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밤에 교수님께 후기대학원관련해서 메일보냈는데 바로읽으셨는데 지금까지 답장이 없네요,,, 언제까지 기다려야할까요?? 그냥 다른 교수님들께도 메일돌려보는게 빠른 판단일지....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4개
2022.12.28
고작 하루 지났는데.... 최소 3일 정도, 최대 일주일 정도가 일반적인 것 같네요.
2022.12.28
교수님이 학생에 굶주린게 아니면 일단 리스트에 넣어놓고 고민합니다... 급하면 일주일 정도, 아니면 이주일 정도 기다렸다가 다른 곳에 연락해보세요.
2022.12.28
저도 답장이 없네요.. 윗분들 말씀대로 좀 느긋하게 기다려봐야겠어요.
대댓글 2개
2022.12.28
혹시 전기지원하셨나요?? 후기지원하셨나요??? 제가 후기로 여쭤봐서 그러시는간지도모른생각이 갑자기 들어서요....
2022.12.29
후기입니다. 저는 오늘 답장 왔네요. 제가 컨택한 교수님은 답장이 빠른 편이신 것 같습니다. 2~3일 더 기다려보세요. 요즘 연말이라 바쁘실거에요.
징징대는 윌리엄 켈빈*
2022.12.28
인내심을..
2022.12.29
윗분들처럼 어느정도 기다려보다가 리마인더 보내셔봐도 괜찮구요.. 어떤 교수님은 리마인더보낸 뒤에 답장으로 까먹었었다 미안하다 이렇게 하시는 분도 있었어요
대댓글 1개
2022.12.29
리마인더 메일은 얼마정도 지난후가 적당할까요?? 인기랩이라서 제 메일 까먹으셨을수도 있겠네요...ㅠ
2022.12.30
읽씹이란 단어는 볼때마다 화가 치밀어 오르는군요.. 이렇게 꼰대가 되는건가
2022.12.31
이메일이란 답장을 받을 때까지 계속 보내야 하는 것. 잘나가는 교수는 하루에 수십통의 이메일을 받고 이를 자신이 정한 순위에 따라 답장. 잘나가는 교수에게 학부생의 컨택메일은 당연히 상위순위가 아님. 답장올때까지 계속 이메일 보내는 것이 답.
대댓글 1개
2023.01.01
조용히 스팸메일 등록하실듯
방탕한 카를 가우스*
2023.01.01
아무리 그분이 익명으로 되어있고 악으로 말한 것은 아니겠지민 지도 받으려고 하는 교수님에게 읽씹이라는 표현을 쓴다는 걸 그 교수님이 아시면 얼마나 실망스러울 까요? 요즘은 사제관계는 없고 교수를 그냥 성공을 위한 수단으로 생각을 하는게 아닌가 싶어 슬퍼집니다.
대댓글 2개
2023.01.04
악의적인 의미로 쓰는 표현은 아니기에... 이런 것 하나하나에 의미부여하는 건 제 생각엔 적절하지 않아보입니다. 언어라는게 그 말의 원래 의미와 다르게 쓰이는 경우도 있고요. 읽씹이라고 쓰는 사람들의 99.9%에는 상대방에 대한 무례적인 의도가 있다기보다는 그냥 일상에서 편하게 썼던 단어를 관성적으로 쓰는 겁니다.
2022.12.28
2022.12.28
2022.12.28
대댓글 2개
2022.12.28
2022.12.29
2022.12.28
2022.12.29
대댓글 1개
2022.12.29
2022.12.30
2022.12.31
대댓글 1개
2023.01.01
2023.01.01
대댓글 2개
2023.01.04
2023.0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