특히 남들 앞애서 자기pr도 해보고 혹여나 다른 교수가 줌으로 만나자고 하면 그때 도움이 될거고. 그냥 1차 시험에 합격했다고 생각하고 준비하면 좋을듯
Harvard에 계신 교수님께 미박 컨택 답변이 왔습니다. 평가 부탁드립니다.
30 - 미국 박사 진학은 대학 이름 큰 상관 없구요. 그냥 1,2학년때 학부 인턴 한번 해보시면 아 내가 유학 가겠구나 못가겠구나 느끼실 겁니다.
그리고 목적과 수단을 잘 생각하세요. MIT가 목적이 되는것이 아니라, 연구가 너무 좋고 하고 싶은 연구가 있어서 그에 따른 수단으로 MIT를 가는 겁니다.
미국 유학가고 싶다면 포스텍도 괜찮은가요
17 - 예전엔 포 > 카 > 서 였는데 서울대 가서도 미국 유학 잘 갔습니다
미국 유학가고 싶다면 포스텍도 괜찮은가요
16 - 인터뷰 제의면 매우 긍정적이네요. 면접 준비 집중하시면 될거같아요.
Harvard에 계신 교수님께 미박 컨택 답변이 왔습니다. 평가 부탁드립니다.
14 - 이정도면 그린라이트인거 다 알면서 ㅋㅋ 물어본건데?
Harvard에 계신 교수님께 미박 컨택 답변이 왔습니다. 평가 부탁드립니다.
14 - 컨택은 원래 하나씩...
하나 떨어지거나 답 없으면 다른곳 연락하는게 보통입니다.
컨택 메일 난사했다가 큰일났네요
15 - 참 전통파 또박이들 많네 ㅋㅋㅋㅋ 이러니 고인물 소리 듣지 ㅋㅋㅋㅋ 심사 기간이 짧은게 문제임? 아니면 돈을 많이 내는게 문제임? 다 틀렸음. 핵심은 연구자들에게 양적 실적을 요구하는 세상의 분위기와 그리고 이를 편승한 연구자들이 문제인것임. 누구는 좋은 저널 안내고 싶겠음? 근데 연구 1년차에 논문 실적을 요구하는 나라에서 뭘 바람 ㅋㅋㅋㅋ 그리고 저널 퀄이 낮은게 뭐가 문제인지 모르겠네? 무슨 양질의 데이터만 중여한것임? 난 아니라고 봄. 연구과정에서 나온 모든 데이터를 모든 사람이 공유할수 있게 하는게 가장 중요한것이고. 그런 의미에서 저런 저널들도 자기 역할이 있는것임 ㅋㅋㅋ 거짓 데이터를 거지고 만든게 아니면 저런 저널도 휼륭하다고 봄. 이미 자리잡고 사자리 걷어차기 하는 놈팡이들 말에 속지말고 꾸준히 논문 적고 정보 공유하는데 집중하삼. 애초에 저렇게 저널 퀄을 논하는 애들때문에 저런 저널이 나타나서 문제 된 것임.
MDPI 논란 정리해볼게요
19 - 자기도 못 믿을 유니크한 데이터를 이쁘게 가공해서 만들어진 sci 논문 보다 투박해도 가공 없이 사실적으로 게시한 저런 논문이 다른 사람들에게 더 활용될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는 편임. 의미없는 인생도 없고 의미없는 논문도 없음. 그냥 열심히 하시길
MDPI 논란 정리해볼게요
21 - 정신병원 내일 가셔서 당장 약 처방 받으시고 쉬세요
졸업할 때 되니까 진심 ㅈㅅ하고싶은데 원래 이런가요
14 - 공저자하시는게.. 사람일이란게 그런겁니다...
공1저자인데 단독저자로 해달라고 요구해도 되나요?
12 - 뭐 억울할 수도 있고 조심스레 말은 꺼내볼수 있지만...
