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정보] 학교: 지방사립대 전공: 물리학 학점: 3.7(전공 4.1)/4.5 (현재 학부 4학년) 외국어: 영어 - 오픽 (IH) & 토익(895점), 독일어 - Goethe-Zertifikat(B2) Technical skills: Solidworks (경량화 및 Housing 설계 참여), Matlab & Python(Data analysis), 전공 관련 설계 소프트웨어 2ea
[경력] 전공관련 회사 인턴 - 1년 3개월/총 3곳 정출연 인턴 연구원 - 1년 4개월 (총 2개 과제 참여 - 마지막 년차 때) 해외 학회 (SCIE급) 전공 관련 포스터 발표 특허 2건 학술동아리 회장
UST에 들어가고 싶어서 나름대로 열심히 준비했는데, 학점이 많이 신경이 쓰이고 교내 수상 및 교외 수상이 하나도 없다는 점이 맘에 걸리고 있습니다.
김박사넷 선배님들께서 평가해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3개
2023.08.31
yk 가시지요
대댓글 1개
2023.08.31
UST에 더 관심이 가는것 같습니다..ㅎ 좋은 말씀주셔서 감사합니다!
2023.08.31
Ust는 지사랍이고 뭐고 그냥 다 받아주던데
2023.08.3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가능
2023.08.31
ㅋㅋㅋ 자랑하고 싶으세요?? 문 부수고 들어갑니다 ㅎㅎ
2023.09.01
ust 그냥 아무나 다 받던데
2023.09.01
원래 그냥 신청하면 다 받아줘요~
2023.09.01
거기 갈건데 굳이 그런 스펙을..
2023.09.01
ust말씀하시는것 보니, 연구소에 있는 박사한테 지도받고 싶으신거죠? 본인이 금전적인 문제가 없을경우, 웬만하면 학연과정으로 알아보세요. ust는 금전적 혜택을 제외한 장점이 하나도 없습니다.
대댓글 2개
2023.09.01
진중한 조언 주셔서 감사합니다. 원하는 연구가 국내기관에서만 진행하고 전공관련 시스템 엔지니어링을 최종 목표하고 있기 때문에 UST를 준비하게 됐습니다.
성격상 일 많이 하는거 좋아해서 더 끌리는 부분도 있네요...^^
2023.09.01
학연과정도 해당 국가기관 지도박사 밑에서 일하는건 ust와 동일합니다. 다만, 수업들만 학교에서 듣는것이며, 졸업장은 학교 이름으로 나오게 될 뿐입니다. 학연과정과 ust모두 동일하게 정출연 박사 밑에서 학위를 받는것이지만, 졸업장이 ust로 나오냐, 해당학교로 나오냐의 차이, 그리고 수업을 ust박사들에게 듣느냐(솔직히 박사들은 수업 준비 잘 안합니다), 학교에서 듣느냐의 차이일 뿐입니다. 물론 학연과정으로 하면 등록금은 학교등록금으로 내다보니 금전적으로는 손해가 있습니다. 졸업후에 ust 졸업장보다는 학교간판으로 나오는게 무조건 좋습니다.
-예전 정출연에서 선임으로 있을때, ust등록 교수로 포함됐고 수업도 한학기 진행했던 사람
2023.09.01
김박사넷 선배님들께 감사드립니다. 합격 가능성을 높게 봐주셔서 한시름 덜고 준비 할 수 있을것 같습니다..^^
2023.08.31
대댓글 1개
2023.08.31
2023.08.31
2023.08.31
2023.08.31
2023.09.01
2023.09.01
2023.09.01
2023.09.01
대댓글 2개
2023.09.01
2023.09.01
2023.09.01
대댓글 1개
2024.0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