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ㅋㅋㅋ 남 물박사라 욕하지말고 본인이나 잘해여 ㅋㅋㅋㅋ
물박사도 논문 갯수 박치기 가능하네요
33 - 아니요 낮은 저널과 학회에 나오는 아이디어 99%는 탑티어 기술 적용해봤다 끝이고 의미없는 연구들이 99.99%입니다. 대기업 중소기업 개념이 아니라 그냥 디지털 공해입니다.
낮은 저널에 논문을 내는 이유
44 - 교수님을 개입시켜서 학생에게 한소리를 해야죠
분위기가 망해버린 신생 연구실 탈출이 맞을까요?
19 - 헛짓말고 현생사세요
대학 교수 학력 입력에 "ㅇㅇㅇ대학교 ㄱㄱㄱ학과 석사/박사 " 에 대한 질문
29 - 댓글만 보면 여긴 다 이미 석학들이거나 예비석학들임 ㅋㅋㅋㅋㅋㅋㅋㅋㅋ
낮은 저널에 논문을 내는 이유
21 - 임용할때 졸업했는지 정도는 파악했겠죠. 그냥 CV 날조죄 정도일것같네요. 클레임걸면 수정되고 끝날 정도
대학 교수 학력 입력에 "ㅇㅇㅇ대학교 ㄱㄱㄱ학과 석사/박사 " 에 대한 질문
16 - 북한도 아니고 다같이 으쌰으쌰에 안꼈다고 이상한 사람 만드는 연구실 문화가 더 문제
연구실 분위기는 누가 망치고 있는지 다시 생각해보시길
분위기가 망해버린 신생 연구실 탈출이 맞을까요?
37 - 대통령이 바뀌고 나서 뭔가 제대로 돌아가기 시작하는 듯
지난 정부는 모든 측면에서 다 나사 빠져있었는데
한국 피지컬 ai 협회 출범 ㄷㄷㄷ
34 - 신고에는 다 이유가 있다
한국 피지컬 ai 협회 출범 ㄷㄷㄷ
22 - 탑 컨퍼런스는 많은 학자들이 공감할 수 있는 문제를 푼 거고, 그보다 낮은 학회는 그보다는 덜 공감하는 문제를 풀었던 것입니다.
많은 학자들이 공감하는 문제가 더 중요하다고 말할 수 있지만, 덜 공감하는 문제가 하찮은 것은 아닙니다.
조금 더 기여하냐, 조금 덜 기여하냐의 차이일 것입니다.
리처드 파인만이 자기 제자한테 쓴 편지입니다.
나는 네가 별거 아니라고 할 만한 문제들도 셀 수 없이 연구했단다. 하지만, 때때로 그런 문제들을 부분적으로나마 해결할 수 있었기 때문에, 나는 그 문제들에 대해 연구한 것이 썩 자랑스럽다. 예를 들어, 매끄러운 면에서의 마찰계수를 측정하는 실험을 통해, 마찰력이 작동하는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를 한 적이 있었다. 실패했었지. 고체 결정을 이루는 원자 간의 힘이 결정의 탄성에 어떻게 영향을 끼치는지도 연구한 적이 있고, 전기도금된 금속을 플라스틱에 붙이는 방법을 연구한 적도 있었다. 라디오 손잡이 만들듯 말이야. 또, 우라늄 내의 중성자가 어떻게 확산하는지, 유리 위의 코팅이 빛을 어떻게 반사시키는지, 폭발이 일어날 때 그 충격파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아니면 플렉사곤이라는 아이들의 종이 장난감을 접는 방법 등, 여러가지 주제를 연구했었다. 유체에서의 난류 현상에 대한 이론도 수년간 연구했지만, 전혀 성공하지 못했지. 물론 너가 아는 양자 이론에서의 "위대한" 문제들도 있었고 말야.
세상에 작거나 하찮은 문제는 없단다. 우리가 조금이라도 해결할 수 있는 문제라면, 그것으로 족하다.
낮은 저널에 논문을 내는 이유
16 - 자기들끼리 세력 만들고 규칙 만들어서 그거 안따르면 이기적이라는둥 해야할 일을 안한다는둥 몰아세우고 왕따시키고 내쫓는걸 기지고 협업 팀웍 이라는 숭고한 단어로 포장 하는듯
분위기가 망해버린 신생 연구실 탈출이 맞을까요?
