삭감 맞았다고 학교에서 주는 교수 월급이 깎이냐? 물론 연구수당 좀 줄겠지만 직업을 잃거나 밥을 굶거나 하진 않는다.
모든 피해는 가장 밑바닥의 원생(포닥 포함)이 다 떠안는거다. 원생은 인건비 깎이면 월세도 빠듯해지고 밥 사먹던거 컵라면 먹는 것처럼 직격탄이다. 나라에 돈 없어서 줄였다면 이해가 가는데 하이브레인에서 퍼온 아래 내용 보면
- 보건복지고용 : 증가 (+7.5%) - 교육 : 감소 (-6.7%) - 문화체육관광 : 증가 (+1.2%) - 환경 : 증가 (+2.5%) - R&D : 감소 (-14.8%) - 산업중기에너지 : 증가 (+7.7%) - SOC : 증가 (+5.6%) - 농림수산식품 : 증가 (+4.1%) - 국방 : 증가 (+4.2%) - 외교통일 : 증가 (+17.2%) - 공공질서안전 : 증가 (+6.6%) - 일반지방행정 : 감소 (-1.5%)
연구랑 교육, 일반지방행정만 줄고 나머지는 다 늘었다. 보건, 복지, 고용, SOC, 농림, 수산, 식폼, 공공, 안전 이런건 표랑 직결이 되니까 늘린거고 어차피 보수 성향 많은 연구계는 이러나 저러나 표 줄거니까 팍 깎았네.
대통령 하나 잘못 뽑아 이 무슨 난리인지... 윤석열이가 김건희한테 쩔쩔 매는 거 보소. 그리고 천곰사무실이 용산 대통령 집무실이 내려다보이는 곳에 있고 수시로 윤석열이한테 지령을 내린다더만. 윤석열은 머리가 나쁘고 미신을 지독하게 믿으며 과학기술을 증오한다는 사실이 여실히 입증되고 있다. 이거에 반론 있으면 어디 얘기해보라. 그리고 무엇보다 국가발전에 대한 의지가 전혀 없다. 어릴때 귀에 못이 박히도록 듣던 얘기가 자원도 없고 땅도 좁은 우리나라가 살 길은 과학기술 밖에 없다는 것이었고 그건 여야를 떠나 디폴트로 모든 우리나라 정치인들이 가진 생각이었다. 윤석열이 나타나기 전까지는.
대댓글 3개
2024.01.24
정치 이야기는 사절.
2024.01.26
ㄴ 정치 이야기라고 딱 끊을 수 없는게, 우리가 연구하는 데 필요한 예산이나 환경 같은 게 정치와 굉장히 밀접하게 연관이 되어 있는걸. 이건 정치니까 하고 선을 그어 버리면 어떤 것도 바꿀 수 없음.
2024.01.26
ㄴㄴ 삶은 원래 정치에서 벗어날 수가 없음. 어찌보면 "정치인들은 다 똑같이 더럽다, 그러니 나는 아무에게도 관심갖지 않겠다/아무나 뽑겠다" 라는 정치혐오의 태도가 사태를 이 지경까지 끌고 온 것일 수도 있음.
2024.01.24
반대로 앞으로 n년간 후속 유입이 줄면서 얻어지는 이득은 없나? (삭감 찬성한다는건 아님 ㅋㅋ)
대댓글 1개
2024.01.24
별로 없음. 머리수가 많아야 파이도 커짐
2024.01.24
이게 바로 악순환의 시작이 된다고 봅니다. 당연히 연구비가 삭감이 된다면 대학원생을 안뽑게 될것이고, 연구실 입장에서도 연구할사람이 없어지게 되니 연구의 퀄리티도 줄어들게 되고, 그러면 논문수도 줄어서 성과가 없어지게되면 과제를 수주할 수 없게되고 그러면 인재육성이라는 미래를 위한 투자가 없어지게 됩니다. 이렇게 한마디에 의해 결정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예요.
대통령이 아무리 뻘소리를 해도 밑에있는 장관, 차관, 국회의원들이 이를 막았어야 합니다. 정부가 왜 대통령이 한마디 했다고 여기저기 휘둘려야하나요.
대댓글 2개
2024.01.24
입법부, 행정부, 사법부 중에서 입법부는 행정부의 입김에 따라 왔다갔다했고 (행정부 수장의 카르텔 발언 -> 행정부(과기부, 기재부 등등) 장차관 -> 입법부(의회)의 저항없는 팔로업) 다년 계약한 과제를 계약 당사자와 협의 없이 일괄 삭감한 것에 대해 헌법 소원이 가능할 것 같은데 일단 누가 헌법소원을 할 용자가 필요하고, 그 다음엔 사법부가 독립된 권력으로서의 의지를 보여줘야하고...
