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가 1저자에 있으면 안된다"고 말만 들은건지, 실제로 1저자를 뺐긴건지에 따라 다릅니다. 전자라면 그냥 더 열심히 하라는 충고로 받아들이시고, 후자라면 심각한 문제가 있는겁니다.
IF : 5
2022.07.27
?? 실험을 님이 다 했는데요?? 쟤는 1저자 있으면 안된다 그거 나 달라고 막상 교수한테는 말 못하면서 님한테만 그러는거면 그냥 싹 무시하세요.
튼튼한 카를 마르크스*
2022.07.27
학생들이 많이 착각하는게 실험 다 하고 데이터 뽑았다고 1저자 하는거 아닙니다. 논문 주도해서 쓴 사람이 1저자가 되는겁니다. 테크니컬한 실험을 너무 중요하게 생각하면 곤란. 논문은 분석 및 작성이 제일 중요함.
대댓글 4개
선량한 버트런드 러셀*
2022.07.28
원론적으로 아주 틀린말이 아니긴한데.. 그렇게 따지면 교수가 학생 논문 line by line 갈아엎고 수정했으면 교수가 학생 1저자에서 빼고 본인 1저자 및 교신저자로 넣어도 할말 없죠. 교수가 주도적으로 writing 한거니까요. 현실에서는 그래도 manuscript를 먼저 쓰기 시작한 학생한테 1저자를 줍니다. 랩 선배가 대뜸 본인 논문 들고 가서 문장 더 좋게 고쳐 온 다음에 너 1저자에서 빼겠다고 하면 그걸 받아들일 사람이 있을까요?
튼튼한 카를 마르크스*
2022.07.28
저랑 다른 글을 읽으셨나요? writing을 랩에 있는 박사가 써주고 있다는데요. 본인이 저널 논문 쓰기에 부족하다고도 써있네요.
댓글에서 말씀하신 랩 선배가 대뜸 논문 들고 가서 문장 더 좋게 고쳐 온 경우랑은 천지차이인데......
또, 지도교수가 line by line 갈아 엎는건 논문 퀄리티도 올리고 그 과정을 통해서 학생이 배우는 과정인걸 교수도 알기 때문에 보통 그런경우엔 학생에게 1저자를 줍니다. 다만 말씀하신대로 교수가 1저자, 교신저자 가져가도 전혀 할말 없는 상황인건 맞고요. 애초에 line by line 갈아 엎을 정도면 그건 논문을 써왔다고 할수가 없죠. 그냥 글자수 채워온거지.
튼튼한 카를 마르크스*
2022.07.28
+추가
완전 다 뜯어 고쳤는데 1저자 주는건 교육측면 배려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닙니다. 그럼 그 경우에 냉정하게 학생이 1저자 자격이 있냐? Nope
2022.07.28
22222 저도 그렇게 생각해요 논문은 기술적 실험보다도 결과에 대한 해석, 연구 conceptualization, writing이 중요하죠 단순히 얼마나 많은 시간을 들였느냐, 누가 더 고생했느냐로 판단할 수는 없다고 생각해요.
지금 님이 열심히 공부하고 아이디어 내고 writing 참여하신다면 (실제로 도움이 된다면) 공동 1저자까지는 가능하지 싶네요
2022.07.27
저도 윗 분 말에 동의합니다. 글로는 정확한 정황을 알 수 없으나 박사분이 결과분석하고 논문까지 썼으면 1저자 가능하고 봅니다. 그런데 글쓴이님이 새로운 방법론은 제시해서 실험까지 했다라고 하면 1저자까지 가능하다고 봅니다. 그나저나 아무것도 한게 없다고 말한 건 빡칠만 하네요
긍정적인 카를 가우스*
2022.07.28
디스커션하고 라이팅 진행하는게 당연하 1저자고 실험 하는건 사실 테크니션 영역이라 돈주고 그냥 연구원시키는게 훨 좋죠.
그래도 교수님이 본인 학생인데 제자라는 생각하고 있으면 가르치면서 공동1저자 주고 최대한 같이하게 하려고 할텐데 먼가 안타깝네요
바보같은 닐스 보어*
2022.07.28
교수님입장에선 실험영역이 누구나 할 수 있는 일이라 생각할 수도 있는데
그래도 본인 렙실 학생인데 학생미래를 위해서 도의상 공동1저자 주고 학생 의욕올려주는게 맞다고 봄
재빠른 버트런드 러셀*
2022.07.28
우리 교수님도 실험 누구나 할 수 있고 석사한테 실험 가르치는거 자체를 그냥 봉사로 생각하심. 돈주고 포닥 고용해서 시키면 금방 끝날 거 괜히 석사 시키면 돈 시간 다 날리는 거지만 교육자의 의무라고 맨날 말하더라구요
그래도 그런 저희 교수님도 항상 석사들 공동 1저자로 넣어주시기 때문에 님도 1저자로 같이 올라 가시긴 할거에요
2022.07.28
writing를 박사가 했으면 박사가 제1저자 되는게 맞음
2022.07.28
보통은 실험을 주도적으로 하는 사람이 draft를 작성하지요. 단순노동 샘플제작 측정 등 주로 했다고 1저자가 되는건 아닙니다만, 박사분의 기여가 얼마나 논문화에 크게 작용했는지가 중요할거 같네요. 너가 1저자에 있으면 안된다고 말하는건 좀 선넘었습니다. harassment나 가스라이팅에 해당될듯. 지도교수님하고 이야기 하심이 빠르고 좋은 길입니다.
2022.07.28
writing을 도와주는 거랑 써주는 거랑은 달라요. 글쓴이님이 쓰셨고 다른 교수님이 리뷰하고 에딧해주시고 (얼마나 heavy 한 에딧이든지 상관없이) 수정하라고 했으면 글쓴이님이 1저자 하는게 맞아요. 그리고 글쓴이님이 롸이팅 실력이 없더라도 제가 쓰겠다고 하고 교수님/박사님들께 리뷰해 달라고 하는게 더 맞는 것 같아요. 그분들이 물론 뺐어가셔서 넌 못써! 이렇게 하면 그분들 잘못.. 글쓴이님도 쓰셔야지 늘죠.. ㅠㅠ 그럴려고 학교 다니는 거 아닌가요 ㅠㅠ
2022.07.27
2022.07.27
2022.07.27
대댓글 4개
2022.07.28
2022.07.28
2022.07.28
2022.07.28
2022.07.27
2022.07.28
2022.07.28
2022.07.28
2022.07.28
2022.07.28
2022.07.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