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안보는게 아니라 사회성이 없기 때문에 교수가 될 실적을 만들 수 있었던 것..
교수 임용 때 사회성은 안 보나요?
52 - 속이는게 아니라 연구비 사정이 여의치 않아서 내린거겠지. 요즘 연구비 따기가 하늘의 별 따기야. 그리고 당연히 교수가 먼저 약속한 금액만큼 못주게되어 미안하다고 했어야되는게 맞고, 글쓴이도 약속한 금액이랑 달랐다면 1학기 때 첫 월급 받았을 때 왜 다른지 물어봤어야지.
인건비 속이는 랩실 탈출해야할까요..
20 - 실력 키우고 지식 쌓으러 대학원 진학하는거임. 실력도 지식도 충분하면 대학원을 왜 감. 꾸준히 수련해서 계속 발전하는데 의의가 있는거임. 현재 자신의 부족함을 너무 부각시키지 마셈. 미래에 나아질 자신의 모습에 집중하셈. 중요한건 연구를 바라보는 자세임. 물론 당장의 실력도 중요하지만, 교수입장에서 신입생 뽑을때 진짜 중요하게 보는건 학생의 연구에 대한 열정, 지적 호기심, 포기하지 않는 끈기, 성실함 등 연구에 임하는 태도와 자세임. 작성자님은 학부생으로 논문을 쓰고 제출했다는 사실자체로 이미 충분히 증명하고도 남을 정도로 훌륭함. 그러니 너무 주눅들지 말고 화이팅하셈.
연구 재능이 없는 것 같습니다
9 - 박사는 고행을 즐길 수 있는 자들이 소명의식과 재능이 동시에 있을때 적절한 포지션임.
박사과정이 왜 힘든가
15 - 노벨상 타면 출신 유치원도 동문 찾던데… 내가 잘나고 볼 일임.
학부 다르면 동문 취급해주는지 말해봄
13 - 하고싶은 연구를 할 수 있는지는 PI한테 물어보든 연구실 학위과정생한테 물어봐야지. 우리한테 물어보면 답해줄 수 있다고 생각하고 질문하는거임?
3개 대학에 AI연구하는 PI가 한둘인줄 아나.. 전부 다 할 수 있다 / 전부 다 할 수 없다 로 나올 수 없는거 본인이 더 잘 알지 않나?
결국 핑계삼아 더 좋은 대학에 가고 싶다라고 하는 것 같은데, 윗분들 말씀처럼 자대가 정배에요. 그게 마음에 안들면 열심히 했어야죠.
학점 3.6 건동홍 무스펙 대학원 진학
8 - 자대에서도 하고싶은 연구같은거 해볼 수 있냐니 ㅋㅋㅋ 참.. 뭘 하고싶은데요 애초에? 하고싶은거나 관심분야는 있긴 한가요? AI논문이라도 한편 읽어보고 가고싶다 어쩐다 하는건가요? 걍 님같은 분들은 대학원 안가시는게 시간 안버리고 좋을거 같은데..
학점 3.6 건동홍 무스펙 대학원 진학
9 - 글로 봤을때는 어느 부분에서 망한지 모르겠네요. 글쓴이 님보다 더 어려운 분들이 많습니다.
인생 망한거같아요 조언,쓴소리 다 부탁드려요
9 - 진짜 망한게 뭔지 모르네 ㅋㅋ 지방대 2점대 3점대 초반애들 졸업하고 갈 데 없어서 대학원 진학했는데 1년이 다 돼가도록 아무런 결과도 없이 인생 즐기면서 생활하는게 진짜 망한거지.
인생 망한거같아요 조언,쓴소리 다 부탁드려요
17 - 그런 대학원생이 계신 곳에 있는 본인의 잘못 아닐까요?
ㅈ소기업의 열악한환경에 지쳐버린 직장인만 샘플로보면 우리나라 사람은 의지박약에 걸린 환자만 있는거임?
대학원생들이 게으른 이유에 대한 고찰
9 - 웃긴게 저런 곳에 있는 쩌리 or 애매한급 교수들은 대학원생 탓합니다. 그렇게 능력있고 잘났으면 더 좋은 대학. 설카포로 이직하셔요. 학생들도 학부간판 아쉬우면 대학원으로 좋은곳으로 진학하고, 직장인들도 계속 이직하는걸요?? 그럴 능력이 안되거나 용기가 없으면 대학원생에게 불만 가질 시간에 대학원생에게 시간투자를 더 하시구요~ 하긴 저렇게 생각하니 쩌리 or 애매한급으로 남긴하겠다.
대학원생들이 게으른 이유에 대한 고찰
13 - 학생의 입장으로 생각해 보는 것도 중요하다고 봄.
1. 님에게 아무런 목표없이 힘든일을 하라면 열심히 할 것임?? (동기부여 관련)
2. 학생들이 지도교수를 신뢰하는가?(지도교수의 이기적인 목적으로 일을 시킨적이 있는가??)
잘하고 못하고는 주관적인 부분임. (세계최고 연구그룹에서는 님도 아쉬운점이 많아 보일 수 있음.)
잘 못을 외부에서 찾지말고 본인에게서 나아질 방법을 고심해볼 필요도 있어보임.
