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합격한 회사들 한 곳에서는 연구원들이 내부레포트 제외하고, 학교랑 코옵하거나 해서 매년 논문 1-2개 쓰도록 장려함.
이런 경우가 흔하지는 않지? 난 이게 너무 끌려서 여기 갈려하는데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5개
2021.11.05
와 어디임? 나도 4대기업 이번에 들어가는데 그렇게 해주려나
대댓글 1개
세심한 라이프니츠작성자*
2021.11.05
미국 어느 회사임
2021.11.05
어중간하게 있으면서 학계를 노리기엔 좋아 보이는데, 그냥 회사원으로 계속 살려면 회사 다니면서 논문 몇 개 더 쓰는게 큰 의미가 있을까요? 본인 목표와 관점의 차이일듯.
대댓글 1개
세심한 라이프니츠작성자*
2021.11.05
학계는 아직 별 관심이 없네요. 또 모르죠. 미래에 어떻게 될지.. 큰의미야 말씀하셨듯 관점에 따라 다를 듯 하네요
2021.11.05
Fang의 리서치 부서에 가면 논문 종종 쓰는데요. 학교랑은 과제 협력으로 쓰기 보단 학생들 인턴으로 직접 뽑아서 방학동안 일 해 보고 논문 쓰고 하죠.
대댓글 3개
세심한 라이프니츠작성자*
2021.11.05
전 그 쪽 분야는 아닌데, 그 쪽에서는 그렇게도 하는군요.
2021.11.05
네 그렇게 인턴이랑 쓰기보단 그냥 회사 내부에서 회사 연구자들 끼리 쓰는 경우가 물론 더 많습니다만 인턴과도 종종 씁니다.
세심한 라이프니츠작성자*
2021.11.05
그 회사에서는 인턴이 가끔 선임연구자를 논문 쓰더라구요. 대부분의 경우, 아이디어가 있는데 회사방향과 핏이 맞지 않거나, 우선순위에서 벗어가는 경우, 값싼 인턴들 뽑아서 일 시켜보죠 ㅎㅎ
IF : 5
2021.11.05
나쁘지 않다고 봄. 윗분 말씀한 4대기업에 있는데 논문작성이 원천적으로 불가라 ㅎㅎ 개인적으로 남는건 하나도 없네요. 사내논문대회를 하긴 하는데...
대댓글 4개
세심한 라이프니츠작성자*
2021.11.05
왜 원칙적으로 불가죠? 궁금하네요.
저 회사도 듣기로, 예를들어 공정이나 재료를 개발하면 필수는 trade secret으로 남기고 메커니즘 정도는 아카데믹 저널에 투고한다고 하더라구요
IF : 5
2021.11.05
회사 내 연구소 조직에서 하는건 가끔 외부 발표를 하는데 전 더 개발쪽에 가까워서ㅎ 저희꺼는 전부 confidential이예요. 연구소도 소장급 결재타야돼서 내기 엄청나게 까다롭구요.
세심한 라이프니츠작성자*
2021.11.05
개발 쪽이면 이해가 충분히 되네요 ㅎㅎ…
2021.11.06
아.. 사내 논문 대회를 하나요? 저도 FANG에 근무하던 전직 직원인데 (정확히 말하면 G) 외부 논문은 많이 쓰는 편이었지만 사내 논문 대회는 없었습니다. 혹시 FANG중 어디인지 알수 있을까요? F, G는 논문을 당연히 쓰는 것을 막지도 않고, 또 쓰는 분도 많을 것 같긴 한데 A는 확실히 약간의 삼성-style같기도 한것 같기도 하지만요. (삼성이 외부 논문을 많이 쓰진 않는데 사내 논문 대회 및 논문상이 있습니다.)
조급한 데이비드 흄*
2021.11.05
진짜 cutting-edge 논문을 쓰는 회사인지, 아니면 그냥 적당히 데이터 모아서 대외홍보용으로 논문 쓰는 회사인지에 따라 현저하게 다를듯
2021.11.05
대댓글 1개
2021.11.05
2021.11.05
대댓글 1개
2021.11.05
2021.11.05
대댓글 3개
2021.11.05
2021.11.05
2021.11.05
2021.11.05
대댓글 4개
2021.11.05
2021.11.05
2021.11.05
2021.11.06
2021.11.05
대댓글 1개
2021.1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