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대학원에서 딥러닝을 연구하고 싶은 학부생입니다. 아마 공대 대학원에 입학한다면 내년 후기에 입학할 것 같습니다.
최근에 여러 연구를 건드려보고 논문.. 형식만 갖춘 draft 정도만 써보고 여러 강의를 수강하면서 딥러닝의 수학적인 측면에 관심을 갖게 되었습니다. 그 draft도 내용이 좋지는 모르겠지만 아무튼 이론적인 측면이 있고요.
그래서 전기나 컴퓨터공학부 공대 대학원에서 딥러닝을 연구할 계획을 하고 있었습니다.
다만 공대 대학원에 다니고 계시는 선배님이 하시는 말씀에 연구 방향성을 정하는데 살짝 망설여집니다.
선배님이 '딥러닝에서 수학을 하는 것은 수리과학부 친구들이 하는 거다, 공대 쪽에선 할 필요가 없다'라고 하시더라고요.
그냥 제가 수학을 못한다고 생각하셔서 그런 말씀을 하셨나 싶긴 한데...
듣고 보니 선배 분 자신도 항상 '나는 이론을 못 믿겠다. 실험해보면 다르다'라고 하시면서 일부러 이론을 배제하시더라고요.
자연대 친구들도 수학을 하고 싶으면 공대 말고 자연대를 가라고 하고 있고요.
딥러닝하면서 수학 및 이론을 하려면 공대 말고 자연대 쪽이 더 좋은 선택일까요?
정말 바보같은 질문인 건 알지만 그래도 질문해봅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8개
2023.12.15
컴공쪽에서도 수학기반 딥러닝 연구하시는 분도 있긴합니다. 자연대(수리과학)쪽 랩에서 딥러닝하는 곳도 있어요. 랩에서 하는 연구들 보시고 맞는 쪽으로 가시면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대댓글 1개
2023.12.15
역시 진리의 랩바랩인가요... 랩에서 무엇을 하는지가 더 중요하단 말씀이시군요!
2023.12.15
수학이 중요한 연구실은 극히 소수이기는 한듯
대댓글 2개
2023.12.15
요즘 연구 동향을 보고 같은 학교 공대 선배 분들의 탑티어 논문들을 봐도 '어떻게' 잘하느냐에 치중하는 경우가 '왜' 잘 되느냐에 관심 있는 경우보다 훨씬 많더라고요...
2023.12.16
억지스러운 가정으로 딥러닝이 왜 잘 되는지 해석하는게 넌센스이고 의미없다고 생각하는 사람 많아요.
2023.12.16
자연대입장에서 랩실구경도 해봤는데 상위권대학에서 소수의랩실 제외하고는 대부분 실험위주인거같더라구오
2023.12.16
완전 개쌉소리네여 이론랩으로 가시면 되고요, 이론도 중요합니다.
2023.12.16
하시고싶은게 얼마나 이론적인지에 따라 다릅니다 이론적이라고 말은 해도 딱히 안그런경우 많이봣어서
당당한 하인리히 헤르츠
IF : 1
2023.12.16
수학을 하는데 딥러닝을 이용한다와 딥러닝을 하는데 수학을 이용한다는 정말 많이 다른데.. 일단 그게 구분이 되는지부터 궁금하네요. 그냥 공대 진학 추천
대댓글 1개
2023.12.16
objective가 수학 이론 인지 딥러닝 인지
objective가 수학이론인데 딥러닝을 사용하는 분야도 있고 딥러닝인데 수학을 적당히 하는 분야도 있고 사실 깊이 파다보면 자연과학이 근본이긴 함.
2023.12.16
수학과에서 딥러닝 이론 제대로 하는 사람 거의 없음. 사실 제대로 한다는게 뭔지도 불분명하긴 한데... 결국 수치해석, 최적화, 편미방 등등 다 다른 분야 하던 사람들이 자기 분야 베이스로 장사해보려고 건드리는 거라. 실적만 놓고 보면 AI 쪽 탑컨퍼런스 연 한두개 이상 꾸준히 내는 수학자는 한 손가락으로 꼽을듯. 갈 수 있으면 그냥 CS 가세요.
