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SKP에 괴수들 천지인데 잘 모르셨나 보네요.
그리고 한국에서 네이처 셀 자매지 내는게 당연한게 아님.
이런 글은 글쓴이가 다른곳 가서 네이처 셀 자매지 내고나야 의미가 있지 않겠음..? 님이 다른곳가도 그냥저냥 졸업할 확률이 높음.
본인은 바이오 박사인데 SKP든 어디든간에 바이오쪽에서 IF 10이상 내거나 1저자 5편이상 내고 졸업한 사람은 손에 꼽을 정도로 적음.
배가 가라앉기 전 탈출에 성공한 나..
20 - 더 문제는 비단 AI뿐만이 아님 ㅋㅋㅋㅋ
ai 학과 증원 정책 보면 ㅈㄴ 한심하네 ㅋㅋㅋㅋ
19 - 원래 민주당식 방식이 그렇지
ai 학과 증원 정책 보면 ㅈㄴ 한심하네 ㅋㅋㅋㅋ
26 - 서울대 카이스트 교수도 ai 연구자 상위 1000명에도 못드는데 뭔소리하노 . 괜히 올려치기 하지마라
ai 학과 증원 정책 보면 ㅈㄴ 한심하네 ㅋㅋㅋㅋ
18 - SK에 비해서 선호도가 좀 떨어지긴 하지만 P는 여전히 명실상부한 최고의 공대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사람이 적고 지방에 있다는 이유로 일부 타대 훌리들이 내려치기하기 딱 좋은 타겟인거죠.
무슨 별 의미도 없는 대학 랭킹 같은거 들이밀면서 뭐라 하는 사람들도 많은데,
연구 수준과 성과, 학생 지원 등은 의심할 여지 없이 최고 수준입니다.
P는 이제 별로인가요...?
24 - 학위 이후 학계에 그리 오래 있지는 않았지만, P가 별로인가 라는 걱정은 안하셔도 됩니다. 포항공대는 누구나 최고의 역량을 가진 학교로 인정하고, 그 이름값을 하는 학교입니다. 최근 도전적인 투자도 많이 하구요. 서울대 카이스트와 어깨를 나란히 해도 전혀 이상하지 않으니, 학교를 걱정하지 마시고 앞으로 오랜 기간 해야 할 박사과정의 주제와 목적의식에 집중하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김박사넷 내에서 여론이 안좋다는 것도 저는 잘 모르겠습니다. 김박사넷에서도 다들 서카포, SPK 등등 표현을 당연하게 쓰는 것 같습니다. 아무쪼록 훌륭한 학위 과정 보내실 수 있기를 바랍니다.
P는 이제 별로인가요...?
17 - 아니 대부분은 폐급 대학원생 남자가 아니라 그냥 폐급 인간에 대한 얘기잖아
대학원생 남자 폐급론
25 - 찐 폐급: 자기는 폐급 아닌줄 알고 남 까는애
대학원생 남자 폐급론
43 - SKP가 서로 대체제라는 의견과는 약간 다른 생각입니다. 세 대학은 엄연히 모토와 학풍에 큰 차이가 있습니다. P 목표는 SK가 아닙니다 칼텍이죠. 그리고 S, K 목표는 하버드와 MIT 입니다. 서로 모델도 다른 학교들을 같은 선상에서 비교하는게 이상한거 같습니다.
한국 최고 소수 정예 공대 = 포스텍
한국 최고 종합대 = 서울대
한국 최고 융합 공대(??) = 카이스트
카이스트는 공대지만 규모도 더 크고 포스텍 대비 문과 기반의 랩도 많은 등 MIT를 표방하고 있죠. 아무튼 위 기준을 부정하는 사람은 거의 없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SKP 라고 많이 묶어 부르는 것이구요.
P는 이제 별로인가요...?
