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데 말이야 SPK 대학원 와보니까 이게 얼마나 대단한건지 알겠더라. 정출연 간 타대생 랩선배는 진짜 연구 잘해서 지도교수님이 엄청 좋아했어...
타대생으로 정출연까지 뚫은 사람 보면 진짜 부럽고 존경스럽다. 될놈될인거 같기도 하고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9개
2020.05.18
교수된 케이스도 있는데?
2020.05.18
이번에 서강대 화공과 임용된 교수 한양대 08학번임
학부가 안중요하다는건 아닌데, 자꾸 그거가지고 징징댈 시간에 논문 하나라도 더 분석해라
Christian Bohr*
2020.05.19
우리 랩실 타대생은 진짜 븅신같던데ㅋㅋㅋ 학교 몇단계 뛰어서 spk오고 지가 더 잘난줄암 시험볼때 치팅하는건 또 기가막히던데. 거기다 치팅으로 성적잘나온게 본인이 더똑똑한줄암 븅신같게
Alexandre Grothendieck*
2020.05.19
spk중에서 어느정도 이상 실적나오시는 곳이면 메이저 정출연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정출연은 사실 어떻게든 들어갈수 있는데.. 다른곳도 마찬가지겠지만 메이저의 경우는 실적뿐 아니라 시기도 엄청 중요해서,,
근데 주변 연구실들 보면 대전E 정출연은 워낙 박사인원이 많아서그런지 비교적 쉽게 가는듯 하네요.. 기계연이나 KIST는 누가봐도 실적 정말 뛰어난 사람들이 갔던것 같고..
그리고 학부랑 대학원 실적이랑 사실 큰 관계가 있다고 생각하지는 않고, 어디출신이든 그냥 열심히하는 친구가 어찌됐든 박사딸 즈음에는 실적을 가장 많이 쌓는것 같네요. 교수직이면 학부가 그래도 상당히 중요하다고 말할수있는데, 정출연 입사에는 학부는 큰도움 안되는것 같네요,,
Juan Carlos Onetti*
2020.05.19
아웃라이어 한두명가지고 자위해봐야 달라지는거 없음
2020.05.19
지방대 학석박도 종종 정출연 가던데
Samuel Johnson*
2020.05.19
잘 이해가 안되서 그런데 SPK박사 아니면 메이저 정출연 못감? 난 spk대학원 아닌 곳의 석사인데 연구실 박사 선배들 반은 졸업하자마자 메이저 정출연 가고 연구실 관련 분야에 누구나 아는 미국 연구소 본사에 입사한 사람들도 있는데. 이 사이트 보니까 spk아니면 답도 아닌 것 처럼 적어놔서 좀 황당함. 글고 아웃라이어 생각하지 말라는게 웃긴게 연구직을 희망하는 이상 경쟁자들에는 반드시 아웃라이어가 포함되어 있을텐데 걔네 고려하지 말라는건 먼소린지...
2020.05.18
2020.05.18
2020.05.19
2020.05.19
2020.05.19
2020.05.19
2020.05.19
2020.05.19
2020.0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