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컴활이 졸업요건이면
지잡인가
9 to 6에서 9 to 8으로 바꾸자는 교수님.. 어떤 생각이 드는지 궁금합니다.
20 - 그정도 했으면 미팅도 들여보내줄법한데 답답한 실험실이네요 ㅋㅋ
너무 일찍 시작해버린 학부연구생.... .
30 - 교수된 입장에서 말씀드리면, 미팅을 참여 못하게 하는게 아니고 일부러 안하게 하는 것일 수도 있습니다. 혹 학부생 입장에서 너무 빡빡해보이면 좋은 학생 도망갈까봐 + 대학원과정 학생들이 후배 들어와있는데 털리는 모습 보이면 자존심 상해 할까봐.
너무 일찍 시작해버린 학부연구생.... .
27 - 현직 교수입니다. 어떤 구체적인 상황과 사례가 있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저의 경우 학생이 학문.연구.공부를 대하는 태도를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기 때문에, 설령 능력이 부족한 학생이더라도 제 시야에서 진실된 태도로 임한다면 논문 하나 더 찾아주고 책 챕터하나 더 보여주고 하고 있습니다. 발전 가능성이 보이니까요. 능력이 좋아 투자 시간 대비 효율적으로 결과물을 가져오는 학생의 경우, 결과물에 대해서는 칭찬을 하지만 마음이 가지 않는 것도 사실입니다. 더 잘할수 있는 게 보이지만 학생 스스로 판단하여 본인만의 한계를 만든다면, 그냥 뭐....그 정도 애구나 생각하는거죠. 학생의 육성 관점에서, 실적/실력보단 태도를 더 가중치 둡니다.
편애 정도가 아니라 이거는 그알 취재 해야됨
13 - 한국은 학부 간판이 무슨 임용 보증수표마냥 생각하는 듯. 학부가 서울대라면 임용에 여러모로 장점이 있겠지만, 서울대라고 해서 다 교수가 되나요? 서울대끼리 경쟁하는 건 생각도 못하시나? 의대 입학하면 다 쉽게 돈버나요? 의대생끼리 경쟁해서 비인기과 받으면 적성 맞지않아서 평생 고생하고 마음고생합니다. 웃긴게 학부가 낮으면 대단하다고 생각하기보단 어떻게 저 자리를 갔을지 의심부터하는 후진국 마인드. 경제 선진국이라 셀프 위한하면 뭐합니까? 교수를 지원하거나 현직들도 이런 고등학생 입시같은 생각을 평생 떨치지 못하는데요. 중고등교육도 문제이지만 대부분 대학교를 진학하는 상황을 고려하면 교수들이 제일 문제임. 교육철학은 무슨, 학생들이 과거의 본인모습, 미래의 에이스가 아닌 그저 본인 노예정도로 생각하지. 이런거 보면 간판 다 필요없음. 교수판에서 어떻게 사탄들에게 세뇌 당하지 않고 당당하게 소수로 살아남는지가 핵심임. 학부간판이 그렇게 중요하면, 서울대에서 다 학부 졸업하고 자대에서 편하게 다 박사를 받지 왜 유학을 하겠어요? 그리고 교수가 그렇게 좋은 직업인데 왜 낮은급 대학을 갔는데 재수삼수 아니 10수를 안하나요? 그냥 본인이 말하는 것부터 다 모순덩어리임. 스스로 생각 좀 하고 삽시다
일찌감치 교수직 마음 비우고 다른 길도 생각하면
19 - 저희 학교에서는 학생들과 제 오피스가 같은 층에 있습니다. 그래서 학생들 오피스에 자주 가기도 하고, 갈때마다 무엇을 하고 있는지 어떤 고민을 하는지 종종 물어봅니다. 그 이외에도 연구미팅을 할 때 질문을 던져보면, 고심의 흔적들을 충분히 트래킹할 수 있습니다.
흔히 입학한 두 달동안 연구 미팅을 해보면 실력 측면에서 초기값이 좋은 학생과 아닌 학생은 분류가 됩니다. 그리고 거기서 몇 달 정도 더 지나면, 좋은 초기값으로 더 성장할 수 있는지 혹은 좋은 초기값으로 고정되어있는지 혹은 아쉬운 초기값으로 폭발적인 성장할 수 있는지 느낌이 옵니다. 단기간에 선입견이 생기는 건 아니고, 1년 가까이 지도해보면 경험 기반으로 알 거 같더라고요. 추가적으로, 저는 제 학생들보다 먼저 출근해서 늦게 퇴근합니다.
편애 정도가 아니라 이거는 그알 취재 해야됨
8 - Springer -> 좋은 거, MDPI -> 나쁜 거, IEEE Access -> MDPI보다는 나은 거.. 이렇게 이해하시면 됨.
springer가 뭔지 mdpi가 뭔지 하나도 모르는 석사인데 정상인가요ㅠ?