14 - 이걸 이렇게 정리해서 적어놓고 까는애도 정상은 아니다 ㅋㅋㅋㅋ
대학원생 남자 폐급론
15 - ㅋㅋ애초어 어그로 뻘글에 답글 안달고 싶었지만, IMF 외에 위험도 없었다니 웃고 갑니다. 그 IMF 한번이 얼마나 심각했었는지 찾아보세요 ㅋㅋ
스윗한 척 하는 남자 교수님 특징
22 - 해외 명문대 갔으면 더 좋은 기회가 있었겠죠. 안주하지 마시길 .
P에서 공부할 수 있는게 너무 감사한 요즘입니다.
15 - 탄탄한 허리층이 받쳐줘야 되는건 당연하죠. 그런데 무시하는게 아니라, 혁신은 기업 톱니바퀴로서 묵묵히 일하는 직장인들이 하기 어렵습니다.
새로운 기술을 활용해 시장을 새로 만들고, 해외와 기술력으로 경쟁하는건 결국 한두명의 우수한 인재들 중심으로 돌아갑니다.
해외에서도 탐낼만한 박사급 인력의 경우, 한국인 인재가 1년에 몇명 배출 안됩니다. 인공지능분야 국내박사 졸업생이 최근에 많아졌지만, 그 중에서 우수한 국박은 몇 안되는데 잘한다고 소문난 사람은 거의 미국으로 갑니다. 결국 남는 사람이 없어요.
나머지 괜찮은 인재들도... 기술력 바탕의 스타트업 창업등으로 새로운 시도를 해야되는데, 그냥 국내 대기업 들어가서 평범한 직장인으로서 대기업의 부품이 되고 맙니다. 미국과 중국처럼 우수 인재들을 바탕으로 기술중심의 신시장 창출은 잘 안됩니다.
이게 무슨말이냐면, 지금 우리나라 학생들 지원 프로그램이 이미 탄탄한 허리층 두텁게 하는데 많은 역할을 하는데 그치고 있고, 혁신을 해 줄 수 있는 특출난 한두명은 잘 키워내지 못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최근 인공지능 중심의 산업은, 더더욱 소수의 천재들이 주도합니다 .괜히 메타가 최근 천문학적 금액으로 인재 영입을 하는게 아니에요.
이공계 인재유출 뉴스만 보면 핀트가 거슬리는 점
17
석사 3기인데 자퇴를 할지 고민입니다.
2023.01.25

자퇴 이유는 연구와 관련 없는 잡일성 과제때문입니다.
제가 연구실에서 지난 1년 동안 한 일은 핸드폰 어플 개발입니다. (컴공 연구실 아닙니다.)
원래는 유체역학을 연구하는 연구실인데, 교수님이 어플을 개발하는 기업 과제를 수주해왔고,
저한테 유튜브 보면서 코딩 배우라고 하고 1년 내내 안드로이드/아이폰 어플을 개발했습니다.
앞으로 남은 1년도 어플만 개발하다가 졸업할 것 같습니다. 학위 논문도 어플 개발 한 거로 쓰라고 하셨습니다.
과제 로드량이 많아서 교수님께 과제를 다른 사람이랑 분담하고, 유체역학 연구를 한번 해보고 싶다 말했지만, 그건 안된다고 했습니다. 연구가 하고 싶어도 과제는 저 혼자 하라고 했습니다.
개발 능력이 낮아서 IT기업이나 사기업 SW 부서는 가지 못할 것 같습니다.
이럴 경우 자퇴를 해야할지... 하지만 좀만 더 버텨서 학위라도 받아야 할지... 고민입니다.
인과관계 영어표현 정리 명예의전당 323 24 66709-
228 30 85429
대학원 월급 정리해준다 (공대 기준) 명예의전당 232 80 208127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근데 학계 있다보면 진짜 썩었다는 생각 안드냐?