대댓글 6개
2023.12.16
? 딥러닝 자체가 통계학 확률론 최적화에서 시작된거아님? cs는 그냥 그걸 토대로 코딩돌리는거고
2023.12.16
베이컨/ CS는 "코딩해서 돌리는" 학과가 아니라 "계산"이라는 행위와 방법론을 연구하는 학과입니다. 당연히 계산이론적인 관점에서 이론 연구도 CS에서 주도적으로 합니다.
2023.12.16
베이컨// 말뽄새만큼이나 무식하네. ‘신경망을 모방하려면 레이어 늘려서 계산 돌리자’는 순수 공학적 관점에서 시작돼서 이게 왜 잘되지? 어어어? 이렇게 된거지, 수학 이론으로 이렇게 하면 잘 될 것을 기대하고 만들어진 테크놀로지가 아님. 수학 이론으로 수렴성 설명하고 이런건 그 뒤에 왜 잘되는지 설명하려고 하는거.
2023.12.16
딥러닝 연구하는 수학과 교수님들 전부 장사치로 만드는 거 보소ㅋㅋ 그분들이 박사받으실 때 딥러닝이란 단어도 존재 안 했을 수도 있는데
2023.12.16
김학사넷
2023.12.17
애초에 타과에서 하는거 장사치취급하는놈이 할말은 아닌거같고 애초에 신경망을 표현하는 모형이 나온게 먼저지 레이어늘려서 계산하는게 먼저임? ㅋㅋ 이론하는분들 다들 리서치직무로도 잘만 가시더만
2023.12.16
한양대 컴공과 노영균 교수님 찾아보시길요~^^ 수학 물리학 기반으로 이론분야에서는 정말 추천드려요
2023.12.16
K AI ㅇㅊㅎ S STAT ㄱㅇㄷ K STAT ㅇㅅㅂ MATH ㅇㅅㅅ 이쪽으로 알아보시면 좋습니다
2023.12.16
수학과에선 허접한 딥러닝 같은거 안합니다.
대댓글 3개
2023.12.16
수학과에서 딥러닝은 허접 분야인가요?
2023.12.17
순수수학 하는 사람들은 통계는 수학으로 안쳐주는 것이 일반적이죠.
2023.12.18
그래서 런합니다 ㅋㅋㅋㅋ 학부 수교과인데 도저히 못버티겠음 ㅋㅋㅋ
2023.12.16
저희 연구실 공대인데 수학과 출신이 절반이고 딥러닝 이론연구 시도하고 있습니다. 실적이 원하는대로 안 나오는 건 맞습니다만, 원래 대학원이 낭만을 빼면 남는 게 얼마 없지 않을까요?
2023.12.17
고려대 통계학과에도 한 분 계세요.
2023.12.17
서울대 수리과학부 카이스트 수리과학과 연세대 응용통계학과 고려대 통계학과 각각 유명한분 한명씩 있음
대댓글 2개
2023.12.18
고대 통계는 학부 정외과에 복전이 컴공이신 거 아님? 대단하시던데
2023.12.18
@톨스토이 학부 정외과에 수학 이중이고 박사가 자대 수학임. 그런데 AI 연구는 박사 이후로 시작하신 듯.
2023.12.15
대댓글 1개
2023.12.15
2023.12.15
대댓글 2개
2023.12.15
2023.12.16
2023.12.16
2023.12.16
2023.12.16
2023.12.16
대댓글 1개
2023.12.16
2023.12.16
대댓글 6개
2023.12.16
2023.12.16
2023.12.16
2023.12.16
2023.12.16
2023.12.17
2023.12.16
2023.12.16
2023.12.16
대댓글 3개
2023.12.16
2023.12.17
2023.12.18
2023.12.16
2023.12.17
2023.12.17
대댓글 2개
2023.12.18
2023.1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