14 - 이런 능지를 가지고 계시니 취업해서도 노동자의 권리가 뭔지 알턱이 없으니 노란봉투법은 걱정 안하셔도 됩니다.
노란봉투법 연구직도 영향이 있을까요
17 - 위에 좌측분은 화가 많이 났네ㅋㅋㅋ
노란봉투법 연구직도 영향이 있을까요
14
서울 S병원 ‘인지중재치료’ 코드 변경 사건, 제보자 측 항소장 제출
2024.01.08

반면에 제보에 따르면 서울 소재 S병원에서는 심평원의 결정 결과 없이 인지중재치료(비급여항목, 코드: 3N014-1)를 실시한 이후 인지기능검사(급여항목, 코드: 3N014-2)로 EMR에 입력해온 정황을 알려왔다.
이 문제에 대해 내부 제보자 측은 지난 2022년 2월 16일에 이어서 동년 8월 2일 서울서부지방검찰청에 의료법위반으로 추가 고발했으나, 지난 2023년 8월 24일 서울서부지방검찰청으로부터 불기소 처분을 받았다.
8월 24일 검찰의 불기소 처분 요지는 △인지기능검사가 아닌 인지중재치료는 사실이지만, 병원 내부 분류기준에 불과하며, △두 코드는 같은 수가(비용)를 가진 코드를 사용하고 시스템 내에서 3N014라는 카테고리 안에서 세부명칭에 따라서 -1, -2로 나누어지는 차이밖에 없음 때문에 ”3N014-2코드는 인지기능검사 코드가 아닌 인지중재치료 코드로 보인다.“라는 이유다.
또한, 검찰은 피의자 A씨가 진행한 △”인지중재치료의 치료방법은 신의료기술평가가 필요한 의료기술 이라고 보기 어렵다.“고 불기소 이유로 덧붙였다.
이에 대해 제보자들은 최근 항고장을 검찰에 제출했다. 내용은 병원 내에 엄연히 처방 분류가 인지검사라고 명시돼 있음에도 병원 A 씨는 3N014-1코드를 사용할 권한이 없었기에 -2코드를 만들어서 적용한 것이 본 사건의 본질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제보자들은 보건복지부 고시 ‘제2017-125호, 2017.7.4’를 인용하며, 인지중재치료는 명확히 의료법이 규정하는 ‘신의료기술’에 해당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사건을 제보한 이들은 해당 병원의 내부자들이다. 이들이 우려하는 부분은 인지중재치료시 문제가 발생할 경우 피해는 고스란히 환자와 보호자에게만 전가될 것이란 점이다.
인지중재치료가 명백히 신의료기술 임에도 의료기술이라고 보기 어렵다는 검찰의 해석은 전통적인 치료라 할 수 있는 주사제 투입이나 물리치료 행위, 수술 등과 다르게 교육프로그램 행위이기에 해석을 달리하는 것은 아닌가 추측해 본다.
▲ 제보자 제공 사진, 서울 S병원에 놓여져 있는 '치매 예방 인지중재치료' 안내 책자. ©공익뉴스
원문출처: 공익뉴스 http://www.gongiknews.com/438
≪공익뉴스≫ 서울 S병원 ‘인지중재치료’ 코드 변경 사건, 제보자 측 항소장 제출
치매 질환을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지연시키는 ‘인지중재치료(Cognitive intervention therapy)’는 현재 임시 승인된 신의료기술 행위로서, 치료를 시행하는 병
www.gongiknews.com
[출처] 서울 S병원 ‘인지중재치료’ 코드 변경 사건, 제보자 측 항소장 제출|작성자 할렐루거지
-
48 7 1970
대장금 붙었다~~~~~~~~~~ 김GPT 22 13 8810-
10 9 3975
의사파업사태 김GPT 48 12 1820
제주대병원 교수 갑질 파문 김GPT 0 0 2971
조천식모빌리티 대학원 서류 김GPT 1 19 1943
병원 랩실에서 석박통합 연구 김GPT 0 14 1114
컨택답변 김GPT 2 3 7524-
3 16 3793 -
129 50 32827 -
130 22 12985
대학원생은 왜 돈에 대해 초연해야함? 명예의전당 188 91 42031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장문) 언제나 대학원은 신중하게 생각해야 하네요
208 - 신임 교수인데 학생분들 건강 챙기세요
297 - 패기만 넘치는 요즘 타대생 컨택 메일
332 - 학계의 립서비스 ㅋㅋ
23 - (우울주의) 실패에 대하여
150 - 옆 연구실 학생한테 논문 표절당했습니다. 어떻게 해야할까요
16 - 공부잘하는 사람들은 남한테 지는 거 싫어하는 사람들이 대부분일까요?
