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삼성전자 학사졸 2년차 연봉8000가능한가요?

2019.11.25

21

39924

우연히 본건데,

학사졸 연구직연봉 8000이 가능한가요..?


박사는 그럼 얼마받는지 테이블이 따로 있을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1개

2019.11.25

뽀너스 최대로 받으면 그정도 됩니다 박사는 1억가까이 갑니다

2019.11.25

근데 학사는 군대까지하면 26부터 시작
박사는 빨리하고 전문연할시 30부터 시작.

4년차이인데 연봉 2000차이면 조금 슬프네요.. 그만큼 박사만의 전문성이 큰 무기겠죠? ㅠㅠ 60살까지 다들 창창하게 다니기를

2019.11.25

저는 몇 년전에 퇴사했지만, 학사 신입으로는 받을 수 있는 모든 보너스및 성과급을 맥시멈으로 계산해도 모자랍니다. 세전 기준으로도 모자라니 세후라면 말할 것도 없지요.

그리고 연봉 2천 작은거 아닙니다. 학사 기준으로 고과 받아서 그만큼 오르려면 4년으로는 택도 없습니다.

2019.11.25

ㄴ오오 그렇군요.. 요즘 대기업 55는 거뜬히 다닌다고 다들 그러시던데 맞나요...? 자잘한게 궁금하네요 ㅠ.ㅠ

2019.11.25

ㄴ퇴사는 어떤 이유로 하셨나요..?

2019.11.25

ㄴ퇴사는 어떤 이유로 하셨나요..?
Svante Arrhenius*

2019.11.26

MIT나와서 S급 스카웃된뒤에 PS 80프로 받으면 가능

2019.11.26

ㄴMIT면 학사졸을 안할듯 ㅋㅋㄱㄲ 해도 미국기업..

2019.11.26

삼성에서 60까지 어케다녀요 마흔 중반되면 퇴직압박 들어오는데, 그냥 십몇년 바짝땡기고 치킨집여는거에요.

2019.11.26

ㄴ그럼 SPK에서 박사학위 따고 삼성가신분들은 다 치킨집열려고 가나요.. 진짜 진로가 고민되네요 ㅋㅋ

2019.11.26

50대까지 다니는 분들이 점점 느는 추세라고는 들었네요
Svante Arrhenius*

2019.11.26

삼성 나온다고 백수되는거 아니고 보통 몇번 더 이직하면서 버팀
그리고 초반에 맞벌이해서 서울에 집사면 됨

2019.11.26

어쩔수없이 치킨집여는거지 뭔 치킨집을 열려고 삼성을 가,, 말귀를잘못알아들으시네

2019.11.26

석사 신입으로 입사 했었고, 박사과정 진학 목적으로 퇴사 했습니다.
그 외에 자잘하게 궁금하신건 어떤 건가요 ? 아는대로 말씀 드릴게요.

2019.11.26

ㄴ윗윗분 이해는 님이 못하시는거 같은데 ㅋㄲㅋㄱ 치킨집열게될거 다 알면서도 SPK박사따는거냐구 묻는거잖아요^^!!!!

2019.11.26

Romain님 이공계 박사 대부분이 산업계로 가는데, 정년 연봉등을 고려했을 때 가치가 있는지, 정년까지도 다들 일하는지 궁금합니다..

2019.11.26

Romain님 이공계 박사 대부분이 산업계로 가는데, 정년 연봉등을 고려했을 때 가치가 있는지, 정년까지도 다들 일하는지 궁금합니다..

2019.11.26

Romain님 이공계 박사 대부분이 산업계로 가는데, 정년 연봉등을 고려했을 때 가치가 있는지, 정년까지도 다들 일하는지 궁금합니다..

2019.11.26

일단 저는 삼성 그룹 공채 시절 석사로 입사 했기 때문에 박사들의 삶에 대해서는 간접적으로 밖에 모릅니다. 연구소도 아니었고 사업부 개발실 이었으니까요. 사업부에도 간간히 박사들이 있는데 정말 똑똑한 사람은 드물었던것 같습니다. 정말 잘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비율 자체는 멍청한 사람들이 더 많았습니다. '이런 사람들도 박사라고 나대는데 내가 뭐가 아쉬워서 여기서 이러고 살아야 하나' 같은 생각을 많이 했기 때문에 학위를 받겠다고 퇴사 했습니다. 나중에 알게된 거지만 연구소에 있으면서 실적 못 내는 물박사들은 자꾸 미끄러져서 내려 오더라구요. 연구소 - 개발실 - 사업부 기술팀 이런식으로요. 이후에 잡포스팅 같은 프로그램을 통해서 연구소로 갔던 사람들 얘기를 들어보자면 사업부와 연구소는 삶의질 자체가 다른거 같습니다. 하지만 언제까지 연구소에 있는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연구소는 모르겠지만 사업부에서 정년까지 버티던 수석 한분을 봤는데, 이분 제외하면 정년까지 다니는 사람은 없었던것 같습니다. 한가지 확실한건 후배가 상사가 되는 상황에서도 멘탈이 버틸수 있으면 정년까지 다닐 수 있을거 같습니다. 직업 선택은 전적으로 본인의 가치관이 좌우하는거 같습니다. 정년은 지금 까지는 사실상 어려웠지만 앞으로는 어떻게 될지 모르고, 연봉도 정출연 보다는 훨씬 많이 받으실 수 있습니다. 다만 시키는 일을 해야겠지요. 저는 운이 좋아서 정출연에 자리를 잡았지만 아직 신참이라 그런지 시키는일 하는건 똑같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실지 모르겠네요.

2019.11.26

후배가 상사로 있으면 일이 더 편해서 좋을거 같아요 ㅋㅋ
Svante Arrhenius*

2019.11.26

후배가 상사로 있는데 일이 편할리가 있나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