14 - 와진짜 찐따같아요 ㅋㅋ
폐급 새끼랑 일 못하겠네
30 - 작성자가 댓글을 읽든, 안 읽든 간에... 그래도 이런 댓글은 안 쓰는게 어떨까요...
표현의 자유라지만... 모두가 열심히 하고 성취를 느끼고 싶어서 오는 커뮤니티인데... 아쉽네요...
폐급 새끼랑 일 못하겠네
13 - 본인 랩 기준 확실히 잡아서 기준 미달이면 졸업 절대 시켜주지 말고 논문은 코멘트 위주로(직접 고쳐주는거 x) 하면서 직접 고치게끔 하셈.
그리고 과제 일 제대로 안하면 랩세미나 등에서 공개적으로 좀 뭐라하고, 잘 해오는 애들한테는 칭찬 및 논문 잘 봐주고 차별을 하셈.
일 못하는 건 괜찮으나 안 하거나 잔머리 굴려서 꾀 쓰는 애들은 좀 현실의 냉혹함을 맛보게 해줄 필요가 있음.
교수인데 학생들 너무 빡친다
23 - 꼭 그렇게 경쟁 난리를 처야지 알아먹나. 걍 잘해주고 지네 실적 만들어줄때 알아서 할거 하면 지네가 이득일텐데. 걍 진짜 애들 인생 망하더라도 알빠노 하고 열심히하는 애들만 신경써야되나. 고민이 많구만
교수인데 학생들 너무 빡친다
20 - 스스로 부족함을 느낀다는것은 성장할 여지가 있는 좋은 자세입니다.
학위는 자신과의 싸움에서 성장하는 과정이에요. 부단히 노력해야겠지만, 부족하면 매꿔나가면 되어요.
지금의 속상함이 더 성장하는 터닝 포인트가 될수도 있어요!
더 나아진 본인을 상상하면서 더 노력해보셨으면 좋겠습니다.
폐급 새끼랑 일 못하겠네
13 - 그건 중소기업 사장이랑 똑같은거임
사장이 가장 뼈빠지게 일하는게 정상임 ㅋㅋ
꼬우면....아시죠?
교수인데 학생들 너무 빡친다
10
후배 희망?편
2024.01.02

레어한 연구분야라 금싸라기처럼 버선발로 반겨줬는데 본인도 그걸 아는지 인턴이 귀하군요...ㅎㅎ 하더군요.
옆에 붙어서 출근 셋째 날부터 실험 알려줬습니다. 이제 생각해보니 부담스러웠으려나요;;
이제 그 친구가 출근 시작한지 두 달 정도가 되어갑니다. (시간이 빠르네요)
저희 랩은 나름 사유만 있다면 1시간 정도는 유동적인 9-6인데 제가 가끔 cell culture 때문에 아침 일찍 (7am정도)에 출근하는 일이 잦습니다.
출근 후 보니 두 달 내내 8시 30분 칼출근에(이건 저도 못합니다ㅋ) 본인 할 일 다 하고 퇴근하더라구요. 이건 뭐 자율적인 거니...
바이오 랩 특성상 소모품이 많습니다. size별 tip(꽂아서 쓰진 않고 그냥 충전형을 씁니다)이나 conical, ep도 많고 buffer에, 개별 및 공동 실험에 이용하는 유산지 cutting이나 filter paper 등 그 친구가 온 뒤로는 제 손으로 채운 적이 한 번도 없네요. 증류수도 떨어지기 전에 알아서 받아 오고 소분하는 통도 늘 채워져 있습니다. 그 와중에 자잘한 정리나 청소까지 하구요 (그 녀석이 취미가 청소랍니다)
이거 채우고 저거 치워라 말하지 않아도 알아서 척척이에요... 오죽하면 랩원들끼리 모여서 막내가 너무 일을 많이 하는 것이 아닌지... 혹시 선배들이 알게모르게 부담을 주고 있는 건지에 대해 토론(??)까지 한 적 있어요.
제가 교수님은 아니지만, 잡일하느라 연구에 소홀해지는 게 아닌지 걱정했습니다. 아직 인턴생인데도 본인 데이터로 랩미팅 참여합니다. 변변찮은 데이터가 없어도 요즘 어떤 실험 배우고 있고, test는 어떤 식으로 진행했다는 등의 ppt도 만들어 presentation 참여해도 되는지 묻는 야무진 녀석!
랩원들끼리 매일 식사도 같이 하고, 커피도 마시는데 나름 이 연구동에서는 돈독한 랩으로 소문이 났더라고요.
옆방 동료에게 듣고 후배자랑(?)차 ㅎㅎ 적어 봅니다. 졸린 오후 따뜻한 커피 한 잔 사줘야겠어요.
