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학부 3학년 재학중인 신소재공학과 학생입니다. 대학에 입학 후 다양한 수업을 들으면서 수소에너지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물론 배터리 반도체 분야가 가장 전망이 좋다는 것을 알고 있지만 제가 좋아하는 분야를 하는 것이 더 좋을 것 같다고 생각하였습니다. 수소라는 분야에 관심이 있기는 하지만 세부적으로 어떤 것을 하는것이 좋은지 잘 모르겠습니다 수소 생산(수전해와 같은 연구), 수소 저장(수소 취성과 관련된 연구), 수소 에너지화(연료전지 관련된 연구) 크게 이 3개로 나눌 수 있을 것 같은데 어떤 분야가 전망이 그나마 좋을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6개
2023.09.27
그냥 하고 싶으신거 하면 됩니다
대댓글 1개
2023.09.27
셋 중 어떤게 더 하고 싶다 이런게 없어서 고민입니다 ㅠㅠ
2023.09.27
수소생산과 수소 에너지화 (수전해, 연료전지)는 같이 하는 연구실 있으니 그쪽이냐 수소 저장이냐만 고민해보시면 됩니다.
진지한 갈릴레오 갈릴레이*
2023.09.27
길게본다면 수전해
수전해는 당장 지구상에 필요한 연구는 아님. 어렵기도하고. 현재는 물을 분해해서 나온 수소에너지보다 분해 하는데 드는 에너지가 더 많음. 그래서 에너지를 적게 소비하려고 촉매가 필요하고.
왜 길게봐야 하냐면, 인간이 행성간 이동이 가능 하게 될 때 필요함. 행성에 물이 있다면 그걸 분해해서 전기를 만들 수 있음
대댓글 1개
2023.09.28
행성간 이동보다 좀더 근시일내에 수전해가 필요한 이유는 청정에너지때문이죠. CO2 발생없는 그린수소생산은 수전해가 가장 접근이 쉬우니까요. 거기에 드는 에너지는 태양광으로 충당할수 있어 에너지원이 무한하고 소스인 물또한 지구에서는 넘쳐납니다. 이론상으로는 모든 문제를 해결할 완벽한 대안이나, 대규모생산(스케일 업), 저장 및 운송의 어려움이 아직은 해결되지 않아 연구가 많이 필요한것이구요. 당장 산업에서 좀더 필요로 하는 분야는 저장관련 기술이 더 가깝지만, 수전해는 연구쪽으로는 아직 해볼게 좀더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랩실을 고민하신다면 컨택 된곳 중에서 아웃풋 좋은 랩실로 가시면 될것 같습니다.
2023.09.28
하고싶으면 다 할수 있는 상화은 아닐것 같은데. 하다보면 이것 저것 다 해보게 됩니다. 지금 바로 제대로 할수 있는 조건이 되는 것 하면 됩니다.
2023.09.27
대댓글 1개
2023.09.27
2023.09.27
2023.09.27
대댓글 1개
2023.09.28
2023.09.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