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나은건가요? 잘 모름 만약에 돈받는거 제외하고 쌓이는 지식이나 경험으로 따지면 원하는대학 대학원 vs open ai 연구 하면
그냥 open ai가 이기나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9개
2024.09.26
김박사넷 글중에서 제일 바보같은 글같네요
2024.09.26
ㅋㅋㅋㅋ 뭐 잘 모르는 학부생이 쓴건가 보죠. 돈되는 기술을 우습게 아는...
2024.09.26
낫다는거의 기준을 어떻게 정하냐에따라 다를 것 같아요. Open Ai 에서 일을 한다고하면 근본적인 이론에 대해 연구를 하기야 하겠지만 그래도 연구 방향의 최우선순위는 모델의 성능개선 또는 더 나은 성능의 모델 개발일겁니다. 그리고 방대한 유저데이터와 큰 자본으로 인한 하이엔드 장비들을 사용하고 최적화하는 지식과 경험을 쌓을 수 있겠죠. 그에반해 학문적 연구에서는 성능도 중요하지만 새로운 지식을 탐구해서 발견하는 것이 더 중요한 목적이기 때문에 이론에 대한 탐구가 더 깊이 이루어질테니 이론적으로 더 깊이있는 지식과 경험를 쌓을 수 있을 것 같아요.
대댓글 2개
2024.09.26
기준을 어떻게 정해도 OpenAI죠. 예쁜 여자와 결혼할 것인가 못생긴 여자와 결혼할 것인가요?
2024.09.27
일개 대학원 수준에서 기초적인 수준의 ai 연구를 할 수 있기는 함?
2024.09.26
sota찍으면 논문이되는게 그짝 룰이라서
대학원과 큰차이 없지 그런면에서는
근데 그것도 open ai 일부 선행연구팀에서나 하는거지 모든 직원이 그런건아님
2024.09.26
오픈ai 가려면 일단 최고수준의 논문을 여러편 써야합니다 ㅎㅎㅋㅋㅋ
2024.09.27
오픈ai가시면 세계적인 대가한테 지도 받고 돈도 4억 이상 받으면서 연구외의 잡일, 개인일정들을 관리해주는 사람도 있습니다.
2024.09.27
AI는 당장 지금도 어지간한 대학보다 구글 엔비디아 MS 메타 이런데가 기술 주도하고 논문도 훨씬 많이냄. 걍 다제끼고 구글 딱하나가 내는 논문만 쳐도 양과 질 모두 우리나라 설카포연고디지유 다따고 미국 탑스쿨 스탠포드 MIT 버클리 어디갖다대도 절대안밀릴걸요
2024.09.26
2024.09.26
2024.09.26
대댓글 2개
2024.09.26
2024.09.27
2024.09.26
2024.09.26
2024.09.27
2024.09.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