44 - 지도교수님 너무 잘 만났다ㅠㅠ
2570 - 주저자 논문을 써보고 싶은 학부 저학년들에게
186 - 학연협동과정을 고민하는 후배분들께
14 - 맨날 김박사넷에서 대학원 진학 ㅈㄴ 쉽다고 개나소나 간다고 하길래 쉬운줄 알았지
79 - 괴수랩은 아직 여전히 존재하나보네요
28 - GPT로 논문 수정해서 제출하라는 교수님
5 - [속보] AI 입학정원 증원 빔 ㅋㅋㅋㅋㅋ.jpg
59 - 수학자가 되고 싶은 아이, 학교선택
9 - 지피티가 저보다 코딩을 훨씬 잘합니다..
28 - 무능력한 저에 대해서 생각할 때마다 힘듭니다.
9 - AI 스타펠로우십 선정 대학 목록
10 - 높은 타대에 갈 수 있다면 옮기는게 좋을까요?
5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배가 가라앉기 전 탈출에 성공한 나..
18 - 대한민국 학계가 답이 없는 이유
15 - 박사까지 졸업하면 빚 7천만원 생길 것 같아요..
15 - ai 학과 증원 정책 보면 ㅈㄴ 한심하네 ㅋㅋㅋㅋ
24 - 랩실에서의 존댓말과 위계질서 문화 질문드립니다
18 - P는 이제 별로인가요...?
30 - 대학원생 남자 폐급론
25 - Mdpi 부실저널?
8 - P에서 공부할 수 있는게 너무 감사한 요즘입니다.
11 - 스윗한 척 하는 남자 교수님 특징
18 - 이공계 인재유출 뉴스만 보면 핀트가 거슬리는 점
14 - 카이스트에 세계 최고수준의 인력 있는거 맞냐?
9 - 김박사넷, ‘연구자 커뮤니티’라는 정체성을 잃고 있습니다
7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미국 박사 합격 후기 웨비나 | 재수로 풀펀딩 합격 "시험 점수는 그대로, 나만 바꿨다"
7 - 근데 학계 있다보면 진짜 썩었다는 생각 안드냐?
44 - 지도교수님 너무 잘 만났다ㅠㅠ
2570 - 주저자 논문을 써보고 싶은 학부 저학년들에게
186 - 학연협동과정을 고민하는 후배분들께
14 - 맨날 김박사넷에서 대학원 진학 ㅈㄴ 쉽다고 개나소나 간다고 하길래 쉬운줄 알았지
79 - GPT로 논문 수정해서 제출하라는 교수님
5 - [속보] AI 입학정원 증원 빔 ㅋㅋㅋㅋㅋ.jpg
59 - 수학자가 되고 싶은 아이, 학교선택
9 - 지피티가 저보다 코딩을 훨씬 잘합니다..
28 - 무능력한 저에 대해서 생각할 때마다 힘듭니다.
9 - AI 스타펠로우십 선정 대학 목록
10 - 높은 타대에 갈 수 있다면 옮기는게 좋을까요?
5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트럼프 시대, 미국 석박사 유학 불확실성에 대응하는 생존 전략
87 - 배가 가라앉기 전 탈출에 성공한 나..
18 - 대한민국 학계가 답이 없는 이유
15 - 박사까지 졸업하면 빚 7천만원 생길 것 같아요..
15 - ai 학과 증원 정책 보면 ㅈㄴ 한심하네 ㅋㅋㅋㅋ
24 - 랩실에서의 존댓말과 위계질서 문화 질문드립니다
18 - P는 이제 별로인가요...?
30 - 대학원생 남자 폐급론
25 - Mdpi 부실저널?
8 - P에서 공부할 수 있는게 너무 감사한 요즘입니다.
11 - 스윗한 척 하는 남자 교수님 특징
18 - 이공계 인재유출 뉴스만 보면 핀트가 거슬리는 점
14 - 카이스트에 세계 최고수준의 인력 있는거 맞냐?
9
2023.01.25
2023.01.25
2023.0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