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석사 보다는 석박 통합이 훨씬 유리한지 궁금합니다.

2023.01.17

20

21236

안녕하세요 선배님들
저는 건, 동, 인 ,아 중 한 대학의 재학생입니다. 과는 기계공학, 현재 3-2를 마쳤고 학점은 전체4.3후반 전공4.4이고 석차는 수석입니다. s대, k대에 24년 전기로 지원할 예정이고 석사나 석박통합으로 지원을 하려고 하는데 아무래도 학부가 낮다보니 석박통합이 가능성이 높을지 궁금하여 질문드립니다. 개인적으로 박사에 대해서 긍정적이라 합격 가능성만 높다면 석박통합으로도 지원해보고싶습니다!
추가적으로 s대는 기계공학부로, k대는 로봇학제로 지원할 생각입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0개

2023.01.17

당연히 석박통합을 훨씬 선호하죠.
수석이시라 잘 되실 듯

대댓글 1개

2023.01.17

주위 몇몇분들은 석사를 해보고 박사를 결정해도 된다.... 이런 말씀들을 많이 해주셔서 많이 고민이긴합니다 ㅠㅠ

2023.01.17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통합과정이.. 미끼이기도 합니다. 오래 붙잡아두는.. 애매하게 된것입니다. 학위는 석사 박사 2개 별개로 가지는게 좋습니다 학사 뒤에 바로 박사만 따는 것 보다도. 뭐 박사만 있으면 되지라고 생각할수 있지만 안 그렇습니다

대댓글 8개

겁먹은 임마누엘 칸트*

2023.01.17

상관없습니다

IF : 5

2023.01.17

미끼는 맞는데 박사만 있으면 되는것도 맞습니다. 이것도 분야에 따라 다를진 모르겠지만, 적어도 이공계에서 박사한테 왜 석사는 없냐고 하는건 전 한번도 못들어봤습니다.

2023.01.17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댓글들 그렇게들 생각하실 줄 알았습니다. 그렇게 생각들 하시면 됩니다 석사는 없고 박사만 있으면 된다.. 요렇게
겁먹은 임마누엘 칸트*

2023.01.17

혼자만의 생각에서 벗어나시길 ^^
시끄러운 리처드 파인만*

2023.01.17

글로벌 스탠다드인 미국 기준으로도 석사학위 없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인생이 어떻게 될지 모르니 도중에 그만 둘 때를 대비하여 석사학위 취득 후 박사과정으로 다시 입학하라고 저도 주변인들에게 적극 권장합니다만, 박사에 대한 의지가 확고하다면 바로 석박통합으로 진학해서 일년이라도 빠르게 박사학위를 받는게 낫습니다.

박사학위자에게 석사학위 취득유무는 아무 관계없습니다.

2023.01.1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다들 그렇게 생각하실 줄 알고 있습니다. 미국의 경우도 뭐 그러리라... 미국은 석사가 비논문과정이 많습니다. 중간에 학점 이수되면 그냥 지도교수 허락하에 중간에 석사 한개 더 받기도 합니다. 여기서 지도교수와 한번쯤 마찰이 있죠. 여러분들이 만약 가족중에 대학교직원이 있으면 물어보시면 정직한 대답을 해 줄겁니다. 석사 없이 박사만 하는게 나은지. 석사 박사 둘다 있는게 나은지 . 그냥 교직원한테 물어보지 말고.. 가족중에 그런 사람이 있으면 물어보세요

2023.01.1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한국에서 석사 마치고 미국 박사과정에 오는 분들중에도 박사 중간에 석사학위 한개 신청해서 .. 즉 석사 2개인 분 수두룩합니다. 굳이 왜 박사하면 되고 기존에 석사도 있는데 왜 하나 더 받으려 할까요. 석박통합이 막연히 석사없이 우등코스 직행이라서 그런가요 ㅎ

2023.01.1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미국 이야기 나와서 착각하시는것같은데. 미국은 그런데 융통성이 좀 있습니다. 글로벌스탠다드.. 좋습니다. 제 지인중 하나는 미국 석사로 와서 1년 마치고 지도교수 잡아서 바로 신분이 박사과정으로 바뀌었는데. 즉 석사가 필요없게 된거죠. 그렇지만 석사를 중간에 받았습니다. 지금은 70위권정도 미국 교수 하고 있습니다 :)

