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삼성전자 AI 해외박사 후 취업하면 연봉 얼마인지 아시는 분 계신가요?

IF : 1

2023.10.01

12

8700

안녕하세요, 이제 곧 해외에서 이름들으면 누구나 아는 대학에서 AI쪽으로 박사를 받는 학생입니다.

실적은 프레시 박사 치고 부족함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현재 해외 기업들이랑 국내기업을 동시에 고려하고 있는데, 해외 기업에 대한 datapoints 는 있는데 국내는 잘 몰라서 여쭈어봅니다.

혹시 삼성전자 AI 해외박사 후 취업하면 (대략적으로) 연봉 얼마인지 아시는 분 계신가요?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2개

쇠약한 마키아벨리

IF : 1

2023.10.02

AI 전공이든 해외박사든 네고 없이 프레시박사 입사면 연봉 테이블은 인터넷에 떠도는 박사 테이블과 다른게 전혀 없을 겁니다. (순수 계약연봉 0.6~0.7에 부서따라 성과급으로 +50% 정도)
따라서 본인의 실적이 이례적이고 회사가 정말 필요로 하는 기술 역량이라고 생각된다면 본인이 협상해보는게 중요합니다. 그런데 경험상 특출난 인더스트리 경력이 없다면, 이 역시도 차이가 드라마틱하지는 않을 겁니다. 머나먼 예전처럼 특정 대학 박사라고 갑자기 부장급 대우로 뽑아주거나 하는 시대도 아니니..

오히려 능력에 따른 파격적 대우는 스타트업 등에서 해줄 수 있지 않나 싶네요.

2023.10.02

저도 졸업할 때 쯤 인사팀 직원하고 얘기 나눠본 적이 있었는데
애초에 미국에서 자리 못 잡고 갈 곳 없는 박사생 혹은
미국 직장에서 레이오프 당한 사람들 주워가는게 거의 목적인 듯
싶더라고요. 그런 접근법에서 파격적인 대우가 나가는 경우가
드물거에요. 물론 실적이 엄청난 경우에는 가능할 수도 있겠지만
그런 오퍼는 한국 삼성 내의 연봉테이블로 담아낼수가 없기 때문에
계약직으로 고용계약을 맺어서 임원들처럼 때 되면 다시 심사하고
재계약하는 식이라고 들었어요.
그런데 이런 식으로 진행하는 것도 빅테크 경력 5년 이상 혹은
대학교수들한테 주로 딜하는 듯 보이더군요.
결론적으로 프박으로 미국 빅테크 오퍼에 준하는 대우를 받기는
쉽지는 않을 것 같더라구요.

2023.10.02

미국에 자리잡는게 3배정도 좋을듯

2023.10.02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귀국하는 형들 삼성 많이 가시는데
그 중에 정말 연봉 등 다른 대우 받는 형 한명 있었음
근데 그 형은 이미 졸업년 되기도 전에 캠퍼스 리쿠르팅 올때마다
삼성 연구소장/부소장급 아저씨들이 개인면담 따로 불러서 밥사주고 뭐하고 챙기던 경우엿음.

아마 그정도 급이시면 이미 졸업 전년도부터 연락이 갓을겁니다.
아닌 경우는 윗분들 말처럼 그냥 프박 연봉 테이블 보시면 되고요.

2023.10.02

삼성에 직접 문의해보심이 어떤지 ㅋㅋ

2023.10.02

아마 들어올때 처우는 별다를게 없이 과장 1년차고, 사이닝 보너스랑 고과보장을 잘 받고 들어올거에요. 가 고과 3개 정도면 엄청 대우받는거고, 2개 정도만 해도 충분히 대우받는겁니다. 참고로 설포카는 나 고과 1개입니다. 근데 들어와보면 알겠지만 그것도 엄청 큰겁니다 과장급에선 고과경쟁이 진짜 박터지거든요.
삼성은 큰회사라서 시스템적으로 돌아가지 케이스바이케이스로 챙겨주는경우거 잘 없어요.

2023.10.02

미국 아무곳이나 교수로 가면 여러 스타트업 주요 주주되기 쉽고 주식 환원시 평생 거액 버는데 굳이 국내 대기업 과장, 부장이나 하려거나 연봉 묻는 이유가 뭔지부터 궁금하네요.

2023.10.02

삼성 들어갈 이유가 있나요?

대댓글 1개

2023.10.02

공감

2023.10.02

해외 박사후 미국 직장 다니다가 입사한 현직 삼성 직원입니다. 프레시로 삼성 들어가는 건 피해주세요. 미국 현지 기업을 다니다가 삼성에 오시거나 아니면 학계로 가시는 것을 권해드리고 싶습니다. 프레시로 오시면 아주 특별한 대우를 기대하기 힘듭니다.

IF : 1

2023.10.03

연봉도 연봉이지만 경쟁 치열하고 기회는 적은 한국땅은 대체 왜 밟으시려는건지....
당장 연봉이 문제가 아니라 엔지니어가 가질수 있는 기회가 차원이 다른데요

2023.10.03

계약연봉 7천 중반, 별도로 박사수당 매월 50만원, 그외 나머지는 ps, pi, 그외 몇가지 복지입니다. 외국에서 오시면 사이닝 보너스와 초기 정착 주거비 지원 정도가 추가되겠네요. 이걸 다합쳐서 영끌하고 ps 50% 최대로 터져도 미국 빅테크의 절반이 안될 겁니다. 한국에 반드시 와야만 하는 특별한 이유가 있는 게 아니라면, 미국의 세금 월세 감안하더라도 미국에 계시는 게 나을 겁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