9 - 40대 박사과정생 여자가 교수님 조교하며 느낀점
35 - 연구실 내 인간관계-서럽고 아픕니다
21 - 물박사도 논문 갯수 박치기 가능하네요
15 - 미국 Ph.D 풀펀딩 유학을 도전해보고 싶은데 지사대 학부생입니다. 2편입니다.
17 - '연구 전념 환경 지원'…네이버클라우드, 5개 대학과 인재 양성 협약 (설카포고한)
4 - 박사과정 연구 장려금 떨리네요
5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GPT로 영어로 논문을 작성하거나 다듬는 것에 대해
24 - 요즘 학생들의 기본마인드 제주변만 이런걸까요?
22 - 낮은 저널에 논문을 내는 이유
34 - 분위기가 망해버린 신생 연구실 탈출이 맞을까요?
22 - 대학 교수 학력 입력에 "ㅇㅇㅇ대학교 ㄱㄱㄱ학과 석사/박사 " 에 대한 질문
13 - 서울대 물리학과 타대생
12 - SKP 바이오 학부생 다이렉트 박사 유학 현실적 조언 부탁드려요.
9 - 컨택메일에는 석박통합 희망으로 썼는데 실제 지원은 석사로 해도 되나?
23 - 노란봉투법 연구직도 영향이 있을까요
11 - 석사 중도포기 고민
11 - 이번에 대학원 석사 막학기 들어가는데
10 - 대학원 인턴+석사 면담을 저번주에 했습니다 근데 논문 리뷰
11 - 왜 SPK 미만은 의미 없다고 그러는거에요?
9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장문) 언제나 대학원은 신중하게 생각해야 하네요
207 - 신임 교수인데 학생분들 건강 챙기세요
297 - 패기만 넘치는 요즘 타대생 컨택 메일
332 - 학계의 립서비스 ㅋㅋ
23 - (우울주의) 실패에 대하여
150 - 옆 연구실 학생한테 논문 표절당했습니다. 어떻게 해야할까요
16 - 공부잘하는 사람들은 남한테 지는 거 싫어하는 사람들이 대부분일까요?
9 - 40대 박사과정생 여자가 교수님 조교하며 느낀점
35 - 연구실 내 인간관계-서럽고 아픕니다
21 - 물박사도 논문 갯수 박치기 가능하네요
15 - 미국 Ph.D 풀펀딩 유학을 도전해보고 싶은데 지사대 학부생입니다. 2편입니다.
17 - '연구 전념 환경 지원'…네이버클라우드, 5개 대학과 인재 양성 협약 (설카포고한)
4 - 박사과정 연구 장려금 떨리네요
5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김박사넷 | 미국 Virginia Tech 신임 교수 초청 웨비나
176 - GPT로 영어로 논문을 작성하거나 다듬는 것에 대해
24 - 요즘 학생들의 기본마인드 제주변만 이런걸까요?
22 - 낮은 저널에 논문을 내는 이유
34 - 분위기가 망해버린 신생 연구실 탈출이 맞을까요?
22 - 대학 교수 학력 입력에 "ㅇㅇㅇ대학교 ㄱㄱㄱ학과 석사/박사 " 에 대한 질문
13 - 서울대 물리학과 타대생
12 - 컨택메일에는 석박통합 희망으로 썼는데 실제 지원은 석사로 해도 되나?
23 - 노란봉투법 연구직도 영향이 있을까요
11 - 석사 중도포기 고민
11 - 이번에 대학원 석사 막학기 들어가는데
10 - 대학원 인턴+석사 면담을 저번주에 했습니다 근데 논문 리뷰
11 - 왜 SPK 미만은 의미 없다고 그러는거에요?
9
댓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