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네이처 본지 3,4번째 공동1저자 위상

답답한 아리스토텔레스*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2022.07.31

13

5617

네이처 본지에 공동 1저자로 논문을 투고 했는데,
제가 4번째 순서인 공동 1저자입니다. (공동1이 총 4명)

혹시 억셉이 된다면 어느정도로 인정 받을 수 있을까요? 오롯이 단독 1저자로는 안쳐줘도, 제 주저자 실적으로 확실히 쳐주나요? 3,4번째 1저자로 네이처나 사이언스 본지에 논문 내면 얼마나 훌륭한 실적인건지 궁금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3개

2022.07.31

아직 자세하게 보거나 들은 적이 없어서요.
단독이면 학교에서 단독이라고 크게 쓰죠. 3명이면 3명 이름을 작게 쓰죠. ㅋㅋㅋㅋㅋㅋ

2022.07.31

위상이 무엇을 뜻하는지요? 교수 임용시 말하는거면 정량화해서 1/n 하는 학교 아니면 단독1보단 아니지만 좋게 쳐주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물론 본인 역할이 뭐였냐 이런 질문이 있을수 있겠죠.
답답한 칼 세이건*

2022.07.31

당연히 인정..
업셉되고 고민하기를 ㅎㅎ

2022.07.31

억셉까지 순조롭게 되시기 바랍니다ㅎ 당연히 주저자 실적이고요, 보통 공도유저자에 대해서는 1-1은 좀 더 쳐주거나 완전 1/n 하기는 하는데 NSC 논문들은 기본적으로 배점이 매우 큽니다.

2022.07.31

공동저자의 순서는 실적 산정에서 큰 의미없습니다. 그리고 최소 revision은 하고서 고민하셔도 될거같습니다. 투고는 누구나합니다.

대댓글 2개

답답한 아리스토텔레스작성자*

2022.07.31

고민이 아니라 질문입니다.

2022.08.07

되기전에 생각해놔야될 것 같은데요. 되고 나서 바꾸는건 현실적으로 안되거나 골치 아플듯.
자상한 프리모 레비*

2022.07.31

정량으로 들어가면 1/n 하시면 되고
정성으로 들고 가면 본인이 주도한 부분이 페이퍼에 크리티컬한 부분이가를 따져볼텐데
snc본지는 특별하게 보이지 않는 가산을 더해서 쳐주긴 합니다
하위권 대학들은 인센도 더 주고요
덤덤한 막스 플랑크*

2022.07.31

1/n하시면 됩니다.
그거랑 별개로 당분간 학회가서 발표할때 어깨 피고 다니실 수 있습니다.

대댓글 2개

답답한 아리스토텔레스작성자*

2022.07.31

1/n 하면 n=4니까 IF 12정도 논문 단독 1저자로 쓴 것과 같은 실적인건가요?

2022.08.07

잘 몰라서 여쭤보는데....

IF 48점에 4명이 공동 1저자로 억셉되었다는 전제하에
(어디 기여도 적거나 말하게 될 때)

1. 각 개인이 0.25 기여로, IF 48점대 논문에 억셉되었다
2. (IF를 4분의 1 해서) IF 12점대 논문을 썼다

저는 1번이라고 알고 있는데 아닌가요?
"IF 48점대 4명의 공동1저자"와 "12점대 단독 1저자"는 다른 것 아닌가요?
깜찍한 맹자*

2022.08.01

김칫국.. 이때 행복하긴 하지..
활기찬 게오르크 헤겔*

2022.08.02

1/n 취급은 못받으실겁니다.

보통의 단독 1저자가 하는 일에 비해 공1 4명인 경우
0.6 / 0.4 / 0.3 / 0.3
정도 일을 했구나 생각은 드네요 개인적으로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