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선배중에 if 5.5점인데 5.4에서 5.5넘어가는순간 졸업한다고 환호성을 지리시더라구요. 석박9년차에 5.5점 넘기는게 많이 빡센가요? 23학번 신입생입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2개
오만한 찰스 다윈*
2023.05.09
혹시 선배가 저널인가요?
2023.05.09
IF: impact factor는 저널의 파급력을 판단하는 척도 중 하나 입니다. 보통 박사학위 과정생 기준에서 총합 IF 30 정도 썻다고 한다면, 여러 저널에 출판된 논문들의 IF의 합이 30이 되었다는 의미이며. 0.1 차이의 IF는 무의미하다고 보여지는데요 ㅋㅋ 제대로 들으신거 맞나요?
내 단독 1저자 논문 하나는 방금 검색결과 IF 47에 위치해 있는 저널에 있는데, 나에게 별 의미 없음
대댓글 6개
2023.05.09
Nature Material 인가보네요 그럼 본인께 의미 있는 저널은 무엇인가요
2023.05.09
IF에 집착하는 것에 대해 말한바임.
예를 들어 출판된 논문의 저널 옆에 JCR 2% 이런거 적어놓은
랩들이 간간히 보이는데 이런 식의 정량화의 무슨 실질적 의미가 있나 생각
2023.05.09
학교마다 다르겠지만 JCR % 별로 논문 개수 높게 쳐주는 곳 많습니다. 의미가 없는건 아니에요.
2023.05.09
결국 학교에서 요구하는 실적의 정량적 수치화에 유용하다는거지 실질적으로 과학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의문
2023.05.09
취지는 이해하나, 좋은 저널에 좋은 논문이 많은건 사실이죠. IF는 분야마다 다르니, JCR이라는 기준으로 대충 분야에서 어느정도 순위에잇는지 파악하는것도 도움이 될테고요. 물론, IF/JCR만으로 저널의 분야학계내 평판을 완벽하게 알수는 없지만, 충분히 참고할만한 사항이라 생각합니다. 그리고 실질적으로 과학계에 어떤영향을 주냐는 말은 너무 포괄적인데, 단순히 IF는 의미없어 라는 논리보다는 본인은 어떤 방향성을 지향하고 싶은지부터 말씀해주시는게 도움될듯 하네요. 저도 정량화지표에만 초점맞추는건 별로라고 생각하지만, 그럼에도 온갖 논문들이 쏟아나오는 시대에서, 최소한 좋은 저널들은 독자들에 어느정도 변별력은 제공해주기에 의미있다 생각하는데 말이에요.
2023.05.09
어디 낼 지 결정할 때야 그런 정량지표들을 볼 수 있겠지만 개인의 성취로서 거기에 너무 큰 의미를 두지 말라는 말씀 같습니다.
2023.05.09
if 뭔진아심? 뭘 알고 질문을 해야지ㅋ
대댓글 3개
2023.05.11
임팩트파워인걸 누가 몰라서 물음? 학과졸업요건에 if 5.5이상 있으니까 묻는거지
2023.05.11
임팩트파워ㅋㅋㅋㅋㅋㅋㅋㅋ뭔 파워요ㅋㅋㅋㅋㅋ
2023.05.13
Impact fower ㅋㅋㅋㅋㅋㅋㅋ
만만한 안톤 체호프*
2023.05.09
만점 받아봤네요
2023.05.14
43점이요
대댓글 1개
2023.05.14
몇편정도 쓰셨나요? 저희 주제가 탑급저널을 가더라도 10넘기는 논문수자체가 손꼽을정도로 적고 8점넘어가면 고생했다 수준이라서요. 보통 졸업자 평균점수대가 3-4점대네요.
2023.05.09
2023.05.09
대댓글 4개
2023.05.09
2023.05.09
2023.05.11
2023.05.11
2023.05.09
대댓글 1개
2023.05.11
2023.05.09
대댓글 6개
2023.05.09
2023.05.09
2023.05.09
2023.05.09
2023.05.09
2023.05.09
2023.05.09
대댓글 3개
2023.05.11
2023.05.11
2023.05.13
2023.05.09
2023.05.14
대댓글 1개
2023.0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