결국 논문의 주인은 교수님입니다. 애초에 프로젝트 기반으로 시작한 논문이고, 선배 -> 님 순으로 담당학생이 바뀌면서 논문이 적힌거잖아요?
결국 그 프로젝트 책임자인 교수 판단입니다.
교수가 개인적으로 선배를 편애할 수도 있지만, 교수가 볼 때 선배가 프로젝트 초반에 기여한, 길을 튼게 크다고 생각할 수 있어요.
교수도 바보가 아니라서 앵간하면 그럴만하니까 공1 제안을 하는겁니다. 대놓고 저렇게 밀어주면 불만이 생긴다는걸 모르지 않으니까요.
그리고 첫번째 이름이면 단독저자랑 큰 차이 없습니다. 나중에 교수 임용 지원하실때 한 10편정도 1저자 실적이 있다고 가정하면 거기에 공동1저자 첫번째 이름이면, 그게 공동1이든 단독1이든 유의미한 차이가 없을거에요. 선배랑 사이도 고려해서(다음에 선배 논문에 님 이름이 또 잘 들어갈 수도 있잖아요?) 그냥 따르는걸 추천합니다.
공1저자인데 단독저자로 해달라고 요구해도 되나요?
20 - 컨택메일 난사하는거 전혀 문제 없구요
학생이 여러군데 간 보다가 하나 골라가는건 교수님들도 이미 잘 압니다. 자기들도 이미 그래왔는데요 뭘
다만 다른곳 전혀 안썻다는 거짓말이나, 간다고 했다가 다른곳 가는등의 통수만 안치면 됩니다.
컨택 메일 난사했다가 큰일났네요
12 - 아니 이력서는 그렇게 넣는게 맞습니다 코페르니쿠스님...좀 사회생활 안 해본 티좀 내지 맙시다 진짜;;
컨택 메일 난사했다가 큰일났네요
16
산학장학생으로 석사 과정을 진행에 있어서 고민이 있어서 김박사넷 선생님들께 문의를 드립니다.
2024.02.17

석사과정을 포기해야 될지 고민이 많아서 경험이 많으신 김박사넷 선생님들께 의견을 구합니다.
지난 학기 석사과정으로 대학원에 입학 했고 교수님께서 산학 장학생 추천을 해주셔서 대기업 산학 장학생 혜택을 받게 되었습니다.
처음 한학기는 연구실 적응도 하고 나름 공부도 할 수 있게 선배님들과 교수님이 배려해 주셨습니다.
그러나 학기 중에 굉장히 심한 두통 때문에 머리 검사를 받았고 종양이 발견 되어서 제거 수술을 받았습니다.
이 과정에서 겨울학기 기간동안 잠시 휴식을 취했으며 치료 받는 3개월이 넘는 기간동안 공부를 제대로 하지 못했습니다.
수술은 성공적으로 끝났고 이제 학교에 돌아가야 되는데 다음 학기부터 과제에 참여해야 하고 개인 연구 발표도 수행해야 합니다.
지난 학기 제대로 대학원을 다니지 못했기 때문에 공부도 하지 못했고 논문도 거의 읽지 못했습니다.
한학기 휴학을 하려고 했지만 산학 지원을 해주는 회사에서 병 때문에 휴학을 한 케이스가 없다며 조금 어려울 것 같다는 답변을 받았습니다.
산학 장학생이라 2년 안에 학위 과정을 마쳐야 하고 연구실에서도 회사로부터 산학장학생을 보내는 조건으로 일부 돈을 받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렇기에 산학장학생을 포기하게 되면 연구실에도 피해를 끼칠 것 같습니다.
이런 다양한 문제들이 복합적으로 얽혀 있어서 어떤 결정을 내려야 될지 모르겠습니다.
지금 연구실에 돌아가면 공부가 너무 부족해서 제대로 연구를 수행하지는 못할 것 같고 연구실 사람들에게 민폐만 끼칠 것 같아서 걱정입니다.
