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국제학술대회 구분

2022.09.16

10

10462

안녕하세요.

석사를 졸업했는데도 이것 하나 잘몰라 너무 부끄럽지만,
이력서 작성 중에 궁금한 점이 있어 여쭤봅니다.

저는 BK21 CS 우수국제학술대회 중 한 곳에 논문을 썼습니다.
학회 이름은 “European Symposium on Research in Computer Science” 입니다.

이력서의 논문 구분 목록에는 ‘국외 SCIE, 국내 SCIE, SSCI, A&HCI, SCOPUS, 국외 전문학술지, 국외 일반학술지’가 있습니다 (국내는 제외하였습니다).

저널이 아니기에 clarivate에서는 검색이 안되는데 그럼 SCIE라고 할 수 없는게 맞나요?

또한 국외 전문 학술지와 일반 학술지의 구분이 뭔가요?

검색을 해봐도 명쾌한 답을 얻을 수 없어 이렇게 낯부끄럽지만 질문해봅니다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0개

자상한 공자*

2022.09.16

낯부끄러울 것 있겠습니까? 모르면 끙끙 앓느니 물어보는 것이 낫지요.
SCI/SCIE는 톰슨-류이터사에서 관리하는 저널 데이터베이스입니다. 따라서, 해당 데이터베이스에 없다면 SCIE라고 할 수는 없습니다. 일반적으로 SCI나 SSCI에 포함된 학술지들을 국외 전문학술지 그리고 그 외를 국외 일반학술지로 나눕니다. 학술지는 일반적으로 저널을 지칭하는 것으로, 학술대회는 위의 논문 구문 목록에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이는 대부분의 학계에서 학술대회에 발표된 자료를 정식 논문으로 인정하지 않는 경향이 있어 그런

다만, CS학생이시라면, 메이져 학술대회들도 메이져 저널에 필적하거나 그 이상의 성과로 간주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저는 NLP와 Medical Infomatics를 연구하는 인력인 관계로, 메이져 학술대회와 메이저 저널 성과가 모두 중요하여개인적으로 CV에 발표 논문 성과들을

1. International Peer-reviewed Journals
2. International Peer-reviewed Conferences/Workshops
3. 그외
로 구분하여 정리하고 있습니다.

이때, 위의 성과가 BK21 우수학술 대회임을 강조하고 싶으시다면, 이를 표시하실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Gildong Hong, "Opioid Overdose Detecting via Multi-Modal Information from Electronical Health Records", XXth European Symposium on Research in Computer Science, 2022, pp. yy-zz. (BK21+ 우수국제학술대회)
다음과 같이 적으실 수 있습니다.

다만, 분야에 따라 관례가 다른 관계로, 저라면 우선 CV를 작성하고, 지도교수님께 검토를 부탁드릴 듯 합니다.

대댓글 1개

2022.09.16

친절한 설명 정말 감사합니다! 연구실에 선배가 없어 물어볼 사람도 마땅치 않았는데,,
정말 감사합니다! 큰 도움 얻고 갑니다!!
덕분에 이력서 잘 제출할 수 있었습니다
오늘도 행복한 하루 되세요!

2022.09.16

저는 뭐 정확한 답변은 아니지만;
국외 전문학술지로 표기해도 상관없지 않을까 싶은데요; 국외 일반학술지는 workshop 느낌이 좀 드는거 같은..

제 분야는 CS 에서 저널보다 학회만 거의 쳐주는 분야이고, 제가 국내 교수 지원할 때도 비슷한 고민을
했었는데 결과적으로 저 구분이 아무 의미 없더라구요;
학회논문은 특성상 이 학회의 이름을 들어봤느냐 아니냐 이게 정성 평가의 전부인지라
(제 생각에 크게 걱정한 거리는 아닐 확률이 99% 입니닷)

대댓글 1개

2022.09.16

감사합니다!
저도 CS분야 연구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교수님께는 국외 우수 학회도 좋다는 말을 많이 듣고 항상 이쪽을 타겟으로 해서 투고를 했었는데, 막상 희망하는 연구소 취업 사이트에서는 저널만을 고려하는 것 같아 놀란 마음에 여쭤봤습니다.
친절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오늘도 많이 배웁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2022.09.16

SCIE 라고 할 수 없습니다. 없습니다만... 한국에서는 모든걸 SCI 분류를 기준으로 하게 되면서 SCI"급"이라는 이상한 등급이 생겼습니다. 그래서 보통은 학회지라서 SCI 분류는 안되지만 SCI 학술지와 동급으로 취급 되므로 SCI급이라고 부르는 것이 되겠습니다. 심지이 인문학에서도 SCI급이라는 표현이 존재하더라고요. 교신저자가 책임저자랑 동의어가 된 것도 그렇고 한국에서만 통용되는 그런게 많은 것 같습니다.

대댓글 1개

2022.09.16

저희 교수님도 항상 SCI’급’ 이라는 단어를 자주 쓰셨습니다ㅎㅎ 저도 그런 줄 알고 있다가 Clarivate에 검색했을 때 안나오는 것 보고 깜짝놀라 이것저것 찾아보다가 뭐가 맞는지 몰라 여쭤봤는데,, 친절한 답변 정말 감사드립니다!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 :)

2022.09.16

ESORICS면 security second tier conference 정도 평판 있지 않나요? 저정도면 논문 알아보는 직장이면 sci니 scie니 굳이 말안해도 알아서 평가할테구요 논문 필요없는 직장이면 뭐 잘 모르겠지만 애초에 논문이 필요없는 일자리라 sci/scie 따질 이유도 없죠.

대댓글 1개

2022.09.16

국가 연구소에 지원하려고 했었습니다..! 논문 구문에 해당되는 항목이 없어서 상심이 컸는데,,, 그렇게 말해주셔서 조금 마음이 놓입니다! ㅎㅎ
감사합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세요:)

2022.09.16

컨퍼런스 프로시딩이면 말씀하신대로 저널이 아니죠. SCIE도 아닙니다.
해당 구분 목록에는 들어갈 수 없는게 맞습니다.

이력서 포멧이 저렇게 강제되어있어서 어쩔수 없이 골라야 한다면 보통 국외SCI에 넣곤 합니다.
교수 지원시도 많이들 그렇게 하고, CS분야에서는 별로 그거에 대해 태클 안겁니다.

대댓글 1개

2022.09.16

보통 그렇게들 하는 군요..! 정말 감사드립니다.
이력서 쓸때 참고가 많이 됐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