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론부터 말하면 저희 어머니는 저에게 설카포 대학원 아니면 자대 지거국 석사만 다니시길 원하고
저는 포 석사 (합격 하면 얘기하자고 교수님 한테 메일 옴) 또는 카이 석박 통합 , 마지막으로 컨택이 된 유니 석박을 가려고 합니다
아버지께는 유니 얘기했고 오케이를 받았는데
설카포 대학원을 바라시는 어머니에게 차마 유니 가겠다고 말씀을 못드리고 혼자 준비 중입니다
제 인생인데도 참 부모님께 많은 통제를 받다보니 선뜻 대들지를 못하겠네요 ㅠ
어떻게 해서는 설득을 하고 싶은데 제가 가고자 하는 랩실의 임팩트팩터나 교수 진용 정도로 설득하려고 하는데 이 것들 이외에도 혹시 유니 관련 현직자 분들의 의견? 평가 같은 것도 알려주실 수 있으신가요?
관련 분들의 의견도 같이 이야기 하면서 설득하려고 합니다 . 분야는 화학 화공 쪽입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2개
심심한 닐스 보어*
2022.09.07
일단 유니는 화학,화공,재료쪽이 가장 강력하고 이쪽에 한해서는 연구 아웃풋이 서카포에 아쉽지 않을만큼 나오고 있습니다. 이건 구글 스칼라 조금만 들여다봐도 알 수 있을 듯 하고..
그리고 연구실 선택의 본질은 자기가 얼마만큼의 실적을 만들어낼 수 있느냐입니다. 아무리 명문대 인기랩을 가도 거기서 결과를 만들지 못하면 의미가 없습니다.
유니가 카포에 비해 간판효과가 떨어지겠지만, 글쓴이께서 판단하시기에 가장 최선의 연구환경이라면 그쪽이 맞습니다.
털털한 레온하르트 오일러
IF : 1
2022.09.07
문제의 핵심은 자녀에 대한 부모의 마음인듯 합니다.
연구자가 되시려면 지속적으로 남을 설득하셔야 할텐데 상대방의 입장에서 풀어가시면 좋겠네요.
2022.09.07
1. 연구환경
자대 연구환경이 더 좋다면 자대가도 좋겠지만,
일반적으로는 IST 계열의 대학원이 연구환경이 훨씬 좋습니다.
2. 연구실 분위기
이게 가장 중요. 타대생 입장에서는 알아보기 힘들지만 그건 자대도 마찬가지입니다.
놀자판, 정치질하는 연구실, 괴수랩, 경제적으로 힘들게하는 연구실은 피해야겠지요.
간판은 아무것도 아닙니다. 본인이 연구 실적 쌓는게 가장 중요해요.
부모님 의견에 휘둘리지 말고 본인 선택을 따르십시오. 최소한 본인 선택에 따른 남탓은 안할겁니다.
화이팅!
2022.09.07
님 설카포 가시면 마치 설카포 학부 나온양 엄청 떠버릴리고 다니실듯
2022.09.07
유니스트가 화학 화공 재료쪽에서 서카포에 아쉽지않게 나온다니요 ㅎㅎㅎㅎㅎㅎㅎ 연구 최전성기의 젊은교수들로만 교수진 꾸려서 일시적으로 논문 잘나온다고 서카포에 필쟉할만하다고 함부러 올려치시면 안돼죠.
대학원 진로를 학계에 계시지도 않을것으로 보이는 어머니께 휘둘려셔 결정하려는거 자체가 에러라서 이미 합리적 판단이 불가하신 상태에요. 서카포 아니면 유니스트는 안돼고 지거국 석사나 가라니요 ㅋㅋㅋ 기준도 없고 무ㅑ 그런경우가 있나요. 그건 거의 지거국가면 호적에서 파내겠다는 뭐 그런 협박으로 보여요. 좀 많이 불쾌하네요. 글쓴분은 대학원이 문제가 아니라 미래를 저렇게 결정하는거에서 탈출하시는게 우선이 아닐까하네요.
대댓글 2개
2022.09.08
화학 화공 재료쪽에서 실적으로만 따지면 내려치기한거죠. 여러가지 고려해서 저렇게 말한거같은데요
심심한 닐스 보어*
2022.09.08
그냥 구글 스칼라에서 각 학교 소속 교수들 total citation수로 쫙 나열 가능하니까 한번 해보세요.
2022.09.08
유니스트 좋은 학교입니다. 후회하지 않으실거에요. 그런데 아직도 부모님에게 휘둘리는게 아쉽습니다. 자신의 선택을 신뢰하고 책임질 수 있는 독립된 개인이 되시길 바랍니다.
2022.09.08
본인이 갈 학교를 왜 부모님께 오케이 받고 가나요?
2022.09.08
타대 학사 졸업 후 유니스트 박사 졸업생이고, 현재 미국에서 포닥 중입니다.
저는 제 실력에 비해 남부럽지 않은 실적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조심스럽게 제 의견을 드리자면, 결국 학교보다는 지도교수의 선택이 중요하며, 지도교수님 보다는 본인의 능력, 그리고 본인의 능력보다는 끈기와 운이 좋은 연구 결과를 내는데 훨씬 중요합니다.
유니스트의 연구환경(실험장비, 공동연구가능성, 과제양, 과제수준)은 지금 제가 있는 대학교(아이비리그)와 유사한 수준으로 좋습니다.
교수님들 또한 훌륭하신 분이 많으며, 탑저널을 타겟으로 연구를 수행하려는 분위기가 좋습니다.
제가 느꼈을 때 유니스트는 학교 주변 번화가가 없고 (꽤 많은 끼니를 학식에 의존해야 하고), 약간은 사회와 고립된 분위기 또한 있어서 이러한 점이 장/단점으로 작용할 수 있겠습니다.
2022.09.07
2022.09.07
2022.09.07
2022.09.07
2022.09.07
대댓글 2개
2022.09.08
2022.09.08
2022.09.08
2022.09.08
2022.09.08
2022.09.12
2023.08.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