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도발적인 발언이 될 수 있으나 저는 이러한 견해가 일종의 널리퍼진 착각에 가깝다고 생각합니다. 첫 번째 근거로는 우선 자기 편향을 들 수 있습니다. 학생들을 지도하는 위치까지 도달하신 선생님은 학생시절 부터 꽤 우수한 학생이셨을 겁니다. 대부분의 학생들은 아마도 선생님만큼 재능넘치지도 열정도 없을 겁니다. 이는 선생님께서 학생이셨을때도 아마 마찬가지였을 겁니다. 따라서, 그 시절에도 대부분의 학생은 논리적 흐름이나 글쓰기에 미숙했으나, 선생님께서 당시에 그러한 경향을 관찰할 만한 위치에 없으셨고, 지금은 그때보다 더 전체적인 샘플을 관찰할 수 있게 되어 해당 트렌드가 더 눈에 잘 들어오실 겁니다.두번째는 실질적으로 학생들의 능력이 떨어지고 있다고 볼 객관적인 근거가 부족하다는 점입니다. 지금 대학원에 입학하는 학생들의 대입 통계와, 선생님께서 대입하시던 시절의 통계에서 두 집단의 능력차이를 추론할 만한 근거가 발견되지 않습니다. 셋째로는, 말씀하신 주장이 사실은 세대를 거치며 항상 나오던 지적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점입니다. 폼페이 유적지에서도 발견 되는 '요즘 아이들'에 대한 지적이 언제나 사실이었다면, 인류는 퇴보를 거듭하고 있는 셈이 될 텐데, 이는 사실로 받아들이기 힘든 면이 있지요. 학생들이 맘에 차지 않으시는건 이해합니다만 좀 더 애정을 가지고 따듯한 시선으로 바라봐 주시는건 어떨지요? 혹시 그 중에서도 예쁘게 피는 꽃이 있을지 모르는 일이니까요.
93
- 캬 똥글에 명댓글이네 ㅋ
17
- 좋은 랩실인데 뭔 불평이 많눙..
48
- 첫학기면 기초공부만 하는게 맞다. 어정쩡하게 알아서 시간 지날수록 밑천보이는 사람이 한둘이 아님. 감사합니다 생각하고 충실히 하셈
17
- 학부생에게 너무 많은 걸 바라는건 아닌지?
배움에 대한 크나큰 열정을 갖고 대학원에 진학했다는 것이 학부교육을 잘 받아왔다는 것으로도 볼 수 있죠.
논문 쓰는 법은 본인이 주도적으로 연구설계하고, 본인의 데이터를 이리저리 분석해보며 통찰력을 키워보며, 지도교수 밑에서 첫 한두논문은 빨간줄 엄청나게 끄여보며 터득해나가는거죠. 너무 많은 걸 바라시는 것 같은데요?
미국 탑스쿨에도 박사학위 1-2년차는 논문쓰는 방법 제대로 아는 사람 드뭅니다.
저도 미박 시절 첫 논문을 쓸 때, 고찰 파트에 결과만 많이 적었다가 지도 교수님께서 친절하게 한 줄 한 줄 교정해 주시며 코멘트를 달아주셨습니다. 박사 말에는 제가 주도적으로 논문을 쓰며 탑 저널에도 논문을 실어보고 졸업했어요.
16
지도교수가 교신저자를 맡는 관행에 대한 의문
2022.09.07
55
9239
어떻게 생각하세요?
연구윤리정보포털에서 만든 웹툰으로 이해하는 연구윤리 보다가 든 의문인데요.
https://www.cre.re.kr/bbs/BoardDetail.do?nttId=755&bbsId=BBSMSTR_000000000071&pageIndex=1
교신저자라는 것이 "독자의 질의에 답하고 부가 리소스에 대한 요청을 해결한다."라고 한다면, 제1저자가 교신저자가 되어야 하지 않나요?
특히 가설 수립이나 데이터 분석, 디스커션 작성 등 논문 작성의 대부분의 과정을 제1저자가 하는 게 보통이라고 생각하는데, 그렇다고 한다면 논문의 내용을 더 잘 이해하고 독자의 질문에 잘 대답할 수 있는 것도 제1저자라는 생각이 드는데요.
저희 연구실에서도 관행적으로 지도교수님을 교신저자로 넣고는 있는데, 갑자기 의문이 들어 글 올립니다.
브릭에서도 이와 관련된 글이 있었는데
https://www.ibric.org/myboard/read.php?Board=sori&id=193088
연구비와 연구조건을 제공했다는 것만으로 교신저자가 되는 것이 합당한지 의문입니다. 더 나아가 공동저자 요건에도 부합하는지 의문인데요.
어떻게 생각하세요?
연구윤리정보포털에서 만든 웹툰으로 이해하는 연구윤리 보다가 든 의문인데요.
https://www.cre.re.kr/bbs/BoardDetail.do?nttId=755&bbsId=BBSMSTR_000000000071&pageIndex=1
교신저자라는 것이 "독자의 질의에 답하고 부가 리소스에 대한 요청을 해결한다."라고 한다면, 제1저자가 교신저자가 되어야 하지 않나요?
특히 가설 수립이나 데이터 분석, 디스커션 작성 등 논문 작성의 대부분의 과정을 제1저자가 하는 게 보통이라고 생각하는데, 그렇다고 한다면 논문의 내용을 더 잘 이해하고 독자의 질문에 잘 대답할 수 있는 것도 제1저자라는 생각이 드는데요.
저희 연구실에서도 관행적으로 지도교수님을 교신저자로 넣고는 있는데, 갑자기 의문이 들어 글 올립니다.
브릭에서도 이와 관련된 글이 있었는데
https://www.ibric.org/myboard/read.php?Board=sori&id=193088
연구비와 연구조건을 제공했다는 것만으로 교신저자가 되는 것이 합당한지 의문입니다. 더 나아가 공동저자 요건에도 부합하는지 의문인데요.
어떻게 생각하세요?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
57
14
12674
김GPT
교신 vs 공동1저자0
7
17603
김GPT
논문 제1저자는31
25
15001
김GPT
제 지도교수같은 사람 본적 있음?16
41
15510
-
6
35
13709
김GPT
지도교수한테 할말은 하는 것에 대해3
6
2929
-
3
12
4610
김GPT
지도교수의 역할??12
6
8165
김GPT
지도교수님의 역할이 궁금합니다.1
5
1610
명예의전당
내 석사생활 참 많은일들이 있엇네요^^172
34
52236
명예의전당
학계를 떠나며146
25
69188
-
241
40
55994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2022.09.07
2022.09.07
대댓글 1개
IF : 1
2022.09.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