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교수분들을 보면 최고와 최악을 모아놓은 느낌임. 최고는 우리나라 최고들, 대가급인 분들이고 연구에 대한 열정도 대단하시고
반면 최악의 교수님들은 자신이 최고의 대학에 교수라는 인식인지는 몰라도 연구열정 0, 꼰대지수 최상, 김박사넷 평점 최악...
이건 김박사넷 평점 분포를 봐도 서울대 교수분들과 카이스트, 포스텍 교수분들을 비교했을 때 확연히 알 수 있음. 서울대에는 유독 0에 수렴하는 교수분들이 많은 것 같음.
3. 자대생에 의한 타대생 차별 만연
이건 서울대가 유독 심한듯. 내 친구 중 서울대간 애들은 무조건 카포가라고 함. 서울대 카르텔은 절대 뿌술 수 없어서 카포처럼 타대생이 개천에서 용나고 연구실 에이스가 되는 현상은 거의 없다더라
여튼 더 있는 것 같은데 skp를 고려해도 이 skp중 s는 괜찮은 연구실만 해당한다는거. 근데 괜찮은 범주의 연구실들은 들어가기 매우 힘들다는 것만 알아둬. 타대생 입장에서 이런 대학 평가하는건 열받을 수 있겠지만 이런 생각없이 대학원갔다가 당황할 수 있으니 알아둬.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1개
2020.06.19
포항공대도 만만찮음. 거의 경상도 대학 졸업자들만 가던데?
2020.06.19
ㄴ 그건 그냥 수도권학생이 포항 지리적위치땜에그런거아니냐
2020.06.19
관악구 사는 입장에서는 s무시 못하겠더라
Alessandro Manzoni*
2020.06.19
S 신생랩에서 인턴해봤는데 적어도 그 랩에 대해서는 맞는말도 있고 틀린말도 있음. 애초에 랩바랩이라는건 다 아는 얘기니까,
일단 절반은 자대, 절반은 타대생인 랩이었는데 교수님께서 아직 교수가 되신지 얼마 되지않아서 대가라고 하기에는 좀 그렇지만 적어도 열정만큼은 있는 분이셨음. 대학원생들과 소통 잘 되고 리딩그룹과 교류하려 하시고 정말 열심히 하는게 보였음. 연구실 사람들끼리 교수님 이야기할 때도 그 점에 대해서는 모두가 동의했지. 다만 신생은 신생인지라 동일기간 대비 실적은 저조한 편이지만 그 초심을 잃지만 않는다면 좋은 성과가 나오는건 시간문제라고 생각했음.(물론 인턴으로 짧게 본 게 전부라 과대평가한 것일 수도 있음) 더욱이 타대생이 절반이상이다보니 차별이 있을 수가 없었고 자대생들도 그러한 모습을 보이지는 않았음.
그러니까 타대생 입장에서는 특히 조심해야할 학교가 S인것같음. 차별이 있다는 이야기가 분명 있었다는점을 고려하면 랩바랩이지만 어느 연구실을 컨택하느냐에 따라 짧으면 향후 2년, 길면 n년이 달라짐. 더욱이 대학원생활은 교수님뿐만 아니라 연구실 멤버들과의 디스커션이 매우 중요한데 K의 경우엔 입학처가 매우 강력하여 서류에서 갈리고 남은 인원만 올라가기에 K의 비인기랩실의 구성원도 자기 학교에서 난다긴다 하던 사람들이지만 S의 경우엔 김박사넷 최악의 평가를 보고도 단순 학벌을 위해 진학하는 사람들이 있을 수 있음.사실 이 부분은 교수가 제대로 가리지않은 문제라고 생각하지만 뭐 어쩌겠음. KP도 마찬가지지만 진학 이전 꼭 정보를 최대한 모아보기를 바람. 단순히 학벌만을 원한다면야 할 말없지만 본인의 성장이 최우선순위라면 꼭!
2020.06.19
2번은 ㄹㅇ 극공감
괴수비율이 왤캐높은지 모르겠음
2020.06.19
대학원 진학 전에 교수님들부터 이런 말씀하심 ㅋㅋ 자기가 서울대 출신임에도 똑같은 말씀하시던데
Alessandro Manzoni*
2020.06.19
근데 왜 S에 괴수들이 상대적으로 많은지는 모르겠음. S에서 그런 사람들만 골라뽑는건지, 아니면 그 자리가 그 사람을 굇수로 만드는건지
2020.06.19
s 학석박으로서 위 글은 하나도 틀린게 없다고 생각함. 공감누르고 갑니다
2020.06.19
k to s도 차별있나요?? 같은 급이라 생각하는디....
