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정부과제 기업과제 많은 랩 의미?

2022.05.21

9

2950

과제가 많다는 게 의미하는 바가 있을까요?
과제가 많다는 건 분야가 유망한거라고 볼수 있나요?
과제가 거의 없는 랩은 왜 없는걸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9개

2022.05.21

대부분의 랩은 과제가 거의 없습니다. 과제가 있는 연구실들만 과제를 표시하니 많아 보이는 거죠.

대댓글 5개

IF : 5

2022.05.21

.......?????? 저희 과는 극소수 랩 제외 다 과제 합니다.....
거의 없는 랩은 안따서 못따서 따놓은게 한번에 끝나서 물갈이타임 셋 중 하나요
마지막은 참작의 여지라도 있는데 앞에 둘은 굳이 더 알아보진 마세요
과제 많은거는 유망....하다기보단 그냥 연구비가 풍족하다 정도로 받아들이시는게

2022.05.21

과제를 못따고 안따는 건 왜 일까요?
과제를 안따는 건 뭐 연구비가 필요없어서 그럴수 있다고 치면, 과제를 못따는 경우는 분야 탓 일까요 개인 능력 부족 탓 일까요 뭘까요

2022.05.21

과제는 발주낸 쪽에서 원하는 걸 해줘야하고 거기서 산출물의 일부로써 또는 거기서 나온 데이터를 이용해 논문을 쓰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즉, 과제를 이용해 논문을 쓰기엔 일처리하느라 배보다 배꼽이 커지는 경우가 잦습니다. 물론 인건비를 위해선 안할 수도 없죠. 그렇지만 온전히 논문생산에 집중하기엔 과제가 많으면 쉽지 않습니다.
아마 대부분의 경우는 개수 조절하시려고 안따시는거일겁니다. 물론 못따는 경우도 존재하겠지만 적어도 공대에선 희소한 분야가 아닌이상 그럴 일은 드물것같습니다.

IF : 5

2022.05.21

안딸 이유는 교수가 휴퇴직예정인것 외엔 없습니다. 교수의 직업이자 연구실의 존재 이유가 연구인데, 저런 특수상황 외에 랩에 연구비가 필요 없는 경우는 없습니다.
과제를 내도 안되는건 분야가 지금 정부 내지 기업들 입맛에 안 맞아서 그럴 수도 있고 그냥 교수나 학생이 제안서를 못써서 그럴수도 있구요.
3책5공이라는게 있어서 정부과제는 많이 따고 싶어도 갯수에 한계가 있습니다. 기업과제도 사람에 비해 너무 많으면 버거워요. 중요한건 현재 과제 상태입니다.

2022.05.21

조금 첨언을 하자면 이렇습니다. 몇년간 예비타당성 위원회에 들어가서 정부 연구과제 작업을 했습니다 (예타는 과제를 주기 위해, 부처와 협의하여 준비하는 것을 말합니다). KISTEP에서 정리한 자료 등을 참고하여, 보면 2017-2019년 사이에 교수 1인당 평균 연구 과제수는 0.4-0.5개 내외입니다. 공동연구원으로 하는 것 까지 하면 채 1개가 안됩니다. 저도 최상위권 대학 교원이니, 제 주변에도 과제를 안하는 교수들은 없죠. 그런데, 그냥 "교수"로 놓고 전국 대학을 보자면, 그렇지 않습니다. 그래서 작년 말까지 일본과 같은 기초 연구비 지원 시스템을 만들자는 이야기가 나온것도 있고요. 참고하시라고 몇자 더 적어봅니다.

2022.05.21

한가지 팁을 드리면 저는 이해가 안되는 상황이 닥치면 맨먼저 돈을 기준으로 생각해봅니다. 그러면 얼추 다 맞더군요.

2022.05.21

= 본인이 해야 할 일이 많아진다는 것, 그리고 연구에 필요한 돈을 비교적 자유롭게 쓸 수 있다는 것

2022.05.22

과제를 많이 한다는 의미입니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