제가 선생님들께 궁금한 점은 위와 같은 상황에서 석사 과정 중에 뚜렷한 성과 없이 어거지로 졸업하여 회사로 가는 것이 맞는 걸까요?
아니면 차라리 석사 학위 과정을 포기하고 취업을 생각하는 것이 맞는 걸까요? 아니면 다른 방법이 있을까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석사졸업 김GPT 5 13 9279
교수님 몰래 박사 컨택 면담... 김GPT 19 28 7470-
14 17 7852
이런 연구실 계속 남아야하나요? 김GPT 4 8 3296-
0 7 8215 -
0 5 906 -
0 0 324
대학원 자퇴 김GPT 8 13 1607
박사진학을 고민중입니다... 김GPT 0 5 540
더 나은 교수님을 찾아 떠나려고 합니다. 명예의전당 111 35 50321
첫 citation 뽕맛이 엄청나네요... 명예의전당 100 9 11880
심심해서 풀어보는 대학원생 개꿀AI 앱 모음 명예의전당 117 20 65568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대학원 재수해본사람이 남기는 면접후기
22 - 대학원생때 학폭 주도한 인간이 교수된거 보니
27 - 교수가 되려면 공부를 대체 얼마나 하시는건가요
40 - 미팅을 30분뒤에 하자고 하는게 정상인가
16 - 서울대 교수가 말하는 창의성
36 - AI시대에서 가장 불쌍한건 과학고/영재고 애들 아닌가
26 - 간장게장 Z의 첫 깨달음
33 - MDPI로 첫논문 내지마 엥간해선
17 - MDPI 논란 정리해볼게요
36 - 가짜들의 시대를 박살내러 왔다 (“내가 천재라고? 틀렸다. ‘천재’는 나를 설명하지 못한다.”)
21 - 연구, 벤처 = 스캠 인가?
5 - 대학원 진학 조건이 궁금합니다 ㅠㅠㅠ
5 - 연구실에 돌릴 간식 추천드려요
6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컨택 메일 난사했다가 큰일났네요
14 - 박산데 교수님이 빨리 졸업시키려고 해요
10 - 졸업할 때 되니까 진심 ㅈㅅ하고싶은데 원래 이런가요
9 - KCI 2편으로 정출연 또는 5급공무원 취업가능할까요?
8 - 내년 2월에 졸업 후 미국으로 포닥 가는데 새로운 연구를 시작할지, 좀 쉴지 고민됩니다.
8 - 박사 유학 허파에 바람만 든 건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12 - 공1저자인데 단독저자로 해달라고 요구해도 되나요?
17 - 대학원생 평균 하루 연구 투자 시간이 얼마나 되나요?
7 - 하위지거국 자연대생인데
11 - 연애 대체 어떻게 시작하나요
14 - 선배가 멋대로 저자순위를 정하고 제 기여는 가려질 때, 어떻게 해야 하나요?
7 - 컨택 후 인턴 6달 후 탈락
11 - 천재 K 데뷔했습니다.
24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Harvard에 계신 교수님께 미박 컨택 답변이 왔습니다. 평가 부탁드립니다.
12 - 미국 유학가고 싶다면 포스텍도 괜찮은가요
31 - 학부 졸업 후 다이렉트 유학 준비 중인데, 졸업 유예가 의미가 있을까요?
14 - 컨택 메일 난사했다가 큰일났네요
14 - 졸업할 때 되니까 진심 ㅈㅅ하고싶은데 원래 이런가요
9 - KCI 2편으로 정출연 또는 5급공무원 취업가능할까요?
8 - 내년 2월에 졸업 후 미국으로 포닥 가는데 새로운 연구를 시작할지, 좀 쉴지 고민됩니다.
8 - 박사 유학 허파에 바람만 든 건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12 - 공1저자인데 단독저자로 해달라고 요구해도 되나요?
17 - 하위지거국 자연대생인데
11 - 연애 대체 어떻게 시작하나요
14 - 컨택 후 인턴 6달 후 탈락
11 - 천재 K 데뷔했습니다.
24

댓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