Caravaggio*
2020.06.19
S대 자대생도 실력은 없는데 남는게 껍데기 뿐인 애들일수록 타대생 차별 심함. 진짜 잘하는 사람은 천사가 따로 없음. 알아서 존경받게끔 행동함.
Baruch Spinoza*
2020.06.19
간접적으로 들은 예긴데 예전에는 미국에서 학위하고 미국 기업의 연구원으로 조금 근무하다가 국내 모대학으로 간다는 분이 동료에게 한말이 "자기는 이제 인생에서 이룰 것을 다 이루었다고 했다고 함." 대단하지 않음?
2020.06.19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서울 + 네임밸류(공대에서 카이스트도 매우 좋지만 종합적인 네임밸류는 서울대가 더 좋으니...)'
때문에 실적 욕심 크게 없고, 단순히 졸업 + 취업이 목표인 타대생들은 카이스트 비인기랩 vs 서울대 비인기랩의 경우 서울대로 더 많이 가지 않을까요? 이런경우라면 나라도 서울대로 갈 듯...
그리고 서울 떠나기 싫은 사람들은 애초에 서울대만 지원하는 경우를 많이 보기도 했고ㅋ
2020.06.19
학교가 교수/학생 입장에서 많이 달라서 그럼. SPK 석/박 비교하라고 하면 학생에게는 전공 맞는 곳 가라 랩바랩이다 이런 말을 하지만 교수에게는 1. 학기당 수업수 2. 테뉴어 조건 3. 자녀학군(자녀가 있다면) 4. 연봉 5. 코웍하는 교수진 위치 6. 프로젝트/기술 이전등에서 산학협력단이 가져가는 포션 또는 소득계정(기타 vs 인건비) 자유도 등이 중요함. 과마다 엄청 다르기 때문에 1, 2는 차치하더라도 3과 5는 서울대가 압도적임. 또한 서울대가 법인화 되면서 6에서 상당히 자유도가 많이 확보되어 교수에게도 더 매력적인 선택지가 되었음. 이러한 성향은 지방신생 대학인 유니스트에서도 많이 나타나는데 유니스트에 돈 많이 주고 데려온 루오니루오프 교수나 간판 교수들이 많아 최상위권 논문들이 나오는 반면에 젊은 교수들은 어느정도 실적 채우면 서울에 자리나면 바로 가버림 이게 자녀가 크면서 학군이 중요해져서도 그렇고 만약 미혼이라면 배우자를 찾기 위해서 올라가는 경우도 많음. 실제로 유니스트에서 중경외시 라인도 많이 가고, 서성한 가면 꽤 잘 한거임 물론 연고대 이상까지 가는 사람도 있긴 하지만 그건 소수고 단지 애가 크면서 학군이 중요해지고 우선순위가 달라져서 그럼 옛날에는 자기 연구실적만 낼수 있고 집값싸고 유니스트 정말 좋은 선택지인데 이제 돈도 모았고 여러가지 환경이 달라진 것. 물론 교수채용 기준에서의 차이 / 과 내에서의 교수간 상하관계 / 잡일여부 등 아주 많은 요인들이 있지만 교수가 생각하는 학교와 학생들이 생각하는 학교는 꽤 다름. 이때 S는 그러한 요인들에서 PK보다 압도적 우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대가 교수들이 모이는거임.
Otto Heinrich Warburg*
2020.06.19
타대생 입장에선 어딜 가건 타대생임
Otto Heinrich Warburg*
2020.06.19
그리고 교수입장에선 지거국이 카포보다 나은 점도 많은데 서울대는 덤으로 학교랭킹도 최상위에 위치도 서울이니 당연히 대가 교수들이 모이는거
2020.06.19
2020.06.19
2020.06.19
2020.06.19
2020.06.19
2020.06.19
2020.06.19
2020.06.19
2020.06.19
2020.06.19
2020.06.19
2020.06.19
2020.06.19
2020.06.19
2020.06.19
2020.06.19
2020.06.19
2020.06.19
2020.06.19
2020.06.19
2020.06.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