2023.01.17

미끼인 부분도 커서 석사 후 석박통합으로 전환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석사하다가 통합으로 전환하는 것은 상대적으로 쉽지만 석박통합하다가 석사로 전환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단순히 대학원입학만을 고려해서 석박통합만 고려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박사학위까지 따고 그 후의 계획이 정해져있다면 석박통합으로 그 기간을 단축하는 것은 좋죠.(즉, 대학원 입학을 상대적으로 쉽게 하기 위해 석박통합으로 입학하는 것은 미래에 후회할 수 있다는 것이죠.)
시끄러운 리처드 파인만님 의견처럼 최소한 석사 1~2학기 지내면서 내가 연구하는 것을 좋아하는지 그리고 내가 생각했던 환경이랑 맞는지 비교하고 석박통합으로 전환하거나 박사까지 하는 게 낫다고 봐요.
단순히 티오없거나 적다고 석박통합으로 입학했다가 강제로 박사졸업할 때까지 있거나 수료로 그만 두는 안 좋은 사례가 있으니 그런 말을 합니다.

분명히 석박통합이 유리한 것은 맞지만 과연 그게 본인에게도 유리한 것인지 생각을 해야 합니다.
보통 석사해보고 박사하라고 권하는 것은 진짜 박사까지 해야 하는데 괜찮아? 라고 물어보는 겁니다.
본인 생각이 맞다고 하시면 석박통합으로 하셔도 됩니다.

2023.01.18

저는 석박통합으로 입학했는데, 다시 선택한다면 석사, 박사 따로 할 것 같습니다.
통합이라고 해서 따로 하는 것보다 졸업이 빠른 것도 아니고, 석사 학위가 있는 것과 없는 것은 진로 선택의 차이가 큽니다.
만약 연구실 생활이 도저히 안맞더라도, 통합은 중도에 자퇴하면 그냥 학사학위 밖에 남지 않기 때문에 악으로 깡으로 박사 학위를 무조건 받아야합니다.
석사 학위가 있으면 그 선택지가 좀 넓어지죠
하다못해 석사는 지도 교수님이 박사 진학을 유도하기 위해 떡고물을 더 던져줄 가능성도 있습니다.

대댓글 2개

2023.01.18

전공은 다르지만 저도 산만한 그레이스 호퍼님과 비슷한 생각입니다. 석박사 통합은 정말 잘 알아보고 고민해서 들어가야 하는 과정이고, 지도교수님이 학위에 얼마나 열의를 가지고 지도해주시는지에 따라 결정된다고 생각합니다.

2023.01.1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님 의견에 동의합니다. 저도 위에 글을 부지런히 썼지만.. 다들 정신승리하네요. 석사 필요없다구 ㅎㅎ

2023.01.20

저는 입학할 당시에 석박 통합밖에 없어서, 석박 통합으로 연구실에 들어왔는데 , 많이 후회하면서 살고 있습니다. 과거로 돌아간다면 다시는 여길 선택하지 않을 텐데...

2023.01.21

IST 교수입니다.
함께 일해본 경험이 없는 경우, 바로 통합 학생으로 뽑기 부담스러워서 석사 입학생을 선호합니다. 짧은 면접 동안에, 5-6년 자기 주도적으로 연구를 끌고 나갈 수 있는 친구인지 알 길이 없습니다. 통합으로 선발한는다는 건 교수 입장에선 박사 TO를 하나 사용하는 걸 의미합니다.

2023.01.22

애초에 박사를 하시고 싶으시면 석박통합이 시간 측면에서 좋죠. 그 이외엔 석사를 하시고 박사를 하시는게 트레이닝도 더 잘 된 박사가 되실겁니다.

2023.07.22

건동홍인아 특 건대는 절대 아닌데 입시 점수는 건대에 묻어가려함

2024.10.06

건동홍은 들어봤어도 솔직히 인아가 겹침??
윗대학 입시만해봐서 ㄹㅇ모르겠누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