대학원생들을 믿고, 개인적인 나의 이익이 있는 것이라면 아예 시키지 않고, 학생들에게 도움이 되면서도 연구가 될 수 있도록 지도한다면, 대부분의 대학원생들은 스스로 잘 하려할 것임.(물론, 잘하고자 하나, 실제 퍼포먼스는 못 미칠 수도 있고, 그때 지도교수가 잘 지도해 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봄)
--> 결국 교수가 필요한 이유 중 하나가 교육으로 봄. 현상을 탓하기보다 주어진 환경에서 조금이라도 훌륭한 연구자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봄.
대학원생들이 게으른 이유에 대한 고찰
9 - 지극히 공감함
얼마나 오래 앉아서 집중 하냐가 중요한데 위에 언급한 리스트가 우선 집중력 차이도 큼ㅋㅋㅋㅋ
요즘 애들보면 참... 늦게 출근 일찍 퇴근이 기본이고 중간중간 자리비움도 너무 잦음 도대체 뭘 하는지 모르겠음ㅋㅋㅋㅋ
나는 집중하면 화장실 6시간도 안가고 그자리에 쭉 앉아 있는데 왜 그렇게 자주 왔다갔다하는지도 모르겠고
대학원생들이 게으른 이유에 대한 고찰
8
대학원생때 연애를 하는게 맞을까요?
2022.06.22

저는 우선 현재 석사 2학기차로 있고요
석사는 한국에서 따고 박사는 미국으로 가서 따고 싶은 마음이 있습니다
최근에 연구 주제를 받아서 바쁜 일상을 보내고 있는 중이고요 (매주 랩미팅 때문에 실험 준비하랴 저널 발표 준비하랴 실험 결과 준비하랴 그냥 바쁘네요)
제가 또 성격상 완벽하게 준비를 해야 마음이 편해서 남들보다 준비시간이 2배 이상 걸리기도 합니다…
그러다보니 이제는 점점 토플도 따야되고 GRE 준비도 해야되고.. 마음은 급해지는데
친구가 소개를 받아보겠냐고 하더라고요
소개받을 친구도 같은 학교 대학원생이고 절 보고 소개를 받고싶다 했다고 하는데
직접 보니까 정말 마음에 들기는 합니다
그리고 사실 연애를 하고 싶은 마음은 정말 충분히 많습니다
문제는 제가 바쁘니까 괜히 잘 못챙겨줄까봐 미안해서 못받겠네요… 위에서 말했듯이 다른것들을 준비하느라 못챙겨줄꺼같기도 하고 그냥 고3때처럼 지금은 그럴때가 아니다 라는 마음가짐으로 박사 지원때까지 연애를 하지 말아야될지…
여러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ㅠㅠㅠ
연애는 정말 하고싶은데 하게되면 바빠서 못챙겨줄까봐 걱정되고…
대학원생은 왜 돈에 대해 초연해야함? 명예의전당 191 91 42874
학계를 떠나며 명예의전당 172 25 78301
무엇인가를 관두고 싶어하는 분에게 명예의전당 232 24 62621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학부 다르면 동문 취급해주는지 말해봄
10 - 고대 학부생입니다 kist 대학원 고민입니다
22 - 인건비 속이는 랩실 탈출해야할까요..
19 - Unist 석사와 박사 월급이 어느정도 될까요?
8 - 학점 3.6 건동홍 무스펙 대학원 진학
18 - 박사과정이 왜 힘든가
9 - 포닥 미국으로 가시는 분, 어떻게 알아보시나요?
7 - 인생 망한거같아요 조언,쓴소리 다 부탁드려요
16 - 이글 왜 욕먹는건가요
12 - 학부연구생 활동에 관해서 여쭈어 봅니다..
8 - 대학원생들이 게으른 이유에 대한 고찰
19 - 미국 박사 vs 포닥
6 - 자교생 장학금 우대 <- 이게 폐지되지 않는 한 타교 차별은 영원함
6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김박사넷 글로벌 연구자 인사이트 - UCLA 교수 무료 세미나
143 - 김박사넷 | 2026 미국 대학원 SOP 실전 워크숍 – 합격 사례 분석 & 전문가 피드백
53 - 미박 ai 컨택 스팩
12 - 미국 유학에서 학부 중요합니다
9 - 학부 다르면 동문 취급해주는지 말해봄
10 - 고대 학부생입니다 kist 대학원 고민입니다
22 - 인건비 속이는 랩실 탈출해야할까요..
19 - 학점 3.6 건동홍 무스펙 대학원 진학
18 - 박사과정이 왜 힘든가
9 - 인생 망한거같아요 조언,쓴소리 다 부탁드려요
16 - 이글 왜 욕먹는건가요
12 - 학부연구생 활동에 관해서 여쭈어 봅니다..
8 - 대학원생들이 게으른 이유에 대한 고찰
19
2022.06.22
대댓글 2개
2022.06.23
2022.06.23
2022.06.22
2022.06.22
2022.06.22
2022.06.22
2022.06.22
2022.06.22
2022.06.22
2022.06.22
2022.06.22
2022.06.22
2022.06.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