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DFT랑 MD가 실제 실험 결과를 예측하는 성능이 어느정도 인가요?

소심한 비트겐슈타인

IF : 3

2023.10.22

9

1787

제가 학부생 꼬꼬마 시절에 느끼기에는
시뮬레이션이란게 실제 자연에서 무엇을 고려하고 무엇을 무시할지를 결정해야하는데
뭔가 실험 결과에 맞춰서 무엇을 고려할지를 자꾸 바꾸는 느낌이었는데
꼬꼬마라 그렇게 느꼈을것 같기도 하고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9개

2023.10.22

DFT를 활용한 docking을 통해 신약후보물질을 발굴해도

실제 실험에서 제대로 결합하는 분자가 10%도 안된다고 들었음.

10%도 나름 크긴 하지만….

대댓글 1개

2023.10.22

10%는 엄청 큰 것임
그 정도만 맞춰도 실제 실험 시간이 획기적ㅇㄷ로 단축될 수 있음
DFT가 잘 맞느냐 안 맞느냐는 어떤 물질군에서 어떤 물성을 보는지에 따라 다름
즉 분야 바이 분야

2023.10.22

실험에 맞추는 것은 실험연구자들이랑 공동연구할 때 논문써야 하니까 그런거고 제대로 하는 DFT 연구는 그러지 않지
하지만, 전공자들이 아니면 어떤게 제대로된 계산 연구인지 알기 힘들긴 함
속편한 카를 가우스*

2023.10.22

예측보다는 실험결과에 맞추기 위해 돌리는 DFT 는 결과가 만족스러워요. 현재 계산랩과 코웍중인데 실험결과와 일치시켜가는 과정이 재밌네요.

실험결과에 맞추기위해 격자에 조금씩 스트레인 주면서 돌리고 돌리다보면 새로운게 또 발견되기도 하구요.

대댓글 1개

2023.10.22

그런걸 manipulation이라고 하는거 아님? 분광학쪽에 활용중인 입장에서는 솔직히 거부감이 듬..

2023.10.22

DFT, MD 같은 small scale 시뮬레이션에서는 정확한 예측이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말씀하신 것처럼 짜맞춘다는 느낌이 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시뮬레이션이라는게 실제 현실을 100% 반영해야만 의미있는 것은 아닙니다. 제한된 조건에서 특정 변인에 의존하는 현상/물성에 대한 관찰만으로도 물리적인 통찰을 얻을 수 있는 경우가 많죠. X라는 복잡한 현상을 연구하기 위해 A 조건만이 유일한 변수가 된다고 가정하고 계산해보았더니 X와 완전히 반대되는 경향성이 나오더라: 그런고로 A는 X 현상과 관련없을 가능성이 높다. 이런식으로 논리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도구로써 시뮬레이션을 사용할 수가 있지요.

모사하고자 하는 시스템의 규모가 커져서 양자적, 분자적 계산이 더이상 적용 가능하지 않을 경우에 이러한 접근이 더욱 자주 사용되는 것 같습니다.

2023.10.23

실험해서 나온거 뒷받침 할때 쓰는데...
대부분은 압맛에맞게 나오도록 돌려서 쓰는거죠
눈가리고 아웅

2023.10.23

아직까지는 보조데이터로서 dft는 조작이 아주 쉽지 않나 싶습니다. 양심적으로 자기 데이터와 DFT 예측을 correlation 안시키는 연구자가 얼마나 있을까 사실 의문도 있구요. 그래서 저는 안씁니다.

대댓글 1개

2023.10.24

DFT가 블랙박스가 아니고 method 따라하면 결과가 100퍼센트 재현되는데 도대체 무슨 조작을 한다는건가요? 계산 세팅을 허술하게 하거나 값을 이리저리 맞춘다면 그 만큼 계산 결과의 논리가 약해지는거고 그건 논문을 읽으면 파악할 수 있는 점이죠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