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독립적으로 연구하고 논문써서 학회에 제출하는것이 가능한가요?

2024.01.18

29

4771

안녕하세요 이공계 학부생인데 학부연구생이나 대학원 인턴을 한 경험도 없고 앞으로도 하지 않을 것 같습니다.

소속된 연구실 없이 실력만 있으면 개인으로 연구 및 논문을 작성하여 학회에 투고하는 것이 가능할까요?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9개

2024.01.18

높은 확률로 데스크리젝당해여

2024.01.18

네 있네요. https://andreas-madsen.medium.com/becoming-an-independent-researcher-and-getting-published-in-iclr-with-spotlight-c93ef0b39b8b

2024.01.18

탑티어 논문 읽고 이해하고 아이디어 내고 실험하고 논문 쓰고 리뷰탈 쓰고 리비전 하는걸 혼자 할 수 있다면 혼자 해도 됩니다. 그러나 높은 확률로 자의식 과잉일 듯 하네요. 오펜하이머가 바보라서 연구실에서 지도교수와 연구했을까요?

대댓글 1개

2024.01.18

답변 감사해요. 저도 연구실 들어가거나 대학원 진학도 하고싶은데 사정상 당장 하고있는 일이 있어서요ㅠㅠ
근데 현재 관심있는 분야를 오랫동안 공부하기도 했었고 연구에 대한 욕구를 저버릴 수 없어서 질문드렸습니다!

2024.01.18

최근 논문 중엔 이 논문이 기억나네요. 공동 1저자 중 맨 앞 3명이 independent researcher입니다.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86-021-04332-2

2024.01.18

근데 그럼 실험은 어디서 하시는건가요?

대댓글 1개

2024.01.18

실험은 컴퓨팅 파워가 꽤 요구되기는 한데 개인 자금으로 충분히 커버할 수 있을 정도라서요!

2024.01.18

가능은 합니다.

2024.01.18

소속된 연구실이 없는건 상당히 큰 문제네요..

2024.01.18

학부생이면 도움을 줄 수 있는 교수님을 찾아가는게 좋아보입니다. 학부연구생을 안하더라도.

2024.01.18

독립된 연구자들이 모여보는 것이 가장 좋을 것 같네요.
어찌어찌 능력이 출중하여 실험에 논문 작성 혼자 다 할 수 있다해도 peer review는 필수적입니다.
한 사람이 아무리 열심히해고 동료 연구자들 사이에서 discussion을 통해 얻을 수 있는 부분들은 채워지기 힘들고요.
그 discussion을 저널 혹은 컨퍼런스의 reviewer와 바로 하기에는 건설적인 방향이 되기 힘듭니다 (보통 reject을 하고 말죠).

대댓글 1개

2024.01.18

본인 능력이 충분히 뛰어나다면 온오프라인에서 관심사가 겹치는 독립 연구자들 모으기는 어렵지 않습니다.

2024.01.19

그래도 한번 해보세요. 대신 논문의 형식적인 부분을 잘 갖춰야하는데 이건 논문을 많이 읽어보면 되는 부분이고, 커멘트 줄 지도교수가 없으니 제출하고 리뷰어에게 커멘트를 받아보면 되겠네요. 대신 호흡이 굉장히 길어질거에요. 논문 제출하고 몇 달은 걸려야 리뷰 결과를 받을테니...

2024.01.19

논문 읽고(이건 어둠의 경로로 해결한다 치고) 교정받고 게재하고 하는데 다 돈이 드는데... 그리고 표절체크 프로그램은 어케 돌리실건지... 막막합니다

2024.01.19

불가능합니다. 연구와 연구결과 발표에 필요한 지적 능력은 차치하더라도 연구 행위는 돈, 시간, 리소스가 필요합니다. 연구비 없이 사제 털어 연구하는것은 한계가 있습니다.

2024.01.19

본인이 더 잘 알지 않을까요..?
오픈 엑세스 논문은 무료니까 읽어보시고 이 정도는 나도 쓰겠는데?하면 하는거고 어렵겠네 하면 지도 받는거고.. 그리고 직접 연구하고 논문 한번 써보면 생각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2024.01.19

가능은 하지만 가능성은 굉장히 낮습니다.
다른 것보다 가장 훈련이 필요한 부분이 과학/기술적으로 사고하고 그것을 글로 잘 표현하는 것인데 그건 아무리 수학 물리 생물 문제를 잘 풀고 실험을 잘 하고 코드를 잘 짜도 누군가의 도움 없이 훈련받기가 굉장히 어렵습니다. 더군다나 영어로요.
아시죠? 아직 chatGPT 같은 툴은 윤문을 위한 도구에 불과합니다.

2024.01.19

투고는 가능은할텐데 리젝당하죠

2024.01.19

가능. 억셉에 영향이 어느 정도인지는 학회마다 다름
등재지 유지가 힘들 정도의 국내학회는 리젝시킬 것임. 교수이름이 필요한 곳은 박사과정생 단독게재도 심사 없이 반려시킴

2024.01.19

가능은 한데... 많이 어렵죠, 흠... 실제 실험없이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으로 가능은 하죠, 능력만 있으면...

2024.01.20

ㅋㅋㅋ내 박사생 동기 지도교수 마음에 안든다고 저 난리 치다가 리젝당함… 내가 봤을 때 학생이 교수 보다 나은 경우는 잘 없는 듯 ㅎㅎ

2024.01.20

당연히 가능하죠. 돈이 좀 들지만...
돈만 있으면 되요.
어차피 상당수 교수님들이 하는 일이 돈 따오는 것입니다.

2024.01.20

하실수도 없고, 만약에 한번 하신다고 해도 우연이고, 제대로 연구하기도 어려울 뿐더러, 기본을 갖춘 논문을 만들어내기 어렵고, 안좋은 연구습관만 들이게 됩니다.

2024.01.20

그게 연구적인 문제인지 그냥 공학적인건지도 구분못할수있고
설령 맞더라도 연구관점에서 글쓰는건 불가능에 가까움

2024.01.21

직장다니면서 좋은건 못쓰지만 중간-낮은 저널에 낼때있습니다. 가능은 하나 여러 모로 어려운 점이 있는데,
실험...교수후배한테 장비쓰게 해달라고 가끔 부탁..회사거를 써도 되지만 쓰는 순간 이름 넣어달라는 사람이 너무 많아져서..
두번째 문제는 레퍼런스 논문 찾기 쓰려는 아이디어가 이미 나와있는제를 체크하는 과정이나 개념을 설명하는 있는 논문을 참조해야 하는데 찾는게 쉽지 않더라구요.
컴퓨팅쪽은 논문투고 보다는 학회가 더 파워가 있는 분야로 생각 되어 아주 작은 학회까지도 투고된 논문을 꼼꼼히 체크해야 하느누어려움이 있을것 같습니다.

2024.01.24

CS분야인 것 같은데 충분히 가능함

2024.06.28

부정적인 사람들 천지네 여기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2024.11.29

대학졸업하고 소속 없었을 때 spk대학원 진학을 목표로 individual, 개인으로 2티어 학회 accept받았었습니다. 컴퓨터쪽이면 충분히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2025.01.08

충분히 가능하고 은근 많은걸로 알고 있습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