2024.01.24
과기부 장관이 삭감하지 말라고, 결단코 반대했는데 VIP는 갈! 시전하고 호통치고 욕설
2024.01.24
협약서 제13조 (연구개발비의 부담 지급 사용관리및 사용내역보고) 3항 2호 2. 정부의 예산사정 관련법령 또는 규정의 개정이나 정부의 정책 변경 드응로 정부지원금이 조정이 필요한 경우
를 근거로 삭감했답니다.. ㅠㅠ
대댓글 1개
2024.01.24
이건 정부가 만든 규정이고요. 헌법소원은 "공권력에 의하여 헌법상 보장된 국민의 기본권이 침해된 경우에 헌법재판소에 제소하여 그 침해된 기본권의 구제를 청구하는 제도이다."이기 때문에 저 규정 자체가 잘못되었을 가능성을 법원의 판단에 맡기는 겁니다. 따라서 사법부가 협의 없이 일방적으로 예산 삭감이 가능한 저 규정이 국민의 기본권을 침해한다고 판단하면 규정을 수정해야하고, 그럼 아마도 협의 후 삭감으로 바뀔거고요..그런데 기재부에서 예산을 안내줄거니 부처는 어떻게든 연구자들과 협의를 해내야만 할거고 연구자도 협의를 안해주긴 어려울거 같네요. 결국 삭감이 되긴 되겠죠. 그래도 규정이 잘못되었다는 것을, 협의는 필요하다는 것을 관철해낼 수는 있겠죠. 누가 헌법소원을 하겠다고 나설지는 모르겠지만...
2024.01.25
반대로 가장 이득을 보는 사람은 이미 학위받은 연구원들이겠네요... 이제 대학원 가는 사람(특히 박사)이 많이 줄어들 수밖에 없으니까요
대댓글 1개
2024.01.25
잠깐동안 개인의 입장에선 그럴 수도 있죠 경쟁자가 줄어드는거니 근데 조금만 시야를 길게 가지면 연구 인프라가 줄어드니 연구 환경자체가 나빠지고 (지방에 인구 줄면 사람을 위한 편의시설이 없어지는 것처럼), 연구원들의 세력이 약해지니 목소리도 작아지니 (예산 삭감 같은게 더 쉽고 간단해지고) 장기적으로는 안좋아지는거죠 국가경쟁력도 내려가겠고…
2024.01.26
이래도 국짐 지지하는 흑우 없재?
대댓글 1개
2024.01.26
민주당이 었으면 이재명이 기축통화 운운하며 더 작살냈을걸..
2024.01.26
의치한약수를 갔어야지 너를 탓해...
대댓글 2개
2024.01.26
의치한약수랑 상관 없이 각자의 자리에서 의견을 낼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함. 님이 그렇게 좋아하는 의사들도 의대 정원 늘린다니까 80퍼센트 이상이 동의해서 단체행동 예고하고 막고 난리치더만 ㅋㅋ
2024.01.26
의사들도 단체행동 하는데 뭐 연구하는 사람들이라고 싸물고 있어야 하는건 아니잖아? ^^
2024.01.26
저 위에 아직도 이재명이 됐으면 기축통화 드립치는거 보니
20%씩 쩜하당해도 그저 벙어리마냥 입다물고 이재명이었으면 더 망했을듯 이럴듯 ㅋㅋ 더 삭감맞아봐야지
2024.01.27
대학원 특유의 폐쇄적인 문화가 단체활동 못해서 결국 자승자박 ㅋㅋㅋㅋㅋㅋㅋㅋ 이번 계기로 문화도 좀 바뀌길 바란다
대댓글 2개
2024.01.27
나만 안건들면 돼... 이 분위기가 팽배한데 문제는 하도 그러고 사니까 날 건드려도 가만히 있네요
2024.01.23
2024.01.24
대댓글 3개
2024.01.24
2024.01.26
2024.01.26
2024.01.24
대댓글 1개
2024.01.24
2024.01.24
대댓글 2개
2024.01.24
2024.01.24
2024.01.24
대댓글 1개
2024.01.24
2024.01.25
대댓글 1개
2024.01.25
2024.01.26
대댓글 1개
2024.01.26
2024.01.26
대댓글 2개
2024.01.26
2024.01.26
2024.01.26
2024.01.27
대댓글 2개
2024.01.27
2024.0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