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조교수vs부교수 vs 정교수

2023.04.20

14

7471

조,부, 정 교수님 중 어느분이 가장 들어가기 좋은
환경이라 보시나요?(인성은 비슷하다 볼때)

단, 조건은 조교수 되자마자, 부교수 되자마자, 부교수 되자 마자입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4개

IF : 5

2023.04.20

딴건 모르겠고 정교수 되자마자가 제일 안좋은듯...
이때 연구 많이 놔요

2023.04.20

개인적으로 학교 등급에 따라, 본인이 원하는 직장에 따라, 본인의 성향에 따라 답이 갈릴내용이라 봅니다.
부교수/정교수 구분은 사실 의미가 크게 없으며, 태뉴어 전후 구분이 가장 크고 그 이후에는 어차피 설렁설렁 할사람은 적당히 하고, 계속 연구하려는 사람은 연구하고 그러죠.. 정교수라고 연구잘하는것도 아닙니다.
대담한 하인리히 헤르츠*

2023.04.20

이젠 랩을 보는것도 아니고 교수가 조교수냐 부교수냐 정교수인지를 따지네;;;;

대댓글 1개

2023.04.20

동감. 나이 많은 정교수가 되면 열정이 줄어서 실적이 안나올 수 있고 조교수 때는 셋업하느라 실적이 안나올 수 있다는 이야기인데, 바꿔 말하면 실적 나오고 있는 조교수나 정교수면 상관없는 것 아님? 누구나 실적 확인이 엄청 어려운 것도 아닌데 학생이 실적이 잘 나오는 교수 직급을 따지는 게 무슨 의미가 있음?

2023.04.20

부교수 초년차가 보통 실적 가장 많이 나올 때임
온화한 안톤 체호프*

2023.04.20

정교수빼고 ㄱㅊ

2023.04.20

같은교수가 조교수 부교수 정교수일 때 비교하는 것도 아니고
아이고 의미없다

2023.04.21

식당 새로 생긴 곳이 맛집일까요 오래 된 곳이 맛집일까요? 정답은 언제 생겼는지는 상관이 없고 사람들 평이 어떤지를 봐야 안다 라고 봅니다

2023.04.21

나이든 부교수가 가장 별로고 젊은 정교수가 가장 좋음
연구실적 보는게 맞음. 과기원이나 Bk같은 사업단 있는 학교나 spk같은 상위권 학교는 연구 놓는 경우는 없음
신임교수는 학교오고 2-3년은 돼야 드가는게 맞고

2023.04.21

의미없는 질문입다. 현재 수행중인 프로젝트와 최근 나온 논문 조사하시고 본인이 하게 될 연구에 대해서 초점을 맞추십시오.

2023.04.21

조교수: 의욕은 넘치나 지 앞가림도 힘들때
부교수: 살짝 여유가 생겨서 슬슬 하고 싶은 연구에 여유가 있고 적당히 애들도 가르치며 정교수를 꿈. 논문에 슬슬 지겨울때도 있음.
정교수: 골프치러 가야지 ><

출처: 경험
겁먹은 마리 퀴리*

2023.04.22

이무의미 없어요 캐바케

2023.04.22

전 제가 졸업하면서 은퇴하신 분 아래서 연구했는지 진짜 너무 좋았어요.

대댓글 1개

2023.04.22

*데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