포닥킴 선생님들 모두 연구 파이팅하십쇼!
-
373 48 129240 -
42 13 14319
개구리는 올챙이 시절 모릅니다. 김GPT 13 1 2049-
0 2 985 -
0 3 840
박사를 할지 취업을 할지 김GPT 3 10 3661-
0 2 794
대학원은 원래 이런건가요? 김GPT 23 27 5618
박사과정 모두 졸업하는 랩 김GPT 1 1 3279
우리 지도교수님.. 명예의전당 155 32 52401
소주가 지껄이는 김박사넷에 대한 감상 명예의전당 89 10 7674
대학원 옮기길 정말 잘 한 것 같습니다. 명예의전당 126 5 46720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근데 대학원생 인건비는 편리주의적 행정의 폐해인 듯
28 - 석사 인건비 안줘도 되는거 아님?
63 - 미국처럼 석사과정은 인건비 주면 안된다고 봄
95 - 타대생이라고 타랩에 짬처리시킬거면 차라리
41 - 연구실 한줄평 필요한듯
71 - 인건비 아끼면, 뒷감당 가능함?
45 - 카이스트 바뇌과 붙었네요
8 - 편애 정도가 아니라 이거는 그알 취재 해야됨
31 - 9 to 6에서 9 to 8으로 바꾸자는 교수님.. 어떤 생각이 드는지 궁금합니다.
24 - 학부 입학난이도 vs 석박통합 난이도
6 - 이공계 박사 졸업 후 이제 어떡하지?? 선배님들 헬프입니다 ㅠㅠ
11 - 인건비를 아까워하는 분들이 많은데
8 - 우리나라도 학/석/박 다 다른 대학인 경우만 인정해줘야 함
6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논문 많이쓰면 안 좋나요?
34 - 동문은 학부만 말하는건가요?
45 - 교원 1인당 논문 피인용 지수 국내 1위·세계 4위 대학: DGIST
25 - springer가 뭔지 mdpi가 뭔지 하나도 모르는 석사인데 정상인가요ㅠ?
9 - 폐급 새끼랑 일 못하겠네
18 - [질문] 이런 경우 교수님을 공저자로 넣어야 의무는 없겠죠?
22 - 교수인데 학생들 너무 빡친다
23 - 학점 낮아도 갈 수 있는 건가요
6 - 컨택 시 랩장과의 면담
7 - 연구 내용에 관한 소유권 문의
7 - 카이스트 기술경영 vs 고려대 컴퓨터학과
7 - 기업이 잘나가야 우리나라가 잘 지낼 수 있나에 대하여
5 - 학점 4.3 자대 타대 고민입니다 조언 부탁드립니다
7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근데 대학원생 인건비는 편리주의적 행정의 폐해인 듯
28 - 석사 인건비 안줘도 되는거 아님?
63 - 미국처럼 석사과정은 인건비 주면 안된다고 봄
95 - 타대생이라고 타랩에 짬처리시킬거면 차라리
41 - 연구실 한줄평 필요한듯
71 - 인건비 아끼면, 뒷감당 가능함?
45 - 카이스트 바뇌과 붙었네요
8 - 편애 정도가 아니라 이거는 그알 취재 해야됨
31 - 9 to 6에서 9 to 8으로 바꾸자는 교수님.. 어떤 생각이 드는지 궁금합니다.
24 - 학부 입학난이도 vs 석박통합 난이도
6 - 이공계 박사 졸업 후 이제 어떡하지?? 선배님들 헬프입니다 ㅠㅠ
11 - 인건비를 아까워하는 분들이 많은데
8 - 우리나라도 학/석/박 다 다른 대학인 경우만 인정해줘야 함
6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김박사넷 글로벌 연구자 인사이트 - UCLA 교수 무료 세미나
116 - 김박사넷 | 2026 미국 대학원 SOP 실전 워크숍 – 합격 사례 분석 & 전문가 피드백
37 - h-1b 비자 10만불
9 - 논문 많이쓰면 안 좋나요?
34 - 동문은 학부만 말하는건가요?
45 - 교원 1인당 논문 피인용 지수 국내 1위·세계 4위 대학: DGIST
25 - springer가 뭔지 mdpi가 뭔지 하나도 모르는 석사인데 정상인가요ㅠ?
9 - 폐급 새끼랑 일 못하겠네
18 - [질문] 이런 경우 교수님을 공저자로 넣어야 의무는 없겠죠?
22 - 교수인데 학생들 너무 빡친다
23 - 연구 내용에 관한 소유권 문의
7 - 카이스트 기술경영 vs 고려대 컴퓨터학과
7 - 학점 4.3 자대 타대 고민입니다 조언 부탁드립니다
7
2024.0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